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성성불(見性成佛,7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선어(禪語). 자기의 본성을 철견(徹見)하여 깨닫는 것. 인간의 본성을 철견(徹見)하는 것에 의해 각자(覺者)가 될 수 있다고 하는 것. 선종의 근본주장. 보량(寶亮) (444~509)의 찬(撰)이라고 전해진다.「열반경집해(涅槃經集解)」에「생각컨대 승량(僧亮)이 말하기를 견성성불(見性成佛), 즉 성(性)을 부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라고, 승량의 말로서 예가 들어진 것이 최초이지만, 선문(禪門) 독자의 말로서 유명해졌다. 선종(禪宗)의 육조혜능(六祖慧能)의「법보단경」의 기연(機緣)의 조(條)에「너의 본성은, 또한 허공과 같고, 요(了)로서 일물(一物)을 보는 일이없는 이것을 정견(正見)이라고 이름짓고, 일물(一物)을 아는 것 없는 것을 진여(眞如)라고 이름한다」라는 말이 있다. 자기에 집착하고, 외물(外物)에 집착하는 자기의 마음을 철저하게 파고들어, 자기의 본성으로서 볼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판단할 수 있을 때, 그 몸이 그대로 부처임에 틀림없다 라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몽창국사(夢窓國師)의「몽중문답집(夢中問答集)」(下)에「성불이라고 하는 것도 지금 비로소 부처가 되어 서로를 구하고, 광명을 발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술에 취해 본심을 잃은 사람이 시절도래(時節到來)하여 취기가 갑자기 깨어 본심이 되는 것과 같다. 평소의 미도홀(迷到忽)에서 갑자기 휴헐(休歇)하여, 당장에 본분으로 맺어지는 것을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고 이름한다」라고 되어 있다. 선(禪)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불성 그 자체이며, 그 이외에 본성으로서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함. 이런 불성을 펼쳐 보이는 것이 견성성불(見性成佛)임. 단지 도원(道元)은 이 설을 배척했다. <正法眼藏, 四禪比丘>
참고
견성(見性,75)-뉴사전 : 선가(禪家)에서 견성 성불이란 숙어로 쓰임. 자기의 심성(心性)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와 일치하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 본래 존재하는 자신의 본성을 보는 것. 자기를 깨닫는 것. 깨달음을 여는 것. (해석예) 자신의 마음을 발견하는 것. 불성(佛性)을 본다. 자신이 심성을 보고 불성을 나타내는 것.
성불(成佛,1359)-뉴사전 : ① 석존이 붓다가야에서 깨달음을 연 것. 산, bodhir prapta 팔, bodhimanda-nisadana ② 깨달음을 여는 것. 각자가 스스로 무상의 깨달음을 열고, 부처(산, buddha 각자(覺者)·깨어난 사람)가 되는 것. ③ 올바른 깨달음을 얻은 것. 혹은 분명하게 완전히 깨달은 것이라는 뜻. ④ 일반적으로 죽는 것. 대승불교에서는 부처님에게 귀의하고 있던 사람이 죽으면 부처님의 명(命)으로 돌아가 하나가 된다는 생각에서 사자(死者)를 성불(成佛)했다고도 이해함.
본성(本性,910)-뉴사전 : ① 상주불변한 절대의 진실성. 타고난 그대로의 것. 본래 고유의 성질. 본래의 모습. 본체.「本性功德」(본래 갖추어져 있는 공덕.)「본성(本性)을 보아 흩트러지지 않음을 선(禪)이라 한다.」<六祖壇經> ② 상캬철학에 있어서 근원적 근본원질. ③ 고사라의 설에 있어서, 만유의 본성을 말함. ④ (예를 들면 결함에 대해)천성.
