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업(三業)

삼업(三業,1212)-뉴사전

근와(槿瓦) 2020. 5. 27. 03:13

삼업(三業,121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의 작용. ()과 구()와 의()가 이루는 행위. 몸으로 하는 것과, 입으로 말하는 것,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 3가지로 일체의 생활 활동이 이루어짐. 신업(身業)과 구업(口業)과 의업(意業). , 어떤 것을 하려고 의지하는 것이 의업(意業)이고, 그것이 신체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신업(身業), 언어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이 구업(口業). (1) 복업(福業 : 欲界善業). (2) 비복업(非福業 : 欲界의 악업). (3) 부동업(不動業 : ·無色界에 속하는 禪定). 선업(善業)과 악업(惡業)과 무기업(無記業). (1) 유루업(有漏業 : 범부의 소작(所作)으로 분단생사(分段生死)의 과보를 느낌). (2) 무루업(無漏業 : 2()의 소작(所作)으로 방편유여토(方便有餘土)의 업보를 느낀다). (3) 비루비무루업(非漏非無漏業 : 보살의 소작(所作)으로 실보토(實報土)의 과보를 느낌). (1) 곡업(曲業 : 아첨에 의한 신()·()·()3. (2) 예업(穢業 : 분노에 의한 것). (3) 탁업(濁業 : 탐욕에 의한 것). (1) 순현수업(順現受業), 순차수업(順次受業), 순후수업(順後受業)3시업(時業). (1) 순락수업(順樂受業), (2) 순고수업(順苦受業), (3) 순불고불락수업(順不苦不樂受業)3수업(受業). <俱舍論 1513>

 

참고

(,1508)-뉴사전 : 신체. 육체. , , kaya <那先經 AB 32700·716> 5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신체. 집착된 신체. 집착되어진 개인 존재. 아트만(, attan , atman). 자기. 자기자신. [안세고(安世高)는 아트만을 항상이라 한역.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명사일 때 뿐임.] 자신. 우리. 오온의 하나. . 잠재적 형성 작용. 이 몸의 영속적 자아. <維摩經 14540> 개인존재. 생존. 촉각. 신체에 의한 촉각. 신체 표면에 골고루 촉각작용이 있으므로, 촉각기관을 의미함. 모임.<四敎儀註 中本 4> 종류. 부류. 어떤 부류에 속하는 모든 것.眼觸身(눈과의 접촉되어지는 모든 것)등으로 사용됨. 일반적인 명칭.

 

(,202)-뉴사전 : 발성기관. <灌頂經 1221533> 6()의 하나. 설근(舌根)과 같음. 혀의 다른 번역. , jihva , jivha <那先經 B 32712>

 

(,2018)-뉴사전 : 사량(思量). 마음. 생각. 생각하는 마음의 움직임. , manas , yid 의처(意處)의 준말. 의식의 준말. 설일체유부[俱舍 등의 (六識家)]에서는 의근(意根)의 뜻. , ()·()·()·()·()과 함께 하나의 기관으로 인식작용을 함. 사고기관. ()·()과 같음.유식 등의 8식가(八識家)에서는 제7말나식(末那識)의 다른 이름.말나(唯識二十論 3174) 목적. 의취(意趣). 마음. 의향. (부처님)의 가르침. 마음에 의거하면서도 마음에 미혹하여 생기는 각종의 망념(妄念). <起信論 31577>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9개의 실체 가운데의 하나. ()·()·()·()·()·근용(勤勇)·()·비법(非法)·()을 위한 불화합인연(不和合因緣), , asamavay-karana, 내속을 갖지 않은 원인으로, ()를 일으키는 [대상에 대해 인식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두(文頭)에 있어서의또는意者라고 생각한다는 뜻.

 

신업(身業,1522)-뉴사전 : 신체에 의한 행위. 신체적 행위. 표면화한 신체의 작용. 신체의 업. 3업의 한가지.삼업 <俱舍論 66>

 

구업(口業,229)-뉴사전 : 어업(語業)이라고도 함. 언어적 행위. ··뜻에 의한 행위(三業)의 하나. 입으로 하는 행위. 즉 선악의 여러 언어를 성립시키는 것. . 언어표시의 동작. , vac <中論 174> <往生要集 8448> 말로 하는 악한 행위. <方丈記 3>

 

의업(意業,2031)-뉴사전 : 마음의 작용. 마음으로 생각하는 작용. 심적 행위. 일체의 사념(思念). 3(三業)·5(五業)의 하나. <集異門論 126370>

 

복업(福業,902)-뉴사전 : 선한 행위. 행복을 가져오는 선한 행위. 삼복(三福)의 업. , punya <俱舍論 138 : AKbh. p.197> 집사(執事)의 일.

