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대반열반경(64)-640

근와(槿瓦) 2016. 1. 5. 00:54

대반열반경(64)-64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31 / 10007] 쪽

딴지가 사슴의 다리 같으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모든 중생에게 해치려는 마음을 내지 않고, 음식에는 만족함을 알며, 보시하기를 항상 좋아하고 병든 이를 보살피고 약을 주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몸이 원만하기가 니구타나무와 같고, 손이 무릎을 지나고, 정수리에 육계가 있으며, 정상을 볼 수 없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두려워하는 이를 보면 구호하여 주고, 헐벗은 이를 보고는 옷을 주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남근이 몸안에 숨어 있는 모양[陰藏相]을 얻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지혜 있는 이를 친근하고 어리석은 이를 멀리하며, 묻는 일에 대답하기 좋아하고 다니는 길을 깨끗이 쓸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살결이 보드랍고 몸의 털이 오른쪽으로 쏠리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항상 의복 · 음식 · 와구 · 의약 · 향 · 꽃 · 등불 따위로 남에게 보시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몸이 금빛 같고 늘 광명이 빛나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보시할 적에, 보배로운 것들을 아낌없이 버리되 복밭인가 아닌가를 보지 아니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일 곱 군데가 원만한 모양[七處滿相]을 얻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보시할 적에 마음에 의심을 내지 아니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부드러운 음성을 얻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법답게 재물을 구하여 보시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뼈마디가 원만하고 사자의 웃통 같고 팔과 팔꿈치가 원만하고 가늘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간하는 말과 욕설하는 말과 성내는 마음을 멀리 여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40개의 이가 희고 깨끗하고 가지런하고 조밀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모든 중생에게 대자비를 닦으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두 송곳니가 희고 크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항상 원하기를 와서 달라는 이에게 달라는 대로 주리라 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사자와 같은 빰을 얻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중생들이 달라는 대로 음식을 주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맛 가운데 좋은 맛을 얻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스스로 열 가지 선한 일을 행하고 남에게까지 교화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넓고 긴 혀를 얻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다른 이의 단점을 들추어내지 않고, 정법을 비방하지 아니하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범(梵) 음성을 얻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원수나 미운 이를 보고 기쁜 마

 

                                                                                                                     [632 / 10007] 쪽

음을 내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속눈썹이 검붉게 되느니라. 만일 보살마하살이 다른 이의 덕을 숨기지 않고, 잘한 일을 드날리면, 이런 업의 인연으로 양미간의 백호상을 얻느니라. 선남자여, 만일 보살마하살이 이렇게 32상을 얻을 업의 인연을 닦으면 보리심이 퇴전하지 않게 되느니라. 선남자여, 온갖 중생들을 헤아릴 수 없으며, 부처님의 경계와 업의 과보와 불성을 헤아릴 수 없느니라. 왜냐 하면 이 네 가지 법은 모두 항상한 것이며, 항상한 연고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니라. 온갖 중생은 번뇌가 덮이었으므로 항상하다 이름하며, 항상한 번뇌를 끊으므로 무상하다 하느니라. 만일 온갖 중생이 항상하다면, 어찌하여 8성도를 닦아서 모든 괴로움을 끊겠는가. 모든 괴로움이 만일 끊어지면 무상하다 이름하고, 받는 낙은 항상하다 하나니, 그러므로 내가 말하기를 '모든 중생들이 번뇌가 덮이어서 불성을 보지 못하고 보지 못하는 연고로 열반을 보지 못한다' 하느니라."

 

                                                                                                                    [633 / 10007] 쪽

대반열반경 제 27 권

송대 사문 혜엄 등이 니원경에 의거하여 덧붙임

 

23. 사자후보살 ③

사자후보살이 또 이렇게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 말씀과 같이 모든 법에 두 가지 인이 있으니, 하나는 정인(正因)이요 하나는 연인(緣因)이오나, 이 두 가지 인으로는 묶고 푸는 것이 없으리이다. 이 5음은 잠깐잠깐 사이에 났다 없어졌다 하나니, 만일 났다 없어졌다 한다면, 누가 묶고 누가 푸나이까? 세존이시여, 이 5음으로 인하여 뒤의 5음을 내거니와, 이 5음은 스스로 멸하고 저 5음에 이르지 않으며, 비록 저 5음에 이르지 않더라도 능히 저 5음을 내나이다. 마치 씨를 인하여 싹이 나거니와 씨는 싹에 이르지 않으며, 비록 싹에 이르지 않더라도 능히 싹을 내는 것 같나이다. 중생도 그러하옵거늘 어찌하여 묶고 푼다 하오리까?"

