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현량(現量)

근와(槿瓦) 2018. 7. 9. 00:31

현량(現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因明에서 쓰는 三量의 하나. 또는 心識三量의 하나. 현실을 量知하는 것. 비판하고 분별함을 떠나서 外界事象을 그대로 覺知하는 것. 예를 들면, 맑은 거울이 무슨 형상이나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것 같이, 꽃은 꽃으로 보고, 노래는 노래로 듣고, 냄새는 냄새로 맡는 것 같이 조금도 분별하고 차별을 구하는 생각이 없는 것.

 

참고

인명(因明) : 범어 hetu-vidya의 번역. 五明의 하나. 은 원인·이유, 은 학문의 뜻. 이유를 밝혀서 論證을 행하는 論理學을 말함. 인도의 論理學始祖, 正理派足目인데 일반으로 인도에서는 論理學을 니야-(Nyaya 正理)라고 하며, 불교에서는 특히 因明이라고 한다. 因明에는 古因明(陳那이전 및 正理派)新因明(陳那 및 그 이후)이 있다. 古因明에 속하는 彌勒所說瑜伽論은 권15에서 因明7종의 항목으로 分編하여 하고 있다. 이것을 七因明이라고 한다. 論議의 전개에 일곱가지 요건이 있으니 (1) 論體性(論議本體的 요소인 言語), (2) 論處所(論議하는데 적당한 장소), (3) 論所依(立論의 근거), (4) 論莊嚴(論議整然한 것), (5) 論墮負(論議敗北), (6) 論出離(미리 잘 관찰해서 論議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7) 論多所作法(論議를 잘 하는 바탕)을 말함. 이상의 七因明중에는 제3論所依가 그 중심이 된다. 여기서 論證되는 바의 歸結所成立(약하여 所立이라고도 한다)2, 自性과 차별을 나누어 論證하는 주체 쪽에 속하는 能成立(약하여 能立이라고도 한다)8, 立宗·辨因·引喩·同類·異類·現量·比量·正敎로 나눈다. 能成立8종을 八能立이라고 한다. 無着雜集論 16에는 이 8을 곧 立宗·立論·立喩···現量·比量·聖敎量이라 한다. 이 가운데 처음 5, 宗因喩合結五項古來古因明에서 쓰는 論式의 특징으로 하고, 이것을 五分作法(五支作法)이라 한다. 대개 作法이라 함은 論證방법을 論式으로 자세히 밝힌 것, 또는 그와 같이 言說하는 것을 가리키고 뒤엣 것의 作法은 엄밀하게는 立量이라고 한다. 五分作法하는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世親如實論에서 한 방식으로는 無常한 것이다·所作性(조건에 의존)이므로·비유컨대 등과 같다·등과 같이 소리도 또한 이와 같다·까닭에 소리는 無常하다라고 한다. 五分作法旣知의 사항을 가지고 未知의 사항을 演繹的으로 論證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이라 함은 主張, 提案의 의미로, 立論者가 새로 提唱하고 論證할려고 하는 命題이며, 所立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대해서 (범어 hetu)立論者가 자기의 을 상대에게 承認시키기 위한 論證의 근거이고, 는 그 例證·例喩·實例이다. ·는 함께 旣知의 사실에 속하고, 能立이라고도 한다. (범어 upanaya)에 의거하여 結付하는 것, (범어 nigamana)再出시켜 結論으로서 확정되어지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이상의 五分作法의 원리를 명확하게 하지 않는 不整備論式으로서, 陳那後說하는三相에 의해서, 이것을 소리는 無常하다·所作性인 까닭에·모든 所作性인 것은 無常하다. 등과 같다(同喩). 모든 常住하는 것은 所作性인 것이 아니다. 허공등과 같이(異喩)라고 하는 三支作法으로 改良하여, 新因明을 확립했다. .....

 

삼량(三量) : 法相宗. 은 대상을 인식논증하는 것. ·心所가 대상을 인식논증하는 데 세 가지가 있음을 말한 것. (1) 能量. 대상에 대하여 量知하는 마음으로, 尺度와 같다. (2) 所量. 量知할 대상으로 布帛과 같다. (3) 量果. 그 결과를 아는 것으로, 몇 자 몇 치와 같다. 現量·比量·非量.

 

비량(比量) : 3의 하나로 眞比量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이미 아는 사실을 가지고, 비교해서 아직 알지 못하는 사실을 추측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꿀벌과 나비가 있는 것을 보고, 그곳에 꽃이 있는 줄을 미루어 아는 것과 같은 따위.

 

비량(非量) : 三量의 하나. 잘못된 現量比量으로 現量比量도 다 아니란 뜻. 似現量·似比量을 총칭함. 곧 잘못된 인식이란 뜻.

 

외계(外界) : 바깥 세계. () 감각·思惟의 자아 작용에서 떠나 독립하여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총칭. () 육계(六界) 중에서 識界를 내계라 할 때, 나머지의 五界. 환경. (국어사전) .....육계(六界)·····. (국어사전)

 

사상(事象) : 어떤 사정 밑에서 일어나는 일. 사건이나 사실의 현상.(국어사전)

 

각지(覺知) : 깨달아서 앎.(국어사전)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서방이 마시고 이서방이 취하는 도리(불교성전)  (0) 2018.07.09
행상(行相)  (0) 2018.07.09
주상(住相)  (0) 2018.07.06
참된 보시와 공양(인연이야기)  (0) 2018.07.05
절복문(折伏門)  (0)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