 

욕계(欲界,1865)-뉴사전 : 욕망이 지배하는 세계. 본능적 욕망이 성하고 강력한 세계. 현상적인 육체의 세계. 삼계(三界)의 하나. 식욕(食欲)·음욕(婬欲)·수면욕(睡眠欲)의 삼욕(三欲)이 있는 세계. 위는 육욕천(六欲天)에서, 중간에는 인간계인 사대주(四大洲), 밑은 8대 지옥에 이른다.() <維摩經 14552> (해석예) 남녀가 있고 음식이 있는 곳을 욕계(欲界)라 함. <人登道隨 上 1353> ()에게 붙잡혀 있는 세상. 반드시 삼계(三界)의 하나는 아니다. , loka <有部律破僧事 24125: CPS. S.78>

 

선업(善業,1323)-뉴사전 : 착한 행위. 미래에 좋은 보답을 얻기 위한 착한 행위. 5(五戒)10(十善) 등을 지키는 행위는 선업(善業). , sucarita <有部律破僧事 724136>

 

비복업(非福業,1016)-뉴사전 : 또는 죄업(罪業). 욕계의 불선업(不善業)으로 나쁜 과보를 받게 될 악업.

 

악업(惡業,1655)-뉴사전 : 선업(善業)의 반대. 나쁜 행동. 좋지 못한 결과를 일으키는 신()·()·() 일체의 동작을 말함. , (1) 살아있는 것을 죽이는 것. (2) 도둑질. (3) 남녀간의 음란한 행위. (4) 거짓을 말하는 것. (5) 사람 사이를 이간질하는 말. (6) 난폭한 말. (7) 말을 꾸미는 것. (8) 탐욕. (9) . 분노. (10) 편견의 십악(十惡)이 있다. 사람은 자신의 행위()에 이끌려 6(六道 : 천상·인간·수라·축생·아귀·지옥)으로 간다. 이 수라도(修羅道) 이외는 악업에 의해 끌려가는 악도(惡道)이다. , papam kamma <中阿含經 321628: MN. , p.372>

 

부동업(不動業,926)-뉴사전 : ()이나 비복(非福 : 재앙)과 관계없는 행위. <彰所知論 下 32232>

 

색계(色界,1277)-뉴사전 : 맑고 깨끗한 물질로 성립되는 세계. 욕계(欲界)의 위에 있는 천계(天界)로 욕계(欲界)의 더러움을 여의고 물질적인 것이 모두 청정한 세계. 물질적인 세계안에서 특히 본능적인 욕망이 성하고 강력한 곳을 욕계라고 부르며, 그 만큼 욕망이 성하지 않은 곳을 단순히 색계(色界)라고 부름. 욕망은 끊었지만 육체를 갖고 있는 자의 세계. 깨끗한 물질의 세계. 이 계()의 중생은 여러 가지 욕망을 여의고 남녀의 구별없이 광명을 식()으로 하고 언어로 함. 욕계 위에 있는 천계(天界). 깨끗하고 맑은 세계. 초선(初禪)·2(第二禪)·3(第三禪)·4(第四禪)의 사천(四天)으로 나뉘고, 17천으로 나뉨. 3(三界)중 하나.삼계 <俱舍論 79-16, 82-4 > (해석예) 이 신심남녀음식(身心男女飮食) 등의 욕()을 여의고 선정상응(禪定相應)하는 곳을 색계(色界)라고 한다. 눈의 대상으로서 색과 형 18(十八界)의 하나. 안근(眼根)의 대경(對境). <俱舍論 111, 22 >

 