 

"선남자여, 자세히 잘 들으라. 내가 그대에게 분별하여 해설하리라. 선남자여, 마치 사람이 목숨을 버리려고 크게 괴로울 적에 일가 친척들이 둘러앉아 울고불고 슬퍼하거든 그 사람이 공포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며, 비록 다섯 가지 정(情)이 있으나 감각이 없고, 팔 다리는 떨리어 스스로 진정하지 못하며, 몸은 식어가고 더운 기운은 다하려 하거든, 먼저 닦아 익혔던 선과 악의 과보를 보게 되느니라. 선남자여, 해가 지려 할 적에는 산이나 언덕의 그림자가 동쪽으로 나타나고, 서쪽으로 기울어질 이치가 없느니라. 중생의 업과 과보도 그와 같아서 이 5음이 없어질 때에 저 5음이 계속하여 생기나니, 마

 

                                                                                                                    [634 / 10007] 쪽

치 등불이 켜지면 어둠이 없어지고, 등불이 꺼지면 어둠이 나는 것과 같으니라. 선남자여, 밀랍으로 만든 인[蠟印]을 인주[泥]에 찍으면 인과 인주가 합하였다가, 인은 없어지고 글씨가 생기거니와, 밀랍으로 만든 인이 변하여서 인주에 있지도 아니하고 글씨가 인주에서 나오지도 아니하고, 다른 데서 오는 것도 아니요, 밀랍으로 만든 인의 인연으로 글씨가 생기느니라.

 

현재의 5음이 없어지면 중음신의 5음이 생기거니와, 이 현재의 5음이 변하여서 중음신의 5음이 되지도 아니하고, 중음신의 5음이 스스로 생기는 것도 아니며, 다른 데서 오는 것도 아니요, 현재의 5음을 인해서 중음의 5음이 생기는 것이니, 마치 밀랍으로 만든 인을 인주에 찍으면, 인이 망그러지면서 글씨가 생기는 것과 같아서 이름은 비록 차별이 없으나 시절이 제각기 다르니라.

 

그러므로 내가 말하기를, 중음신의 5음은 육안으로는 볼 수가 없고, 천안(天眼)으로야 본다고 하느니라. 이 중음신에는 세 가지 먹는 것이 있으니, 하나는 생각으로 먹음[思食]이요 둘은 닿이어서 먹음[觸食]이요 셋은 뜻으로 먹음[意食]이니라. 중음신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선한 업의 과보요, 둘은 악한 업의 과보니라. 선한 업을 인해서는 선한 알음알이[覺觀]를 얻고, 악한 업을 인해서는 악한 알음알이를 얻나니, 부모가 교접할 적에 업의 인연을 따라서 태에 들게 되는데, 어미에게는 사랑함을 내고, 아비에게는 미워함을 내며, 아비의 정수가 나올 적에는 자기의 것이라 여기고, 보고서는 기뻐서 환희한 마음을 내나니, 이 세 가지 번뇌의 인연으로 중음신의 5음이 없어지고 후생(後生)의 5음을 내는 것이, 마치 인주에 찍었던 인이 망그러지고, 글씨가 생기는 것과 같으니라. 태어날 적에 모든 근이 구족하기도 하고 구족하지 못하기도 하거니와, 구족한 이는 색을 보고 탐심을 내며, 탐심을 내므로 사랑이라 하며, 광란(狂亂)하여 탐심을 내는 것을 무명이라 하느니라. 탐애(貪愛)와 무명의 두 가지 인연으로 말미암아 보는 경계가 모두 뒤바뀌어서 무상한 것을 항상하다 보고, 내가 없는 것을 내가 있다 보고, 낙이 없는 것을 즐겁다 보고, 부정한 것을 깨끗하다 보느니라. 네 가지 뒤바뀜으로 말미암아 선한 행과 악한 행을 짓나니, 번뇌는 업을 짓고 업은 번뇌를 짓는 것을 속박이라 이름하며, 이런

