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실타(圓實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가 곧 보리이며, 생사가 곧 열반이라 하며, 또는 邪와 正이 둘이 아니며 善과 惡이 하나라는 등의 말인 圓實理談에 타락하여 戒行을 파괴하고 방일하는 것.
참고
원실(圓實) : 圓頓一實을 뜻함. 천태종 圓敎의 교리로, 한 行은 일체의 行과 원융하고, 한 位는 일체의 位를 원만히 갖춰 圓頓하는 것. 이 이치는 하나이며, 둘과 셋이 없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아니하므로 一實이라고 말함. .....원돈(圓頓)→圓滿頓足의 뜻. 곧 모든 事物을 원만히 결함없이 갖추어, 대번에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諸宗에서, 그 究極으로 하는 敎나 行을 圓頓이라고 하는데, 예컨대 天台宗에서는 圓頓止觀이라 하고, 眞宗에서는 本願圓頓一乘이라고 하며, 圓頓一乘 · 圓頓戒 등으로 熟語함.
번뇌(煩惱) : 범어 klesa의 번역. 吉隷捨로 음역하고, 惑이라고도 번역한다. 중생의 몸이나 마음을 번거롭게 하고 괴롭히고 어지럽히고 미혹하게 하여 더럽히게 하는 정신작용의 총칭. 그 성질은 不善 및 有覆無記이다. 중생은 번뇌에 의해서 업을 일으키고, 괴로움의 報를 받아 미혹의 세계(生死)에 매어 있게 된다. 이것을 惑業苦의 三道라 한다. 그래서 불교는 번뇌를 끊고 열반의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번뇌는 그 작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을 갖는다. 隨眠 · 惑(이치에 어둡고 現象의 세계에 대해 미혹하여 알지 못하는 것) · 染 · 漏 · 結使 · 結 · 縛 · 纒 · 軛 · 暴流 · 取 · 蓋 · 繫 · 使 · 垢 · 株杌 · 燒害 · 箭 · 稠林(번뇌의 수가 많은 것을 무성한 삼림에 비유한 것) · 塵勞 · 塵垢 · 客塵 · 諍根(다툼의 근본)이라고도 하고, 또 번뇌의 體 그것을 正使(다만 使라고도 한다), 體를 멸해도 역시 남아있는 관습의 기운을 習氣라고 한다. 모든 번뇌는 因力(아직 번뇌가 끊기지 않은 것) · 境界力(욕심 등에 순응하는 대상이 나타나는 것) · 加行力(대상에 대해서 非理· 作意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한다.〔俱舍論 卷二十〕혹은 境界力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도 있다고도 한다.〔入阿毘達磨論 卷上〕
보리(菩提) : 범어 bodhi의 음역. 覺 · 智 · 知 · 道라고 번역한다. 佛 · 연각 · 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나위 없는 최상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부르며, 번역하여 無上正等正覺 · 無上菩提라고 한다.
智度論卷五十三에는 불타의 보리에 대해서,
(1) 보살이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發心하는 것을 그 마음은 菩提의 果에 이르는 因이라는 뜻으로 發心菩提,
(2) 번뇌를 누르고 모든 波羅蜜을 행하는 것을 伏心菩提,
(3) 諸法實相을 깨달은 반야바라밀의 相을 明心菩提,
(4) 반야바라밀에 의한 방편력을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에 잡히지 않고 번뇌를 끊어서 一切智에 이르는 것을 出道菩提,
(5) 佛果의 覺智를 無上菩提라고 한다. 이를 합해 五種菩提라 한다.
또 법화경論卷下에서는 佛의 法 · 報 · 應의 三身에 대해 法佛菩提(法身菩提) · 報佛菩提(報身菩提) · 應佛菩提(應身菩提)의 三種菩提를 주장하고 있다.
大乘義章十八에서는 無上菩提에는 方便菩提와 性淨菩提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다.
천태종에서는 十種菩提의 三法 가운데 하나로 三菩提를 들어,
(1) 實相의 理를 깨달은 것을 眞性菩提(實相菩提 · 無上菩提).
(2) 그 理에 계합한 지혜를 깨닫는 것을 實智菩提(淸淨菩提).
(3) 자유자재로 중생을 교화하는 기능을 깨닫는 것을 方便菩提(究竟菩提)라 하고, 이것은 법신 · 반야 · 해탈의 三德과 별개가 아니며, 三菩提가 곧 三軌라 했다. ........
생사(生死) : 輪廻라고도 번역한다. 業因에 의해서 六道의 迷界에 태어나서 죽기를 거듭하면서 윤회하는 것으로서, 涅槃(깨달음)의 逆. 生死가 끝이 없는 것을 밑바닥을 알 수 없는 바다에 비유해서 生死海라고 하고, 번뇌의 세계이기 때문에 生死苦海라고도 한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서 열반의 저 언덕에 이르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難度海라고도 한다.