각자(覺者,24)-뉴사전 : 산, buddha(붓다)의 한역. 부처님. 진리를 체득한 사람. 스스로 눈을 뜨고, 다른 사람을 눈뜨게 하는 자.→부처님 <俱舍論 25권 9> <正法眼藏 卽心是佛 ㊅ 82권 28下> .....여기서 ㊅(이 부호는 원래 원안에 큰 대(大)자가 들어가야 하는데 제가 그쪽에 실력이 없어 유사한 것을 골라내어 사용한 것임)는 신수대장경을 뜻함. 그리고 맨 처음에 나오는 “산”은 산스크리트어를 약칭한 것이며, 가끔 “팔”이라고 함은 팔리어를, “티”는 티벳트어를 약칭한 것임.
불성(佛性,975)-뉴사전 : ① 부처님의 성질. 부처로서의 본성. 각자(覺者 : 부처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대승불교에서는 이것이 모든 인간, 또는 존재에 갖추어져 있다고 함. 진정한 인간성. 잠재된 보편적인 인간성. 인간의 기본적인 성격. 본연의 마음. 부처인 본질. 그 원어는 산, buddhata 산, buddha-tva라고 생각되고 있음. (여래장(如來藏)·각성(覺性)이라고도 한역함).→여래장. [그 외 한역어「佛性」의 원어로서는 산, buddha 산, ta-thagatadhatu 산, garbha 등도 알려져 있음.] ② 선문(禪門)에서는 종자라고 보기보다도 부처 자체로 봄. 부처 그 자체인 불성(佛性)을 본래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나타내는 것이 수행(修行 : 妙修)이라고 설함. 일반으로 대승불교는 성불을 주로 하므로 소승불교보다는 불성을 중요하게 본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사람이 성불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원시불교 때부터 문제가 되었다. 특히 대승에서는 불성이 온갖 중생에게 보편(普遍)하였는가, 아닌가의 두가지 처지에서 중요한 의논을 일으킨다. 유식종에서는 5성(性)이 각각 다르다고 말하여, 원칙적으로 본래 부처가 될 종성(種性)과, 되지 못할 것과의 구별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불성(理佛性)으로는 아무라도 법성(法性)의 이(理)를 본체로 한 것이므로 모두 불성을 갖추었으나, 행불성(行佛性)으로는 불성을 갖춘 것과 갖추지 못한 것이 있다고 한다. 이에 대하여 일성개성설(一性皆成說)은 어떠한 기류(機類)라도 불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하는 본구보편(本具普遍)을 주장하여 천제(闡提)도 성불한다고 한다. 불성이 보편한 것이라면 그 불성의 개발은 필연이냐, 우연이냐 하는 문제가 일어나게 되니, 그 설명으로서 3불성·3인불성·5불성 등을 세움. <六祖壇經> <臨濟錄 ㊅ 47권 496中> (해석예) 미타관음이 될만한 성(性)이다. 부처님이 될 인(因)이다. 인위(因位)의 명(名)이다. 숨겨진 것을 불성(佛性)이라 하고, 나타나는 것을 여래(如來)라 한다.
진여(眞如,2464)-뉴사전 : 산, tathata. 대승불교의 이상개념(理想槪念)의 하나. 우주 만유에 보편(普遍)한 상주 불변하는 본체. 이것은 우리의 사상 개념(思想槪念)으로 미칠 수 없는 진실한 경계. 오직 성품을 증득한 사람만이 알 수 있는 것이며, 거짓이 아닌 진실이란 뜻과 변천하지 않는 여상(如常)하다는 뜻으로 진여라 한다. 진여에 대한 학설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곧 지론종에서는 아뢰야식과 진여는 같은 것이라 하고, 섭론종에서는 제8아뢰야식 밖에 제9암마라식을 따로 세워 진여를 설명하고, 유식종에서는 만유가 전개되는 모양을 설명할 때에 제8아뢰야식을 세우고 진여는 그 실성이며, 생멸 변화가 없는 응적잠연(凝寂湛然)한 것이라 하고,「대승기신론」에서는 진여는 잠연 적정한 무활동체(無活動體)가 아니고, 이것이 무명의 연을 만나면 진여의 체가 온통 그대로 일어나 생멸 변화하는 만유가 되거니와, 진여의 자체는 조금도 변전되는 것이 아니라 하여, 이것을 물과 파도에 비유하여 그 두가지 사이의 소식을 설명한다. 또 이것을 7진여·10진여·6무위 등으로 나눈다. 이것은 진여의 자체가 절대적 실재라고 인정하는 것은 같으나, 그 공덕상과 그것을 증득하는 과정에 따라 구별. 또 경·논에는 진여의 다른 이름으로 법계(法界)·법성(法性)·평등성(平等性)·실제(實際)·허공계(虛空界)·부사의계(不思議界)·무상(無相)·승의(勝義)·실상묘유(實相妙有)·여여(如如)·불성(佛性)·여래장(如來藏)·중도(中道)·제일의제(第一義諦) 등을 말하였다. ① 그와같이 있는 것. 그대로의 모습. 있는 그대로인 것. 산, tathata(산, tathabhava) ② 법이 있는 그대로 성립해 있는 것. 법성(法性)과 같은 뜻. ③「…眞如」…인 법으로서 성립하고 있는 것. ④ 보편적 진리. 마음의 있는 그대로 진실. 모든 존재의 참된 모습. 만유(萬有)의 근원. ⑤ 진실을 갖춘 것이라는 뜻.