 

                                                                                                                    [635 / 10007] 쪽

뜻으로 5음이 생긴다 이름하느니라. 이 사람이 만일 부처님이나 부처님의 제자나 선지식을 친근하면, 문득 12부경을 듣게 되고, 법문을 들었으므로 선한 경계를 관찰하고, 선한 경계를 관찰하므로 큰 지혜를 얻고, 지혜를 얻은 이는 바른 지견[正知見]이라 하고, 바른 지견을 얻었으므로 생사 중에서 뉘우치는 마음을 내고, 뉘우치는 마음을 내었으므로 즐거운 마음을 내지 않고, 즐거움을 내지 아니하므로 탐심을 깨뜨리고, 탐심을 깨뜨렸으므로 8성도를 닦고, 8성도를 닦으므로 생사가 없어지고, 생사가 없어지므로 해탈을 얻었다 하나니, 불이 섶을 만나지 못한 것을 꺼졌다고 이름하는 것과 같으니라.

 

생사를 멸하였으므로 멸도(滅度)라 이름하나니, 이런 뜻으로 5음이 멸하였다 이름하느니라."

 

사자후보살이 아뢰었다. "허공 가운데 가시가 없거늘 무엇을 뽑는다 하오며, 5음에 속박하는 이가 없다면, 어찌하여 속박이라 하오리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번뇌의 사슬로 5음을 속박하나니, 5음을 여의고 따로 번뇌가 없고, 번뇌를 여의고 따로 5음이 없느니라. 선남자여, 기둥이 집을 지탱함과 같아서, 집을 여의고 기둥이 없으며, 기둥을 여의고 집이 없나니, 중생의 5음도 그와 같아서, 번뇌가 있으므로 속박이라 하고 번뇌가 없으므로 해탈이라 하느니라. 선남자여, 마치 주먹과 손바닥을 모으는 것과 결박하는 것 등 세 가지는 합하고 흩어져서 났다 없어졌다 하는 것이요, 다시 다른 법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

 

중생의 5음도 그와 같아서, 번뇌가 있으므로 속박이라 하고 번뇌가 없으므로 해탈이라 하느니라. 선남자여, 명과 색[名色]이 중생을 속박하였다는 말과 같나니, 명과 색이 멸하면 중생이 없거니와 명과 색을 여의고 따로 중생이 없으며, 중생을 여의고 따로 명과 색이 없지만, 명과 색이 중생을 속박한다고도 이름하고, 중생이 명과 색을 속박한다고도 이름하느니라."

 

사자후보살이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마치 눈이 스스로 보지 못하고, 손가락이 스스로 찌르지 못하고, 칼이 스스로 깎지 못하고, 수(受)가 스스로 받지 못하옵거늘, 어찌하

 

                                                                                                                      [636 / 10007] 쪽

여 여래께서 명과 색이 명과 색을 속박한다 말씀하시나이까? 왜냐 하면 명과 색이라 말하면 곧 중생이요, 중생이라 말하면 곧 명과 색이기 때문이니, 만약 명과 색이 중생을 속박한다 말하면 이는 곧 명과 색이 명과 색을 속박한다 함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여, 두 손을 합할 적에 다른 법이 와서 합함이 없느니라. 명과 색도 그와 같나니, 이런 뜻으로 내가 말하기를 명과 색이 중생을 속박한다 하는 것이며, 만일 명과 색을 여의면 곧 해탈이니, 그러므로 말하기를 중생이 해탈한다고 하느니라."

 

사자후보살이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명과 색이 있는 것을 속박이라 한다면, 아라한들이 아직 명과 색을 여의지 못한 것도 속박이라 하겠나이다."

 

"선남자여, 해탈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종자를 끊음[子斷]이요, 둘은 과보를 끊음[果斷]이니라.

