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대반야경-420-84

근와(槿瓦) 2016. 7. 29. 09:14

대반야경-420-8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16 / 2116]

대반야바라밀다경 제 20

삼장법사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교계교수품(敎誡敎授品)


"또 선현아, 보살마하살이라 한 것을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곧 내공(內空)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外空) 내외공(內外空) 공공(空空) 대공(大空) 승의공(勝義空) 유위공(有爲空) 무위공(無爲空) 필경공(畢竟空) 무제공(無際空) 산공(散空) 무변이공(無變異空) 본성공(本性空) 자상공(自相空) 공상공(共相空) 일체법공(一切法空) 불가득공(不可得空) 무성공(無性空) 자성공(自性空) 무성자성공(無性自性空)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항상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덧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417 / 2116]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즐겁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괴롭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나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나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깨끗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깨끗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공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18 / 2116]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공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모양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모양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원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고요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고요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벗어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419 / 2116]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벗어나지 못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함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함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함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샘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샘이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샘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샘이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숨는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숨는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드러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드러난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420 / 2116]

"내공이 착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착하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착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착하지 않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죄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죄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죄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죄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번뇌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번뇌 있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번뇌 없다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외공 내지 무성자성공이 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내공이 출세간이라는 말이 보살마하살이냐?"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야경(大般若波羅蜜多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야경-430-86   (0) 2016.07.31
대반야경-425-85   (0) 2016.07.30
대반야경-415-83   (0) 2016.07.28
대반야경-410-82   (0) 2016.07.27
대반야경-405-81   (0) 2016.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