정견(正見,2274)-뉴사전 : ① 올바른 견해. 8정도의 하나. 팔, samma ditthi <雜阿含經 8권 ㊅ 2권 49中 : SN. Ⅳ, P.142> ② 있는 그대로 관(觀)하는 것. ③ 올바로 자심(自心)의 실상을 아는 것. 무애지(無碍智). (표현예) 바르게 자성(自性)을 보는 것. <壇經 4권 18> 무루지(無漏智)로써 제법(諸法)의 이치를 관(觀)하는 것. 염념자성(念念自性)으로 향하는 것. <壇經 2권 8> 정견(正見)이라는 것은 제법무아등(諸法無我等)을 관(觀)하여 단멸(斷滅)의 견(見)을 일으키지 않는 것임. <慈雲 正見>
도원(道元,491)-뉴사전 : 일본 조동종(曹洞宗)의 개조. 경도(京都) 사람. 호는 희현(希玄). 13세에 집에서 도망하여 비예산(比叡山)의 양관 법안(良觀 法眼)을 찾고, 이듬해 공원승정(公圓 僧正)에게 머리를 깎고 보살계를 받음. 그 후부터 천태종의 교관(敎觀)과 여러 경론을 배우다가 ‘본래 성불’이라는 말에 의심을 내고, 1214년 영서(榮西)에게서 임제(臨濟)의 종풍을 들음. 1223년 송나라에 건너가 명주(明州) 천동산(天童山) 겅덕사(景德寺)의 무제 요파(無際 了派)를 찾음. 그 뒤부터 절옹 여염(浙翁 如琰)과 반산 사탁(盤山 思卓) 등 여러 고승을 찾음. 1225년 경덕사의 장옹 여정(長翁 如淨)을 찾고, 사자(師資)가 서로 계합하여 조동(曹洞)의 당오(堂奧)에 들게 되자, 일생 참학하는 일을 마침. 1227년 귀국. 1233년 성남우치(城南宇治)에 흥성사(興聖寺)를 짓고 선당(禪堂)을 열어 설법을 시작. 그 뒤부터 지방으로 다니면서 종풍을 떨침. 경도(京都)에서 입적함. 나이는 54. 승양대사라 시호. 저서로는「정법안장(正法眼藏)」95권,「영평광록(永平廣錄)」10권,「영평청규(永平淸規)」2권,「학도용심집(學道用心集)」1권,「보경기(寶慶記)」1권,「보권좌선의(普勸坐禪儀)」1편 등이 있음.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견성(見性)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선경어(參禪警語,제2장-36,86페) (0) | 2021.01.04 |
---|---|
견성(見性,75)-뉴사전 (0) | 2020.09.14 |
백정이라도 성불할 수 있다 (0) | 2017.03.13 |
대장경을 외울지라도 (0) | 2016.12.16 |
오입(悟入) (0) | 2016.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