 

종자를 끊음은 번뇌를 끊음이라 하나니, 아라한은 이미 번뇌를 끊었으므로 모든 속박[結]이 무너졌느니라. 그러므로 종자의 번뇌는 속박하지 못하거니와, 과보를 끊지 못하였으므로 과보의 속박이라 이름하니라.

 

아라한들이 불성을 보지 못하였나니, 보지 못한 연고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하느니라. 이런 뜻으로 과보의 속박이라고는 말할지언정, 명과 색의 속박이라고는 말할 수 없느니라. 선남자여, 마치 등불을 켜는 것과 같아서, 기름이 다하기 전에는 밝은 빛이 꺼지지 않거니와, 기름이 다하면 꺼질 것이 의심없느니라. 선남자여, 기름은 번뇌에 비유하고 등은 중생에 비유한 것이니, 모든 중생들이 번뇌의 기름인 연고로 열반에 들지 못하거니와, 만일 번뇌를 끊는다면 열반에 드느니라."

 

사자후보살이 또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등과 기름은 두 성품이 각각 다르거니와, 중생과 번뇌는 그렇지 아니하여, 중생이 곧 번뇌요 번뇌가 곧 중생이며, 중생을 5음이라 하고 5음을 중생이라 하며, 5음을 번뇌라 하고 번뇌를 5음이라 하옵거늘 어찌하여 여래께서 등에 비유하나이까?"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637 / 10007] 쪽

"선남자여, 비유에 여덟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수순하는 비유[順喩]요, 둘은 거슬러 하는 비유[逆喩]요, 셋은 현재에 있는 비유[現喩]요, 넷은 실제가 아닌 비유[非喩]요, 다섯은 먼저 하는 비유[先喩]요, 여섯은 뒤에 하는 비유[後喩]요, 일곱은 앞과 뒤에 하는 비유[先後喩]요, 여덟은 두루하는 비유[遍喩]니라.

 

어떤 것을 수순하는 비유라 하는가. 경에 말하기를 '하늘에서 큰비가 오면 도랑이 넘치고, 도랑이 넘치므로 작은 구렁이 넘치고, 작은 구렁이 넘치므로 큰 구렁이 넘치고, 큰 구렁이 넘치므로 큰 샘이 넘치고, 큰 샘이 넘치므로, 작은 못이 넘치고, 작은 못이 넘치므로 큰 못이 넘치고, 큰 못이 넘치므로 작은 강이 넘치고, 작은 강이 넘치므로 큰 강이 넘치고, 큰 강이 넘치므로 큰 바다가 넘치나니, 여래의 법비도 이와 같아서 중생의 계행이 만족하고, 계행이 만족하므로 후회하지 않는 마음이 만족하고, 후회하지 않는 마음이 만족하므로 환희한 마음이 만족하고, 환희가 만족하므로 멀리 여의는 것이 만족하고, 멀리 여의는 일이 만족하므로 편안함이 만족하고, 편안함이 만족하므로 삼매가 만족하고, 삼매가 만족하므로 바른 지견이 만족하고 바른 지견이 만족하므로 싫어함이 만족하고, 싫어함이 만족하므로 꾸짖음이 만족하고, 꾸짖음이 만족하므로 해탈이 만족하고, 해탈이 만족하므로 열반이 만족하니라' 한 것을 수순하는 비유라 이름하니라.

 

어떤 것을 거슬러 하는 비유라 하는가. 큰 바다의 근본이 있으니 큰 강이요, 큰 강의 근본이 있으니 작은 강이요, 작은 강의 근본은 큰 못이요, 큰 못의 근본은 작은 못이요, 작은 못의 근본은 큰 샘이요, 큰 샘의 근본은 작은 샘이요, 작은 샘의 근복은 큰 구렁이요, 큰 구렁의 근본은 작은 구렁이요, 작은 구렁의 근본은 도랑이요, 도랑의 근본은 큰비인 것처럼, 열반의 근본이 있으니 해탈이요, 해탈의 근본이 있으니 꾸짖음이요, 꾸짖음의 근본은 싫어함이요, 싫어함의 근본은 바른 지견이요, 바른 지견의 근본은 삼매요, 삼매의 근본은 편안함이요, 편안함의 근본은 멀리 여의는 일이요, 멀리 여의는 일의 근본은 환희한 마음이요, 환희한 마음의 근본은 후회하지 아니함이요, 후회하지 않는 근본은 계행을 가짐이요, 계행을 가지는 근본은 법비니라 하는 것은, 거슬러 하는 비유라 하느니라.

