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돈<漸頓,점차와 대번(순간)>

돈각(頓覺)

근와(槿瓦) 2017. 2. 12. 02:23

돈각(頓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차례를 밟아 닦지 않고 대번에 菩提를 깨친 사람을 일컫는다. 곧 소승에서 대승에 이르는 얕음에서 깊음으로의 차례를 밟아서 修學하지 않고 변칙적으로 한꺼번에 깨닫는 것을 말한다. 화엄종 5가운데 頓敎가 그것.

 

참고

보리(菩提) : 범어 bodhi의 음역···라고 번역한다·연각·성문이 각각 그 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나위 없는 최상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부르며, 번역하여 無上正等正覺·無上菩提라고 한다. 智度論卷五十三에는 불타의 보리에 대해서, (1) 보살이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發心하는 것을 그 마음은 菩提에 이르는 이라는 뜻으로 發心菩提, (2) 번뇌를 누르고 모든 波羅蜜을 행하는 것을 伏心菩提, (3) 諸法實相을 깨달은 반야바라밀의 明心菩提, (4) 반야바라밀에 의한 방편력을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에 잡히지 않고 번뇌를 끊어서 一切智에 이르는 것을 出道菩提, (5) 佛果覺智無上菩提라고 한다. 이를 합해 五種菩提라 한다.

 

소승(小乘) : 범어 hinayana. 은 싣고 운반하는 뜻.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가 되기에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는 수레라는 뜻. 대승의 . 이 교법 중에서 ·理··가 모두 深遠 광대하고, 따라서 수행하는 사람도 大器利根機類를 요하는 것을 대승이라 하고, 이와는 달리 아라한과와 벽지불과를 구하는 것을 소승이라 한다. 소승에는 성문승과 연각승이 있다. (1) 聲聞乘. 四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四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한다. (2) 緣覺乘. 12인연을 하여 辟支佛果에 이르는 것을 敎體로 한다. 이것은 모두 몸을 태우고 를 멸하여 空寂 열반의 깨달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생각한다.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100년에 上座部大衆部로 분열하였고, 이 대중부는 또 다시 9부로, 上座11부로 나뉘어져 결국 도합 20부가 되었다. 스승이나 지역 관계가 분열의 원인이 되었는데, 이와 같은 분열은 한편으로 교세의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각 부의 敎義는 서로 영향을 받았으며, 거기다가 이상적 질서를 부여한 것은 중국의 敎判으로, 窺基八宗判, 法藏十宗判 등이다. 이 이름은 대승이 有部煩瑣 연구를 소승이라고 낮추어 부른 데서 비롯한다. 대표적인 부파는 有部·經量部·正量部·大衆部 등이다. 인도의 상좌부·대중부 등의 20분파와 東土의 구사종·성실종·율종 등이다.

 

대승(大乘) : 摩訶衍那·摩訶衍이라 음역하며, 上衍, 上乘이라고도 한다. 은 타는 것이란 뜻이며, 迷惑此岸으로부터 깨달음의 彼岸에 이르는 敎法을 가리킨다. ① 阿含經에서는 불타의 가르침을 존중하여 大乘이라 했다. 대승·소승이란 말은 釋尊入滅 후 그 言行傳承을 중심으로 불교(原始佛敎)로부터 그 註釋的 硏究의 불교(部派불교)가 전개되는 것과 동시에 따로 보살도를 하는 불교(대승불교)가 또한 발달되었는데, 이때에 후자의 敎徒가 자신들이 받들고 있는 殊勝한 것으로 규정하여 대승이라 불렀으며, 전자를 낮추어서 小乘이라 이름하게 된데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전자의 敎徒로부터는 대승은 부처님이 말씀한 가 아니라고 非難하는 이른바 大乘非佛說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思想史的으로 보면 小乘大乘敎學의 기초 내지 前驅라고 하는 의미를 갖는다. 소승은 자신의 解脫만을 목적으로 하는 自調自度(調는 번뇌를 制伏하여 없애는 것. 는 깨달음에 이르는 것)聲聞·緣覺이며, 대승은 涅槃의 적극적인 의미를 인정하여 自利·利他兩面을 다 갖춘 보살의 도라 할 수 있다. 小乘에는 반야경·四分律·五分律 등의 , 婆沙論·六足論·發智論·俱舍論·成實論 등이 있고, 대승에는 般若經·法華經·華嚴經 등의 中論·攝大乘論·大乘起信論 등의 이 있다. 대승이 殊勝한 이유로서, 菩薩善戒經 卷七등에서는 , 世親攝大乘論釋 卷六에서는 十一을 들고 있는데, 보살선계경에서 말하는 七大乘이란 十二部經 가운데 最上의 경인 毘佛略에 기초를 두고(法大), 菩提心을 일으켜서(心大), 그 교를 이해하고(解大), 청정한 마음으로(淨大), 보살의 복덕과 지혜가 몸에 나타나며(莊嚴大), 三大阿僧祗劫의 수행을 쌓아(時大), 마침내 相好를 갖추며 無上菩提를 얻는것(具足大)이라고 했다. 印度의 대승에는 대략 中觀·瑜伽2系統과 밀교가 있다.

