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般若波羅蜜經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法會因有分 第一
如是我聞하오니 一時에 佛이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하사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으로 俱러시니 爾時에 世尊이 食時라 着衣持鉢하시고 入舍衛大城하사 乞食하실새 於其城中에 次第乞已하시고 還至本處하사 飯食訖하시고 收衣鉢하시고 洗足已하시고 敷座而坐러시다.
第一 法會因由分-법회가 열린 인연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때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이란 절에서 비구 천 이백 오십인과 함께 계시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진지 잡수실 때가 되어, 가사 입으시고 바라 들으시고 사위 서울에 들어가시와 성 안에서 차례대로 비시었다. 그리고 절로 돌아오셔서 진지 잡수시고는 가사와 바리를 거두시고 발 씻으신 뒤 자리 펴고 앉으시었다.
금강경대강좌(1)-靑潭큰스님 說法
[科解]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은 이 금강경을 부처님께서 설법(說法)하시게 된 동기(動機)를 아란존자(阿難尊者)께서 설명하신 대문(大文)입니다. 법회(法會)가 열리게 된 인유라 하여 법회인유(法會因由)라 했고, 과목(課目) 장절(章節)이란 뜻으로 분(分)이라 했고, 제일장(第一章) 또는 제일과(第一課)란 뜻으로 제일(第一)이라 했습니다. 그러므로 요사이 말로 고치면「제일장 법회가 열리게 된 인연」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부처님의 경은 어느 경이거나 대개 삼분(三分)으로 나누어 그 뜻을 이해합니다. 처음이 서분(序分)이고 다음은 정종분(正宗分) 마지막은 유통분(流通分)이라 합니다. 서분은 서론(序論)이란 뜻이고 정종분은 본론(本論)이란 뜻이며 유통분은 결론(結論)과 아울러 후세에 길이 전해져서 인류 사회에 큰 이익이 되도록 널리 펴라고 당부하신 대문입니다. 이 가운데 서분은 부처님께서 직접 말씀하신 대문이 아니고 정종분과 유통분만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인데, 유통분 가운데도「맨 끝에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고 나니 누구누구가 어떻게 듣고 기뻐하며 받아 지니었다(佛說是經已 長老須菩提 及諸比丘 比丘尼 優婆塞 優婆尼 一切世間天人阿修羅 聞佛所說 皆大歡喜信受奉行)」하는 이 경문(經文)도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고 역시 아란존자(阿難尊者)의 말씀입니다.
경문의 내용을 장절(章節)로 나누는 것을 과목(科目) · 과판(科判)이라 하는데, 중국 위나라 때 위제(魏帝)가 대덕법사(大德法師)들을 초청하여 경 강의하는 것을 듣고 묻기를「공자의 유교나 노자의 도교는 경문(經文)에 장단(章段)이 있는데 불경에는 왜 과단(科段)이 없습니까.」하고 물었습니다. 그때 대덕(大德)스님네가 경문에 과목 나누는 것을 대답을 잘 못했는데, 양양(襄陽)에 계시던 도안법사(道安法師)가 이 말을 듣고 경문에 서(序) · 정종(正宗) · 유통(流通)의 三분(分)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때부터 경문에 삼분으로 과판(科判)하는 것이 통례가 되어 왔다고 합니다.
그런데 경문(經文)을 삼분으로 나누는 것은 어떤 경이든 거의가 다 이렇게 분석(分析)하여 공부할 수 있는 공통(共通)의 과판법(科判法)일 뿐이지 그 이상은 나눌 수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래서 금강경도 三二분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나누어 공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도 三분(分) 가운데 서분(序分)이면서 三二분 가운데 제일분(第一分)이 됩니다.
원문 如是我聞
해의(解義)
부처님께서 四九년 동안 말씀하신 것을 그대로 기록한 것이 해인사(海印寺)의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입니다. 부처님께서 돌아가신 뒤에 제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엮어 낸 것인데, 그때 아란존자(阿難尊者)가 부처님의 말씀을 외워내는 중역(重役)을 했습니다.
아란존자는 부처님께서 아침에 샛별 보고 마음 깨쳐 도통(道通)하신 그 시간에 태어났다 하여 아란을 한문자로 경희(慶喜 : 경사스럽고 기쁘다)라고 번역합니다. 이 아란존자가 스무살이 되어서 부처님께 왔습니다. 그때 아란존자는 자기가 중이 되는데 세 가지 조건으로「첫째, 부처님은 당시 최고의 대접을 받는 분이었으므로 임금도 못먹는 음식을 대중들이 갖다 드리고 하는데 부처님 잡수시다 남은 음식을 나에게 먹으라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은 내 위신에 관계됩니다. 둘째, 부처님은 옷을 해다 드리는 이들이 많아서 당신 입던 옷을 제자에게 주고 또 부자들이 사서 입고 하는데 나에게 부처님의 헌 옷을 입으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셋째, 제가 출가하기 전에 부처님께서 二十년 동안 설법하신 것을 새로 한번 낱낱이 개인교수(個人敎授)해 주셔야 합니다」하고 사뢰었습니다.
부처님은 이 세 가지 조건을 다 받아 주고 그의 출가를 허락하셨습니다. 그래서 여가 나는 대로 밤이고 낮이고 아란존자 출가하기 전 이십년 동안 설법하신 내용을 다시 일러 주셨습니다. 아란존자는 한 번 들은 것은 무엇이나 기억하는 좋은 기억력(記憶力)과 지혜를 가지고 있는 분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란존자는 십대제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다문제일(多聞第一 : 제일 많이 들었다는 뜻)이 되셨습니다.
이 아란존자가 부처님 열반하실 때「경전 맨 첫머리에 무슨 말을 해야 하겠습니까.」하고 물었습니다. 이때 부처님께서「여시아문(如是我聞)이라 하라」고 하셨으니, 「나는 이렇게 들었다.」「내가 들은 대로 쓴다.」「이렇게 쓰라고 하셨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을 강조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경전 첫머리에는 어느 경에나「여시아문」이 있는데 이것은 곧 부처님의 말씀이 그대로 다 있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일시불(一時佛)로 이어집니다.***
출전 : 金剛經大講座(靑潭說法)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3)-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0) | 2015.12.23 |
---|---|
금강경대강좌(2)-一時佛(청담큰스님) (0) | 2015.12.20 |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0) | 2015.12.01 |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 (0) | 2015.11.16 |
금강경삼가해(金剛經三家解) (0) | 201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