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57)-불고수보리 범소유상~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佛告須菩提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解義]
이 금강경 계통을 전부 통틀어 반야부(般若部)라고 하고 그 부수(部數)만도 六百부나 되고 경책의 권수로는 二千권이나 됩니다. 그 가운데는 반야심경(般若心經)같은 작은 경도 있지만 큰 경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六백부의 골수를 통틀어 얘기하는 대표적인 글이 다음에 나오는「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란 네 구절입니다. 이 네귀 열여섯 글자 안에 금강경의 핵심은 물론 반야 六백부 전체의 뜻을 유감없이 표현했다는 뜻에서 반야제일게(般若第一偈)라고도 합니다. 그 게송(偈頌)의 뜻은「모양으로 있는 모든 것, 모든 현상은 다 허망한 것이니 이 모든 현상이 상이 아닌 줄을 직관(直觀)할 줄 알면 곧 여래를 보는 것이고 마음을 깨친 것이다」그런 뜻입니다.
무릇 있는 바 모양(凡所有相)이란 현상계(現狀界)를 말하고 이때에 현상은 모든 생각, 안 보이는 모든 것까지 다 포함해서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가 보고 듣고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은 만분의 일초도 가만히 있는 것은 하나도 없고 질량 변화를 쉴새 없이 일으키고 있습니다. 에너지가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무엇이 됐다가 돌아오고 하므로 이것은 결국 믿을 수 없는 허망상(虛妄相)입니다. 이것이 다 우리의 마음을 속이는 것입니다(皆是虛妄).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학문ㆍ예술ㆍ종교ㆍ불교도 다 허망하고 오직 자기 마음만이 진짜입니다.「생각할 수 있는 것은 다 허망한 것이로구나」하고 생각해야 하는데 그것은 마치 실연당했을 때보다도 더해야 합니다. 가령 어떤 여자하고 연애를 하다가 그 여자 뒤에 어떤 남자가 있었다, 또는 그 남자에게 다른 여자가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면 생명을 걸고 사랑하려고 했던 그 마음이 홱 돌아섭니다. 그 총각 처녀 지나간 길로 걷기도 싫어질 것입니다. 애정 문제 가지고도 이렇게 마음이 돌아서는데 하물며 우주 인생의 근본 문제에 있어서는 말할 게 없습니다. 온 세상이 날 죽이려 하고 부처님까지도 날 죽이려고 하는 것 같을 겁니다. 이 육신을 죽여서 구렁텅이에 꼼짝 못하게 해놓고 썩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 우주 인생과 나와는 정이 완전히 떨어집니다. 연애하다 실연 당하는 정도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이 육신인 가짜 나는 이 얘기 끝나고 죽을지, 앞으로 얼마나 살아 있을지 그걸 생각하고 일해야 합니다. 그러면 사람이 착하게 됩니다. 남편이 작은 여자를 얻어 속을 썩이더라도「누가 먼저 죽을지 모른다. 내가 전생에 남편에게 속을 썩여서 나에게 복수하는 것이니 달게 빚이나 갚자.」이렇게 자꾸 생각하면 이것이 곧 지혜입니다. 이것이 곧 사람이 배워야 할 지식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먹고 나면 모든 것이 상(相)이 아닌 것으로 보게 됩니다(若見諸相非相).「이 세상에 미련이라고 남을만한 사건이란 하나도 없구나.」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허망인 줄 아는 것입니다. 그러면 곧 여래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래는 부처를 가리키는 말이고 마음자리를 가리키는 말이니 그게 곧 참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우리의 마음자리가 닳아 없어지도록 육신을 사랑했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이 몸뚱이한테 정이 떨어지고 나니 마음만이 드러납니다. 눈과 귀가 보고 듣는 게 아님을 확실히 알면 몸뚱이도 포기해 버리고 우주와 온 세상을 다 포기해서, 버릴 수 있는 것을 다 버리고 나면 버릴 수 없는 것만 남는데 그것은 마음뿐입니다. 마음자리를 알게 된다는 뜻입니다. 지금 깨치기 전에도 여래(如來)하면 마음이 확연히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연애하다 한번 배신 당하면 뜨겁던 정이 냉정하게 끊어져서 얼음보다도 더 식어 버립니다. 우리도 이 육체와 무서운 연애를 한 셈입니다. 그 어느 누구한테 어느 무엇에게보다도 다시 없이 이 몸뚱이를 소중히 여겨 아끼고 거두고 하루라도 더 살리려고 아들 딸도 제쳐 놓고 불성(佛性)자리만 생각으로 알 수 있는 그것들이 다 상(相)이 아닌 줄 알면 곧 여래를 발견한다. 곧 자기를 자꾸 정리해서 모든 생각을 정리하고 육체의 생각을 정리하면 마음자리를 발견합니다(卽見如來).
금강경에 사구절만 읽어 가지고 성불한 사람도 있고 반야바라밀만 읽어 가지고 신통(神通)이 나오기도 하고「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만 외워서 견성(見性)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한가지만 해야 합니다. 참선을 하든지, 염불을 하든지, 다라니를 하든지 하나에 전념을 해야지 이것저것 다하면 그것은 허욕이 되고 정신이 한 가지로 통일되기 어렵습니다. 가령 <옴마니반메훔>만 자꾸 염송(念頌)하다 보면 나중에는 소리도 아니고 <옴메>만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깨닫는 시간이 빨라집니다. 현상은 다 허망한 것이니 그런 줄 알았으면 마음이 드러난다는 금강경 四句偈 곧「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 제 상비상 즉견여래(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를 마음을 다해 읽었다면 깨닫게 된다는 것입니다. 딴 생각을 하고 읽기 때문에 마음이 안 드러나는 것이니 이것을 천독만독(千讀萬讀)해서도 안된다면 내생에 또 독송할 각오로 자꾸 읽어야 합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59)-모든 것은 생각이 만든 것 (0) | 2016.02.22 |
---|---|
금강경대강좌(58)-마음을 찾는 생활 (0) | 2016.02.21 |
금강경대강좌(56)-하이고 여래소설신상~ (0) | 2016.02.19 |
금강경대강좌(55)-불야 세존 불가이신상~ (0) | 2016.02.18 |
금강경대강좌(54)-수보리 어의운하~ (0) | 201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