 

화엄종(華嚴宗) : 八宗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敎義를 크게 大成시킨 賢首의 이름을 따서 賢首宗이라고도 한다. ·시대 인도불교의 굴레를 벗어나 중국적 불교의 전성시대에 삼론종·천태종·율종·정토종 등 여러 종파와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되었다. 初祖에 관해서는 여러 이 있는데, 전통설은 杜順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2智儼을 거쳐서, 3法藏, 賢首에 이르러 크게 이루어 놓았다. 中唐 무렵 한때 부진하였다가 澄觀·宗密에 의하여 진흥되었으므로, 이들은 중국의 華嚴五祖라 하며, 또 인도의 馬鳴龍樹를 더하여 7조라고도 한다. 會昌廢佛, 5대의 난 때 쇠퇴하였다가 송나라 시대에 재흥되었는데 나라 이후는 미미해지고 말았다. 한국에서는 신라시대의 원효를 初祖로 하는 海東宗과 당나라에 가서 智儼의 종통을 전해온 義湘初祖로 하고, 태백산의 부석사를 宗刹로 하는 浮石宗이 있었으나, 후세에까지 오래 전해진 것은 부석종이다.

 

돈교(頓敎) : 설법의 내용상으로 보아 오랫 동안 수행해서 뒤에 깨달음에 도달하는 교법을 漸敎라고 하고, 빨리 佛果를 깨달아 얻는 교법을 頓敎라고 한다. 혹은 순서를 밟아서 점진적으로 證果에 이르는 교법을 점교라고 하며, 한번에 곧바로 佛果에 이르는 교법을 頓敎라고 한다. 설법 형식상으로 말하면 얕은 내용의 교에서 깊은 내용의 에로 점차로 하여 나가는 說法漸敎라고 하며, 처음부터 갑자기 깊은 내용의 하는 법을 頓敎라고 한다. 源空天台宗이나 密敎 같은데는 다 頓敎라 하여도 번뇌를 끊고 이치를 깨닫기 때문에 漸敎이며, 번뇌를 끊지 않고 凡夫가 곧바로 미혹의 세계를 떠나는 無量壽經는 순수한 頓敎이며, 중의 이라고 한다.

 

오교(五敎) : 화엄종에서는 불교를 五敎十宗에 분류 비판한다. 5로 나누어, 그 나타나는 敎理를 따라 十宗으로 한 것(杜順五敎止觀, 法藏華嚴五敎章 卷上 및 화엄경 探玄記 卷一). 五敎라 함은 (1) 小乘敎(愚法小乘敎·愚法聲聞敎라고도 한다. 愚法二乘을 위해 四諦十二因緣阿含經등의 ). (2) 大乘始敎(生敎·權敎·分敎라고도 한다. 모든 것은 實體가 없고 이라고 하는 반야경 등의 空始敎因緣에 의해서 생기는 모든 존재의 性相을 구별하여 하고, 五性各別하는 解深密經 등의 相始敎가 있다). (3) 大乘終敎(熟敎·實敎라고도 한다. 眞如緣起하여, 모든 중생이 성불할 수 있다고 가르치는 楞嚴經이나 起信論). (4) 頓敎(言句를 여의고, 位次에 구애하지 않으며, 문득 理性徹見하는 것을 가르치는 維摩經 등의 ). (5) 圓敎(원만하고 완전한 一乘하는 화엄경·법화경의 ).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점돈<漸頓,점차와 대번(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점(頓漸,506)-뉴사전  (0) 2022.02.16
돈오점수  (0) 2018.03.17
남북종(南北宗)  (0) 2016.07.03
돈오돈수와 돈오점수(돈오보림)  (0) 2016.06.12
남돈북점(南頓北漸)   (0) 2016.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