 

어떠한 것을 현재에 있는 비유라 하는가. 경에서 말하기를 중생의 마음이

 

                                                                                                                    [638 / 10007] 쪽

원숭이와 같나니, 원숭이의 성품은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가짐이니라. 중생의 마음도 그와 같아서 빛과 소리와 향과 맛과 닿임과 법에 취착하여 잠시도 머무는 때가 없다고 함은 현재에 있는 비유라 하느니라.

 

어떠한 것을 실제가 아닌 비유라 하는가. 내가 예전에 바사닉왕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대왕이여, 어떤 믿는 사람이 사방에서 와서 각각 말하기를, 대왕이시여, 네 개의 큰 산이 사방으로부터 백성들을 해하려 한다고 하면 왕은 이 말을 듣고는 어떻게 하겠습니까?' 그러자 왕이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설사 이런 일이 있어도 도피할 곳이 없으니, 다만 전심으로 계율을 지키고 보시할 뿐입니다.'나는 이렇게 찬탄하였노라. '훌륭합니다. 대왕이여, 내가 말한 네 개의 산이라 함은, 곧 중생의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데 비유한 것입니다.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이 항상 와서 사람을 침노하거늘, 대왕은 어찌하여 계율을 지키고 보시를 행하지 않습니까?' 왕은 이렇게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계율을 지키고 보시를 행하여 어떠한 과보를 얻나이까?' 나는 말하였다. '대왕이시여, 인간에나 천상에 태어나서 훌륭한 쾌락을 받나이다.'왕은 또 말하기를 '니구타나무가 계율을 지키고 보시를 하여도, 인간에나 천상에서 쾌락을 받겠나이까?' 하기에 나는 이렇게 말하였다. '니구타 나무는 계율을 지키고 보시를 행할 수가 없거니와, 그렇게 하기만 하면 쾌락을 받을 것이 다를 것 없습니다.' 이런 것을 실제가 아닌 비유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먼저 하는 비유라 하는가. 내가 경 가운데 말하기를 '어떤 사람이 아름다운 꽃을 탐내어 꽃을 꺾다가 물에 떠내려갔으니, 중생들도 그와 같아서 5욕락에 탐착하다가 나고 늙고 죽음의 물에 떠내려가느니라' 하였으니, 이런 것을 먼저 하는 비유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뒤에 하는 비유라 하는가. 『법구경』에 말하였다.

 

                                                                                                                    [639 / 10007] 쪽

작은 악을 가벼이 여겨 재앙이 없다 말하지 말라. 물방울이 작지만 큰 그릇을 채우느니라. 이런 것을 뒤에 하는 비유라 하느니라.

 

어떤 것을 앞과 뒤에 하는 비유라 하는가. '마치 파초가 열매를 맺으면 죽는 것처럼 어리석은 사람이 이양을 얻는 것도 그와 같나니, 노새가 새끼를 배면 생명을 오래 보전하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라' 하는 것이, 앞과 뒤에 하는 비유니라.

 