무색계(無色界,655)-뉴사전 : 삼계(三界)의 하나.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 비물질성의 세계. 물질을 초월한 세계. 순수히 정신적인 영역. 육체를 갖지 않고 정신적 요소만으로 되는 세계. 신체·궁전 등과 같은 물질적인 것이 없고 수()·()·()·()이라는 네가지의 구성요소()만으로 되는 세계. 무색계(無色界)에는 네가지의 영역이 있음. 낮은 편에서 말하면, (1) 공무변처(空無邊處 : 허공과 같이 무변이라고 깨닫는 경지). (2) 식무변처(識無邊處 : 식이 무변이라고 깨닫는 경지). (3) 무소유처(無所有處 :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깨닫는 경지). (4)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경지).삼계(三界)() <起世經 11311> (해석예) 이 신상(身相)을 떠나 그 마음만 선정상응(禪定相應)하는 곳.

 

선정(禪定,1327)-뉴사전 : , dhyana , jhana의 음역인 선()과 그 의역인 정()이 합성해서 생긴 말. 차분한 마음으로 명상하는 것. 6바라밀(六波羅蜜)의 제5. 마음 고요한 내관(內觀). 마음의 번뇌를 가라 앉히는 것. 명상. 사념(思念)을 없애는 것. 마음을 동요시키지 않는 것. 정신 집중의 수련. 좌선을 해서 마음을 한 점에 한결같이 기울이는 종교적 명상. 좌선에 의해 몸과 마음이 깊게 통일된 상태. [표현예] 차분하다. 마음의 안정. 평정. 안정된 마음. 관대한 마음. 4정려(四靜慮).

 

무기(無記,628)-뉴사전 : 무기답(無記答)이라고도 함. 다른 제종교제학파(諸宗敎諸學派)로부터 받은 십사(十四)의 형이상학적 질문에 대해, 석존(釋尊)이 침묵하고 대답 해주지 않은 것을 14무기(十四無記 : 십사불가기(十四不可記)라고 함.십사난(十四難) <俱舍論 1917> 삼성(三性)중 하나. ()도 악()도 아닌 것. 이것은 과보(果報)를 가져오지 않음. 유복무기(有覆無記)와 무복무기(無覆無記) 2종류로 분류함. <十誦律 23252> 기억이 없는 것. (해석예) ()는 기록하는 것. ()는 기별(記別)의 뜻. 기별해야 할 일 없이 의미가 없다는 말임.

 

(,1703)-뉴사전 : 이루는 움직임. 작용. (산스크리트어), karman<中論 8·17, 18> 인간이 하는 행위. 행동. 행위의 움직임. 동작. 보통, ··뜻의 3()으로 분할. 몸과 입과 뜻이 이루는 일체의 행위. , 신체의 동작, 입으로 하는 말, 마음의 의사나 생각 모두를 총칭함. 의지· 동작·언어의 역할의 총칭. 의지에 근거한 신심의 활동. 행위가 남기는 잠재적인 업력(業力). ··뜻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악의 행위가, 나중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말함. ··뜻이 행하고, 또 그 행위의 결과를 가져오는 잠재적인 능력. 특히 전생의 선악의 소업에 의해 현세에 받는 보답. 어느 결과를 낳는 원인으로서의 행위. 업인(業因). 과거로부터 미래에 존속하여 작용하는 일종의 힘으로 보여짐.()의 바람」→ 업력을 입어서 악처(惡處)에서 고통을 느끼는 모양. 지옥에서 부는 폭풍. 악업 또는 혹업(惑業)의 뜻으로, 죄를 말함. 원소(元素)의 작용.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세운 10구의(句義)중 제3. 운동을 말함. , karman5()의 업()을 업구의(業句義)라고 이름 짓는다. ……1은 취업(取業), 2는 사업(捨業), 3은 굴업(屈業), 4는 신업(伸業), 5는 행업(行業)이니라. 청정한 경험.往生」→ 정토에 태어나는 원인이 되는 행업. 선도(善導)관경소에서는 독송·관찰·예배·칭명·찬탄공양을 5정행(正行)으로 하는데, 이 가운데 칭명을 정업(正業), 기타의 네가지를 조업(助業)이라고 함. 노력하는 것. 정진(精進). 인간적인 활동. [사종업(四種業) 흑업(黑業), 백업(白業), 흑과 백인 업(), 흑도 백도 아닌 업()을 말함.] (해설) ()의 본래의 의미는 간단히 행위를 말하는데, 인과관계와 결합하여, 전부터 존속하여 작용한 일종의 힘으로 간주되었다. 즉 하나의 행위는, 반드시 선악·고락의 과보를 초래한다고 하는 것으로, 여기에 업()에 의한 윤회사상이 생겨나고, 업이 전생부터 이승까지 연장되기에 이른다. ··뜻의 3업이나, 불공업(不共業 : 個人業)·공업(共業 : 사회적 폭을 가진 업() , 여러 다양한 것들이 세워졌음. 인도의 일반 사회통념으로서 인도의 여러 사상에 큰 영향을 주고, 불교에도 채용되었음. 본래는 미래를 향한 인간의 노력을 강조한 것인데, 숙업(宿業 : 전세에 만든 업()설이 되면, 그것과는 반대로 일종의 숙명설에 빠지는 단점이 있음.

