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대반야경-510-102

근와(槿瓦) 2016. 8. 16. 01:44

대반야경-510-10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06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번뇌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번뇌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출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출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물든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물든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생사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생사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507 / 2116] 쪽

"일체지가 열반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열반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안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안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바깥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바깥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두 중간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두 중간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체지가 얻을 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도상지와 일체상지가 얻을 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508 / 2116] 쪽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23 권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 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예류과(預流果)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一來果) 불환과(不還果) 아라한과(阿羅漢果)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509 / 2116] 쪽

"예류과가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510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가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예류과가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야경-520-104   (0) 2016.08.18
대반야경-515-103   (0) 2016.08.17
대반야경-505-101   (0) 2016.08.15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0) 2016.08.15
대반야경-500-100   (0) 2016.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