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선(十善)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十惡] 身 · 口 · 意의 三業중에서 현저히 뛰어난 10種의 善惡의 행위를 말한다.
곧 十惡이라 함은 殺生(斷生命) · 偸盜(不與取 · 劫盜) · 邪婬(欲邪行 · 婬妷 · 邪欲) · 妄語(虛誑語 · 虛妄 · 속임) · 兩舌(離間語 · 破語) · 惡口(麤惡語 · 惡語 · 惡罵) · 綺語(雜穢語 · 非應語 · 散語 · 無義語) · 貪欲(貪 · 貪愛 · 貪取 · 慳貪) · 瞋恚(瞋 · 恚 · 害) · 邪見(愚癡)의 10으로 이들을 여의는 것이 10善이다.
이들은 순차로 身業에 속하는 것이 3, 口業에 속하는 것이 4, 意業에 속하는 것이 3이기 때문에, 이들을 身三 · 口四 · 意三으로 따지고, 意三을 덜어서 7支 · 7支業이라고 한다(口四는 語四라고도 한다).
10善 · 10惡은 十善業道(十善道 · 十善根本業道 · 十白業道) · 十不善業道(十惡業道 · 十不善根本業道 · 十黑業道)라고도 하는데, 이들 十業道는, 業이 遂行되는 經過에 加行과 根本과 後起의 三단계가 있는 중의 根本 곧 根本業道에 대해서 세운다.
10善 · 10惡의 說은 大乘 · 小乘의 많은 경전에 說해지고, 阿含에서는 十善은 人 · 天의 세계에 태어나고, 10惡은 지옥 · 아귀 · 축생의 三惡道에 떨어진다고 하고, 有部 등의 部派에서는 10善 · 10惡에 의한 果를 異熟果 · 等流果 · 增上果로 나누는데, 예컨대 10惡에 의해서 三惡道에 태어나는 것이 異熟果, 殺生業에 의해서 多病斷命인 것이 等流果, 殺生業에 의해서 霜雹, 塵穢 등의 害를 만나는 것이 增上果라고 한다.
또 10惡은 어떤 것이나 貪 · 瞋 · 癡의 三不善根중 어느 하나가 加行(준비적 작용)이 되어 일어나고, 그것이 業道가 되어 나타날 때에는 각기 셋중의 특정의 하나 또는 셋중에 어느 하나에 의한다고 한다.
10惡중에서는 殺生 및 邪見이 가장 重하다고 說하고, 新譯 화엄경 권35에는 10善 · 10惡을 하는 자는, 善의 强弱의 정도에 따라서 人 · 天의 果, 三乘의 果, 佛果를 얻고, 惡의 정도에 따라서 三惡道(强은 지옥, 中은 축생, 弱은 아귀)에 태어나고, 또는 人間에 태어난다 하더라도 斷命 · 多病 그 밖에 不幸을 당한다고 說함.
10善은 惡을 그치고 善을 행하게 하는 戒이기 때문에 十善戒(十善法戒, 十善性戒, 十根本戒)라고도 한다. 瓔珞本業經 卷下에는 下品의 10善을 닦는 자는 人中의 王, 中品의 10善은 栗散王(小國의 王), 上品의 10善은 鐵輪王(轉輪聖王의 1)이 된다고 說하고, 그런 의미에서 王位를 10善의 位, 帝王을 10善의 君이라고 한다.
천태종에서는 圓敎의 十信位의 보살을 十善의 보살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無量壽經 卷下에는 (1) 殺生, (2) 偸盜, (3) 邪婬, (4) 兩舌 · 惡口 · 妄語 · 綺語, (5) 飮酒를 五惡이라 하고, 이에 반하는 것을 五善이라고 說함. 이 가운데 제4에 妄語만을 든다면 5戒와 같은 德目이 되기 때문에 五戒를 지키는 것이 5善, 5戒를 배반하는 것이 5惡이라고도 해석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