 

유루업(有漏業,1937)-뉴사전 : 정욕적인 행위. , sasrava kar-man <寶性論 31830>

 

범부(凡夫,796)-뉴사전 : 어리석은 사람. 평범하고 용렬한 사람. 어리석은 자. 어리석은 일반사람들. 무지한 어디에나 있는 흔한 사람들. 불교의 가르침을 모르는 사람. 평범한 인간. 아직 불도에 들어가 있지 않은 사람들. 미혹한 자. 성자에 댓구로서 이름.우치범부(愚癡凡夫), puthujjana prthag-jana를 현장(玄奘) 등은 이생(異生)이라고 한역했음. 평범하고 용렬한 사부(士夫)라는 뜻으로, 아직 사제(四諦)의 도리를 이해하고 있지 못한 평범·용렬하고 앎이 모자른 자를 이름. 또 사향사과(四向四果)의 성자에 대하여 견도(見道)이전 사람의 총칭. 혹은 어리석은 자라는 뜻으로도 사용되고, 저하(底下)의 범부라고도 함. 육도(六道)에 윤회하는 자를 사성(四聖)에 대하여 육범(六凡)이라고 함.범성(凡聖) 무명(無明)에 의해 업()에 따라서 응보를 받고, 여러 세계에 태어나 각기 달라져 있는 자. (一行의 해석). 세간의 삼매야(三昧耶)를 아는 자와 모르는 자.(붓다그햐의 해석). (해석예) 넓은 말로 내범외범(內凡外凡)의 보살(菩薩)까지 통하는 말임. <香月 2422> 보통사람. <書紀 下 125>

 

소작(所作,1401)-뉴사전 : 의무. 이뤄야 할 일. , kicca-ka-raniyani <雜阿含經 432315: Sn. , 180> ()·()·()의 삼업(三業)을 능작(能作)으로 해석하는데 대해, 그것이 발동(發動)하는 것을 말함. 행위. 행동. 작용. 능력. 만들어진 것.

 

무루업(無漏業,638)-뉴사전 : 추악함이 없는 행위. 과오를 일으키는 힘을 동반하지 않는 행위. 추악함이 없는 업(). <勝鬘經 12220: RGV. p. 33>

 

이승(二乘,2066)-뉴사전 :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의 두가지를 말함. ()은 탈 것의 뜻. 성문(聲聞)은 스승의 가르침에 의해 깨달은 사람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듣고 사제(四諦)의 진리에 의해 깨달은 사람들, 및 그 입장을 말함. 연각(緣覺)은 이법(理法)을 체득하여 스스로 깨달은 사람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혼자 십이연연(十二因緣)의 진리를 관찰하여 깨달은 사람들, 및 그 입장을 말함. 대승의 입장에서 말하면 이 두종류의 사람들 및 그 입장은 자기의 완성에 머물러 많은 타인의 구제로 나아가지 않으므로 열등한 입장(劣乘·小乘)이라고 볼 수 있음. 소승불교의 성자. 비록 불도에 들었어도 그 형식적인 면에서 파악되는데 지나쳐서, 스스로의 깨달음, 자신의 문제라고 밖에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자신만의 깨달음에 만족하여 타인 구제의 자비 활동을 잃어버린 자. (해석예) 어리석은 가르침. 일승(一乘) 이외의 제2의 탈 것. , dvitiya-yana <法華經 方便品 97> 대승과 소승. <五敎章 上 143> (해석예) 성문(聲聞)과 보살.

