ᄉ~ㅇ(시옷~이응)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근와(槿瓦) 2018. 2. 10. 02:20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威音王佛이 출세하기 이전. 威音王佛은 과거 莊嚴劫전의 . 곧 최초의 을 뜻한다. 곧 우주창조 이전. 父母未生前, 天地未分前이란 말과 같음. 祖庭事苑卷五에 위음왕불 이전은 實際理地를 밝힌데 대해 위음왕불 이후는 佛事門中일 따름이라고 하여 佛道를 나타내는 비유로써 위음왕불을 쓴다고 했다. 威音王佛禪宗에서는 向上第一義諦를 뜻하는 말로 쓰인 것이다.

 

참고

위음왕불(威音王佛) : 범어 Bhismagarjitasvararaja. 法華經 상불경 보살품에 있음. 空劫 때에 가장 먼저 成佛한 부처님. 한없는 오랜 과거. 또 최초란 뜻으로도 쓰고, 宗門에서는 本分向上 實際理地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도 쓴다.

 

장엄겁(莊嚴劫) : 범어 vyuha-kalpa의 번역으로, 三世三大劫 중 과거의 大劫莊嚴劫이라 이름한다. 현재를 賢劫, 미래를 成宿劫이라 함에 대한 과거의 大劫. 莊嚴劫住劫二十小劫 가운데 千佛이 출현했는데 華光佛을 처음으로 하여 毘舍浮佛을 끝으로 하는 千佛을 듦.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 : 本來의 면목. 본래의 생존한 그 얼굴의 모습. 절대무차별의 自己.

 

실제리지(實際理地) : 眞如無相한 경계를 말함. 護法錄六실제의 진여는 一塵에 물들지 않는다.하였음. 理地는 진여를 뜻함.

 

향상제일의제(向上第一義諦) : 향상(向上)끝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을 向上, 위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向下라 한다. 禪宗에선 미혹의 境界에서 깨달음의 경계로 들어가는 것을 向上門, 깨달음의 경계에서 미혹의 경계로 점점 적응해 가는 것을 向下門이라고 한다. 향상과 향하를 갖추지 않으면 참다운 깨달음이 아니다. .....제일의제(第一義諦)二諦의 하나. 世俗諦에 대한 勝義諦를 가리킴. 聖諦眞諦라고도 한다. 涅槃· 眞如 · 實相 · 中道 등의 불교 구경의 진리는 그 뜻이 深奧廣大하여 모든 것 가운데 제일이라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증회고(怨憎會苦)   (0) 2018.02.11
삼승기(三僧祇)   (0) 2018.02.11
생사(生死)   (0) 2018.02.10
의정이보(依正二報)  (0) 2018.02.09
오개(五蓋)  (0) 2018.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