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518

우거(牛車,1764)-국어사전

우거(牛車,176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거(三車)의 하나.‘보살승(菩薩乘)’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참고불교에서 이르는→0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

보살(菩薩) 2024.10.18

비아(非我,1123)-국어사전

비아(非我,112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아(自我)가 아닌 것. 자아에 대립하여 존재하는 모든 것.↔자아. 참고자아(自我)가 아닌 것→0자아(自我,1952)-국어사전 : ① 자기. 자기 자신. ② 철학에서, 천지 만물에 대한 인식이나 행동의 주체로서의 자기를 이르는 말. 나. ↔객아(客我)·비아(非我)·타아(他我). ③ 심리학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이르는 말. ...자아(自我,2194)-뉴사전 : 자신. 다른 사람에 대한 우리. 산, atman 法集要頌經 瞋恚品 ㊅ 4권 787上> ...0아닌→아니다(1508)-국어사전 : (사실을 부정(否定)하여)‘그렇지 않다’는 뜻으로 쓰는 말. 참) 이다. ...0것→것(132)-국어사전 : ① 사물·현상·사상·존..

용왕(龍王,1762)-국어사전

용왕(龍王,1762)-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용궁의 임금. ② 불교에서 이르는, 용족(龍族)을 거느리는 여덟 왕. 불법을 수호한다고 함. 용신(龍神). 참고용궁의 임금→용궁(龍宮,1760)-국어사전 : 바다 속에 있다는 용왕의 궁전. 비) 수궁(水宮).  불교에서 이르는→0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

불법(佛法) 2024.10.14

상온(想蘊,1247)-국어사전

상온(想蘊,124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오온(五蘊)의 하나. 어떤 사물을 생각하며 옳고 그름, 선하고 악함 따위를 상상하는 마음의 작용. 참고오온(五蘊)의 하나→0오온(五蘊,1709)-국어사전 : 불교에서, 정신과 물질을 오분(五分)한 것. 곧,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 오음(五陰). ...오온(五蘊,1816)-뉴사전 : 5개의 집합. 5종류의 무리의 의미. 온(蘊 산, skandha)은 적집(積集)의 뜻으로 해석되어져, 모임을 말함. ① 각각의 존재의 5개 구성요소(집합). 각각의 존재를 포함해서, 모든 존재를 5개의 모임(五蘊)의 관계에 두고 보는 견해. 물(物)과 심(心)의 모임. 물질과 정신. 오온(五蘊)이란, 불교에서 물질과 정신을 5개로 ..

오온(五蘊) 2024.10.12

욕불일(浴佛日,1759)-국어사전

욕불일(浴佛日,175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불하는 날이란 뜻으로]‘파일(八日)을 달리 이르는 말. 참고욕불하는→욕불(浴佛,1759)-국어사전 : →관불(灌佛). ...관불(灌佛,245)-국어사전 : ① 불교에서, 초파일에 불상에 감차(甘茶)나 향수를 뿌리는 일. 욕불(浴佛). ② 관불회(灌佛會)>의 준말. ...관불(灌佛,167)-뉴사전 : ① 원래는 바라문교에 있어서의 정(淨)하게 하는 의식이었던 것이 불교에 채용되어 변형됐다. ② 4월 8일 석존(釋尊)의 탄생일에 그 동상에 향수를 붓는 불사(佛事). 강탄회(降誕會)·불생회(佛生會)·관불회(灌佛會). 徒然草 19段> ③ 탄생불. 석가여래 탄생시의 모습의 부처님. 源氏物語 藤裏葉> ...관불회(灌佛會,245)-국어사..

욕생(欲生,1759)-국어사전

욕생(欲生,175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죽은 다음에,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 참고죽은 다음에⇒00죽은→죽다(2158)-국어사전 : ① 목숨이 끊어지다. 숨지다. 사망(死亡)하다. 몰(歿)하다. ② 동식물이 생명을 잃다. ③ 기계, 또는 움직이던 물체가 멈추다. ④ 불이 꺼지다. ⑤ 야구나 술래잡기 따위의 선수, 또는 바둑이나 장기 따위의 말이 상대편에게 잡히다. ⑥ 빳빳한 기운이 사그라들다. ⑦ 생기나 활기가 꺾이다. ⑧ (놋쇠·은·식초 따위가) 화학적 변화로 빛이나 맛을 잃다. ⑨ (옷 따위의) 빛깔이 산뜻하지 않고 우중충해지다. ...0끊어지다(407)-국어사전 : 끊은 상태로 되다. ...잇대다(1934)-국어사전 : 서로 잇닿게 하다. ...숨지..

극락(極樂) 2024.10.08

요잡(繞匝,1757)-국어사전

요잡(繞匝,175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부처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돌아다니는 일. 위요(圍繞).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각왕..

외지(外智,1749)-국어사전

외지(外智,1749)-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이르는, 삼지(三智)의 하나. 물질적 현상계를 관찰하는 지(智). 참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왕상(往相,1737)-국어사전

왕상(往相,1737)-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자기의 공덕을 중생에게 베풀어 함께 왕생하도록 하는 일. 탐고불교에서→불교(佛敎,1091)-국어사전 : 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성자(聖者,1325)-국어사전 : ① 성인(聖人). ② 불교에서, 온갖 번뇌를 끊고 정리(正理)를 깨달은 사람을 일컫는 말. ③ 기독교에서, 순교자나 거룩한 신자를 높이어 일컫는 말. ...불타(佛陀,1103)-국어사전 : 바른 진리를 깨달은 사람, 곧 부처. [흔히, 석가여래를 이름.] 각왕..

완자(卍字,1733)-국어사전

완자(卍字,1733)-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만자(卍字). (‘완’은‘만(卍)의 중국 음임.)  참고만자(卍字)→만자(卍字,756)-국어사전 : ①‘만’자 모양의 무늬나 표지. ② 불교에서, 부처의 가슴·손발·두발(頭髮) 등에 나타난 길상 만덕(吉祥萬德)의 상(相)을 나타내는 표지를 이름. ...0만자(卍字,568)-뉴사전 : 원래 인도에서 비슈누(크리슈나) 신(神)의 가슴의 털에 기원을 두고 상서로운 조짐의 상(相)을 나타냈지만, 불교(및 자이나교)에서는 부처님의 가슴·손발·두발에 나타난 길상(吉祥) 표시의 표상이 되었음. 불심(佛心)의 표시로서도 사용하고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널리 불교·사원의 기호·문장·표지로서도 사용함. 산, svastika [나치스의 卐자(Hakenk..

불신(佛身) 202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