 

방편유여토(方便有餘土,771)-뉴사전 : 천태종에서 말하는 사토(四土)의 하나. 일단(方便) 미혹은 끊겼으나, 아직 근본(진실)적인 미혹이 잔존하는 세계. 단혹(斷惑)의 실증(實證)·실현을 위해 아직 현실계에 머무르는 것. 통교(通敎)의 무리가 거주하는 세계. <智顗 觀經疏 上>

 

보살(菩薩,877)-뉴사전 : , bodhisattva , bodhisatta의 음역. 보리살다(菩提薩多)라고도 씀. 각유정(覺有情). 대심중생(大心衆生)·대사(大士)·고사(高士)·개사(開士) 등으로 한역함. 보살은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약어라고 중국에서는 해석하지만, 아마도 중국에 전해질 때, 속어로 bot-sat라고 한 것을 보살(菩薩)이라고 음역한 듯함. 깨달음의 성취를 바라는 사람. 깨달음의 완성에 노력하는 사람. 깨달음을 구해 수행하는 자. 부처가 되려고 뜻을 세운 자. 붓다가 되어야 할 도심(道心)을 일으켜서 수행하는 구도자. 부처의 지혜를 얻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사람. 깨달음을 구하는 사람. 미래의 부처님. 구도자. 후에 대승불교의 해석에 의하면 거기에 이타적 의의를 포함시켜, 대승의 수행자를 말함. 스스로 불도를 구하고, 타인을 구제하여 깨닫게 하는 자. 위를 향해서는 보리(菩提)를 구하고, 아래를 향해서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사람. 향상적으로는 자리(自利)의 행()으로서 깨달음(菩提, )을 체득하고, 향하적(向下的)으로는 이타(利他)의 행()으로서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자. 대승에서는 재가·출가에 통하고, 발심하여 불도를 행하는 자를 말함. (해석예) 역운(譯云), 대도심성중생(大道心成衆生), 역운(亦云), 개사(開士), 역대용심(亦大勇心), 복운선미(復云善美). ()을 구하는 유정. 깨달음을 열기 이전의 석존. 깨달음을 얻기 전의 부처님. 수행시대의 석존. 싯달타 태자. 과거세에서의 석존. 부처님의 전신. 석존의 전생. 부처님의 자(). 유덕한 승려에게 조정에서 주는 칭호. 세인이 고승을 존칭하는 이름. 예를 들면, 행기보살(行基菩薩). 중국의군자에 해당한다고 생각되었음.

 

실보토(實報土,1534)-뉴사전 : 실보무장애토와 같음. 진실의 보토(報土).진실보토. .....실보무장애토(實報無障礙土,1534)-뉴사전 : 중도실상(中道實相)의 관법(觀法)을 연마한 사람이 그 과보(果報)로써 얻은 세계. 단혹(斷惑)의 성과가 지체됨이 없이 실증(實證)된 세계. 거기서의 부처님은 인행(因行)의 열매 풍부한 과덕신(果德身 : 보신(報身)이다. 이러한 세계 내지 부처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별교(別敎)의 도()이다. 천태종에서 설하는 4()의 하나. <觀經妙宗鈔 上>

 

곡업(曲業,133)-뉴사전 : 거짓에 의해 생긴 업(). 아첨하여 굽히는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몸··뜻의 세가지 행위. <俱舍論 1520>

 

예업(穢業,1782)-뉴사전 : 추악한 화를 내는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신()·()·()3(). 화를 내는 것에 의해 생긴 업(). <俱舍論 1520>

 

탁업(濁業,2625)-뉴사전 : 탐심에 의해 생긴 업(). , kasaya <俱舍論 1521 : AK. , 59>

 

순현수업(順現受業,1467)-뉴사전 : 또는 순현보수업(順現報受業)이라고도 함. 현재의 세계에 업을 쌓고, 현재의 세상에 그 과보(果報)를 받는 업. 3시업(三時業)의 하나. <俱舍論 1514 : AKbh. p.229>

 