어떤 것을 두루하는 비유라 하는가. 경에 말하기를 '33천에 파리질다나무가 있는데, 뿌리는 땅속으로 5유순이나 깊이 들어가고 높이는 1백 유순이요 가지와 잎은 사방으로 50유순이나 퍼지었다. 잎이 성숙하면 누렇게 되므로 하늘 사람들이 보고 환희한 마음을 내어, 이 잎은 오래지 않아 반드시 떨어지리라 하고, 잎이 떨어지면 또 환희심을 내어 이 가지가 오래지 않아 빛이 변하리라 하고, 가지의 빛이 변하면 또 환희심을 내어 이 빛이 오래지 않아 반드시 포(皰)가 생기리라 하고, 포를 보고는 또 기뻐서 이 포가 오래지 않아 꽃봉오리가 생기리라 하고, 꽃봉오리를 보고는 또 기뻐서 이 꽃봉오리가 오래지 않아 활짝 피리라 하나니, 필 적에는 향기가 50유순까지 퍼지고 광명이 80유순까지 비치나니, 그 때에 하늘 사람들이 여름 석 달 동안 그 아래서 낙을 받느니라. 선남자여, 나의 제자들도 그와 같나니, 잎이 누렇게 되는 것은 나의 제자가 출가하려는 데 비유하고, 잎이 떨어짐은 나의 제자의 머리카락과 수염을 깎는 데 비유하고, 빛이 변함은 나의 제자의 네 번 고하는 갈마[白四羯磨]를 하여 구족계를 받는 데 비유하고, 처음으로 포가 생기는 것은 나의 제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마음을 내는 데 비유하고, 꽃봉오리는 10주 보살이 불성을 보는 데 비유하고, 꽃이 피는 것은 보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데 비유하고, 향기는 시방의 한량없는 중생이 계율을 받아 갖는 데 비유하

 

                                                                                                                     [640 / 10007] 쪽

고, 광명은 여래의 명호가 걸림없이 시방에 두루 퍼짐에 비유하고, 여름 석 달은 세 가지 삼매에 비유하고, 33천이 쾌락을 받음은 부처님들이 대열반에 계시면서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함을 얻는 데 비유하였으니, 이것을 두루하는 비유라 하느니라.

 

선남자여, 무릇 비유하는 것은 반드시 모두 취할 것이 아니요, 혹 조금만 취하기도 하고, 혹 많이 취하기도 하고, 혹은 전부를 취하기도 하나니, 마치 여래의 얼굴이 보름달 같다고 함은, 조금만 취한 비유라 하느니라. 선남자여, 어떤 사람이 애초에 젖은 알지 못하여서 다른 이에게 젖이 어떠냐고 물었다. 대답하기를, 물과 같고 꿀과 같고 조개와 같다고 하였으니, 물은 습한 모양이고 꿀은 단 성품이고 조개는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이렇게 세 가지 비유를 말하였으나 젖의 실상은 아니니라. 선남자여, 내가 등불을 이끌어서 중생에게 비유한 것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여, 물을 떠나서는 강이 없나니, 중생도 그러하여 5음을 떠나서는 따로 중생이 없느니라. 선남자여, 수레 바탕과 바퀴와 바퀴살과 굴대와 덧바퀴와 수레 지붕을 떠나서는 따로 수레가 없듯이, 중생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여, 만일 저 등불의 비유를 법에 합치하려면 자세히 잘 들으라, 내가 이제 말하리라. 심지는 25유에 비유하고, 기름은 애욕에 비유하고, 밝은 빛은 지혜에 비유하고, 어둠을 깨뜨림은 무명을 없애는 데 비유하고, 더움은 성인의 도에 비유하고, 기름이 다하면 밝은 불꽃이 꺼지는 것은 중생의 애욕이 다하면 불성을 보는 데 비유한 것이다. 비록 명과 색이 있어도 속박하지 못하나니, 비록 25유에 있더라도 모든 유의 더럽힘을 받지 않느니라."

 

사자후보살이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중생의 5음이 공하여 있지 않다면, 누가 가르침을 받고 도를 닦겠나이까?"

 

"선남자여, 온갖 중생이 모두 생각하는 마음, 지혜의 마음, 처음 내는 마음[發心], 정진하는 마음, 믿는 마음, 선정의 마음이 있나니, 이런 따위의 법이 비록 순간순간 생멸하더라도, 오히려 비슷하게 서로 계속하여 끊어지지 아니하므로 도를 닦는다 이름하느니라."사자후보살이 아뢰었다.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열반경(66)-660   (0) 2016.01.07
대반열반경(65)-650  (0) 2016.01.06
대반열반경(63)-630  (0) 2016.01.04
대반열반경(62)-620   (0) 2016.01.03
대반열반경(61)-610   (0) 2016.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