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의정이보(依正二報)

근와(槿瓦) 2018. 2. 9. 00:16

의정이보(依正二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依報·正報二報를 말함. 과거의 宿世에 지은 에 따라 받는 果報2종으로 구별한 것. 곧 육체는 직접적인 과보이므로 正報, ·····가족·사회 등은 간접적인 과보로 正報가 의지하는 바가 되므로 依報라 한 것.

 

참고

의보(依報) : 과거의 의 갚음으로 얻은 有情의 몸을 正報라 하고, 그 몸이 의지하고 있는 환경 곧 國土(器世間)依報라고 한다. 이 둘은 함께 자기의 과거의 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므로 다 함께 라고 한다.

 

유정(有情) : 薩多婆 · 薩埵音譯하고, 중생이라고도 번역한다. 生存하는 자란 뜻. 有情이라 함은 마음(情識)을 갖는 살아 있는 것을 말하고, 여기에 대해서 草木 · 山川 · 大地 등은 非情(非有情 · 無情)이라고 한다. 그러나 成唯識論述記 卷一에는, 중생이라 함은 有情 · 非情을 아울러서 하는 말이라고 했다.

 

정보(正報) : 과거세에 지은 業因에 의해 그 갚음으로 얻어진 有情(衆生)의 몸을 正報라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음왕이전(威音王已前)  (0) 2018.02.10
생사(生死)   (0) 2018.02.10
오개(五蓋)  (0) 2018.02.09
식(食)   (0) 2018.02.07
사(伺)  (0) 2018.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