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경-425-8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21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출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물든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물든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청정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생사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생사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열반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열반에 속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안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안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바깥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바깥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두 중간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22 / 2116] 쪽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두 중간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얻을 수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얻을 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얻을 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진여(眞如)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法界) 법성(法性) 불허망성(不虛妄性) 불변이성(不變異性) 평등성(平等性) 이생성(離生性) 법정(法定) 법주(法住) 실제(實際) 허공계(虛空界) 부사의계(不思議界)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23 / 2116] 쪽
"진여가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424 / 2116] 쪽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25 / 2116] 쪽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함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함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샘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샘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샘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샘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숨는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숨는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드러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드러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진여가 착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법계 내지 부사의계가 착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야경-435-87 (0) | 2016.08.01 |
---|---|
대반야경-430-86 (0) | 2016.07.31 |
대반야경-420-84 (0) | 2016.07.29 |
대반야경-415-83 (0) | 2016.07.28 |
대반야경-410-82 (0) | 2016.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