① 二種生死. (1) 分段生死. 有漏의 善惡業을 因으로 하고 煩惱障을 緣으로 하여 三界내에 麤한 果報를 받을 때 그 과보는 壽命의 長短이나 육체의 大小 등 일정한 제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分段身이라고 하고, 분단신을 받아 윤회하는 것을 分段生死라고 한다. (2) 變易生死. 不思議變易生死라고도 한다. 아라한 · 벽지불 · 大力의 보살은 분단생사를 받는 일은 없으나, 그러나 無漏의 有分別의 業을 因으로 하고 所知障을 緣으로 하여, 界外 곧 三界 밖의 殊勝細妙한 果報의 身, 곧 意生身을 받아 이 몸을 가지고 三界내에 와서 보살의 行을 닦아서 佛果에 이른다. 그 몸은 悲願의 힘에 의해서 수명도 육체도 자유로히 變化改易할 수가 있으므로 일정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變易身이라고 하고, 변역신을 받는 것을 變易生死라고 한다.
열반(涅槃) : 滅 · 寂滅 · 滅度 · 寂이라 번역한다. 擇滅 · 離繫 · 解脫 등과 동의어로, 또 般涅槃(般은 범어 pari의 음역으로, 완전의 뜻. 圓寂이라 번역한다), 大般涅槃(大는 뛰어나다는 뜻, 大圓寂)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불어 끈다는 뜻, 불어 끈 상태, 곧 타오르는 번뇌의 불을 滅盡해서 깨달음의 지혜인 菩提를 완성한 경지를 말한다. 이것은 生死(迷의 세계)를 넘어선 깨달음의 세계로, 불교의 구극적인 실천목적이며, 그러므로 여기에 불교의 특징을 나타내는 旗印(法印)의 하나로서 涅槃寂靜을 세우게 된다. 불교 이외의 外道에서도 열반을 말하지만, 불교의 열반과는 다르다. 불교에서도 대승 · 소승에서 각기 그 해석에 異說이 많다.
① 部派(소승)불교에서 열반이라 함은 번뇌를 멸하여 없앤 상태라 하고, 여기에 有餘열반과 無餘열반의 2종열반을 세운다. 앞의 것은 번뇌를 끊었지만 육체(「殘餘의 依身」가 아직 있다는 의미로「餘依」또는「餘」라고 한다)는 아직 殘存하는 경우, 뒤의 것은 灰身滅智의 상태로, 모든 것이 滅無로 돌아간 경우를 가리킨다. 有部등에서는 열반을 하나의 본연의 자세인 실체적인 경지로 생각하고, 經量部등에서는 열반은 번뇌가 멸한 상태에 대한 假稱的인 명칭으로 실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② 대승에서는, 열반을 적극적인 것이라 생각하여, 常 · 樂 · 我 · 淨의 四德을 갖추지 않은 소승의 열반을 有爲열반이라고 하는 데 대해서, 이 사덕을 갖춘 열반을 無爲열반이라 하여, 이것을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또 南本열반경 卷三에는, 常 · 恒 · 安 · 淸淨 · 不老 · 不死 · 無垢 · 快樂의 8味가 열반에는 갖추어 있다고 하여, 이것을 열반의 八味라고 한다.
정사(正邪) : ① 바른 것과 잘못된 것. ② 正氣와 邪氣.
선악(善惡) : 선악의 性을 판단하는데 經 · 論과 諸師의 여러 說이 있다. 菩薩瓔珞經에는 이치를 따르는 것을 선이라 하고, 이치를 위배하는 것을 악이라 하였다. 大乘義章七에「順은 善이 되고, 違는 惡이 된다」하였음.
원실리담(圓實理談) : →원실(圓實).
계행(戒行) : 戒를 받은 뒤 계법의 조목에 따라 이를 실천 수행하는 것.
방일(放逸) : 心所(心의 작용)의 이름. 放縱하여 욕망이 작용하는 대로 흘러 善을 힘쓰지 않는 마음의 상태. 구사종에서는 모든 汚染心(不善心과 有覆無記心)과 相應해서 心所의 하나로 大煩惱地法으로 하고, 유식종에서는 大隨惑의 하나로 한다. 放逸의 반대어인 不放逸은 惡을 방지하여 멈추게 하고 善에 오로지 注力하는 정신작용을 가리킨다. 그런데 구사종에서는 모든 善心을 통하여 일어나는 心所의 하나로 하여 大善地法으로 보며 유식종에서는 善의 心所의 하나로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잠견자박(蠶繭自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자유-50(성철큰스님,70페) (1) | 2023.05.17 |
---|---|
자업자득(自業自得,1952)-국어사전 (1) | 2023.01.08 |
절관망수(絶觀忘守,2266)-뉴사전 (0) | 2021.11.23 |
잠견자박(蠶繭自縛,2212)-뉴사전 (0) | 2020.11.07 |
잠견자박(蠶繭自縛) (0) | 2016.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