순차업(順次業,1467)-뉴사전 :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의 준말. 삼시업(三時業)의 하나.순생업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1467)-뉴사전 : 이 세상에서 만들어 놓은 업의 보답을 다음세상(내세)에 받는다는 것. 내세에서 그 보답을 받게 되는 업. 삼시업(三時業)의 하나.순차업 .....순생업(順生業,1464)-뉴사전 : 순생수업(順生受業)의 준말. 그 보답을 다음에 새로 태어나는 세상에서 받는 행위. <俱舍論 1515-17 참조> <往生要集 8484> .....순생수업(順生受業,1464)-뉴사전 : 3시업(三時業)1. 순생업(順生業)이라 약칭. 현세에 선·악의 행위를 지어 다음 생(), 곧 오는 세상에 과보를 받는 행업(行業). ....삼시업(三時業,1202)-뉴사전 : 선악(善惡)의 행위를 그 결과를 받을 때의 빠르고 늦음에 따라 3종류로 나눈 것. (1) 순현수업(順現受業). 현세에서 업()을 짓고, 그 보답을 이 세상에서 받음. (2) 순차수업(順次受業). 다음 세상에서 보답을 받음. (3) 순후수업(順後受業). 다음다음세상(3) 이후에 보답을 받는다는 3종류. 순현보수(順現報受)·순차생수(順次生受)·순후차수(順後次受)3(三業)이라고도 함. <俱舍論 1514~15>

 

순후수업(順後受業,1468)-뉴사전 : 이 세상에서 업을 만들고, 3(다음 다음의 생존)에서부터, 그 보답을 받는 업. 3시업(三時業)의 하나. <俱舍論 53 > .....순후업(順後業,1468)-뉴사전 : 순후수업(順後受業)의 준말. .....순후차수(順後次受,1468)-뉴사전 : 이 세상에서 만든 업의 보답을 제3생 이후의 어떠한 생에 있어서 받는다고 하는 방법. 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이라고도 함. 순후수업과 같음. <俱舍論 1515>

 

순락수업(順樂受業,1463)-뉴사전 : 쾌락의 감각을 감득해야 할 업(). 욕계에서부터 색계 제3선천까지의 과보를 받아야 할 선업. <俱舍論 1513>

 

순고수업(順苦受業,1463)-뉴사전 : 고통의 감각을 감득시키는 데 이르는 업. 욕계의 불선업을 말함. <俱舍論 1513 : AKbh. p.228>

 

순불고불락수업(順不苦不樂受業,1464)-뉴사전 : 고통도 없고 즐거움도 없는 세계에 생()을 받을 원인이 되는 업()을 말함. 색계의 제4선천(四禪天) 이상. 유정천(有頂天)에 태어날 선업을 가리킴. 삼수업(三受業)의 하나. <俱舍論 1513>

 

삼수업(三受業,1199)-뉴사전 : 순락수업(順樂受業)·순고수업(順苦受業)·순불고불락수업(順不苦不樂受業). 3()의 과보를 부르는 업. (1) 순락수업. 욕계로부터 색계 제3천까지의 과보를 받는 선업(善業). (2) 순고수업. 욕계의 악업(惡業). (3) 순불고불락수업. 4선천 이상의 과()를 받는 업을 말하는 것이나, 이를 만약 자세히 논하면, 3선천 이하의 업에도 있으니, 곧 중간천(中間天)의 과를 받는 중간정(中間定)의 업과 같은 것.

 

분단생사(分段生死,944)-뉴사전 : 미혹의 세계에서 헤매이는 범부가 받는 생사. 한정된 수명신체를 받고 윤회하는 것. 수명의 장단이나 육체의 대소 등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는 분단신(分段身)을 받아 윤회하는 것. 유위생사(有爲生死)라고도 함. 신체가 있는 우리들의 생사. 삼계중의 생사. 육도(六道)중의 생사를 말함. 견혹(見惑)·사혹(思惑) 등을 갖춘 범부의 생사. 수명에 분한(分限)이 있고, 형태에 단별(段別)이 있는 까닭에 분단(分段)이라 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大乘義章 8> (해석예) 분단생사(分段生死)라고 하는 것은 우리들이 받는 생사임. 길던 짧던지 그 명()은 반드시 한계가 있어 길지 못하다고 생각해도 맞지 않는 과보임. <唯識大意 末 40>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