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승(衆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인 이상의 和合의 比丘를 범어로 僧伽라 하고 이를 번역하여 衆이라 한다. 그러므로 衆僧은 梵漢雙擧의 병칭이다. 또 禪宗에서는 같은 절에 있는 雲水僧(客僧)을 衆僧 또는 大衆이라 한다.
참고
화합(和合) : ① 통일된 것. 협동함. 조화한. ② 여러 가지 원인이 협동하고 조화하여 작용하는 것.
비구(比丘) : 비구는 범어 bhiksu의 音譯. 苾蒭 ∙ 苾芻 ∙ 煏芻 ∙ 備芻 ∙ 比呼라고도 말하고, 乞士 ∙ 乞士南 ∙ 除士 ∙ 薰士 ∙ 破煩惱 ∙ 除饉 ∙ 怖魔 등으로 번역한다. 男子로서 出家하여 具足戒를 받은 자를 말한다. 比丘尼는
범어 bhiksuni의 音譯. 苾蒭尼 ∙ 苾芻尼 ∙ 煏芻尼 ∙ 備芻尼 ∙ 比呼尼라고도 하며 乞士女 ∙ 除女 ∙ 薰女 등으로
번역하고, 沙門尼라고도 일컬으며, 尼라고도 말한다. 여자로 出家하여 具足戒를 받은 자를 말한다. 어느 것이나 五衆 七衆의 하나로 한다. 原語는「求乞함(bhiks)」에서 온 명사이지만 bhinna-klesa라고 하면 번뇌를 파괴한다는 뜻으로 된다. 智度論 卷三에서는, 比丘의 語義에 乞士(乞食에 의한 生活者) ∙ 破煩惱 ∙ 出家人
∙ 淨持戒 ∙ 怖魔의 다섯 가지 뜻이 있다고 했고, 이 중 破惡(破煩惱) ∙ 怖魔 ∙ 乞士를 比丘의 三義라고 한다. 阿羅漢의 語義 가운데 殺賊 ∙ 應供 ∙ 無生과 합하여 因果의 六義(比丘는 因이며 阿羅漢은 果)가운데 하나로 했다. 比丘의 종류에 관하여, 十誦律卷一이나 俱舍論 卷五에는 名字(名想)비구(이름뿐 실제가 없는 것) ∙ 自言(自稱)비구(스스로 비구라고 하는 자) ∙ 爲乞(乞匈)비구(乞食에 의해 생활하는 자) ∙ 破煩惱(破惑)비구(眞 비구)의 네 가지 종류의 비구를 말했고, 四分律 卷一에는 名字 ∙ 相似 ∙ 自稱 ∙ 善來 ∙ 乞求 ∙ 著割截衣 ∙ 破結使의 七種의 비구를 든다. 비구 ∙ 비구니가 지키는 戒는 諸律에 의해 그 수가 다르지만, 四分戒本에는 비구 二百五十戒, 비구니 三百四十八戒로 하고, 또 비구니는 비구를 공경해야 한다는 八敬法(八敬戒 ∙ 八尊重法 ∙ 八不可越法)을 들었다. 이것은 여성의 출가에 의해 바른 가르침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八敬法이란, (1) 비구니는 보름마다 비구의 지도를 받으라. (2) 비구를 따라 安居하라. (3) 安居가 끝나면 自恣하는 상대를 비구에서 구하라. (4) 비구에게 구족계를 받으라. (5) 비구를 비방해서는 안된다. (6) 비구의 죄를 들어 잘못을 말해서는 안된다. (7) 輕罪를 범했을 때는 비구에게 가서 참회하라. (8) 出家受戒를 받고 百年지난
비구니라 할지라도 新受戒의 비구를 예우하라. 이것이 여덟 가지 공경할 법(八敬法)이다.
승가(僧伽) : 범어 samgha의 음역. 略해서 僧이라 하고, 和 ∙ 衆이라 번역한다. 和合의 뜻. 그런 까닭에 和合衆 ∙ 和合僧 ∙ 海衆(衆僧이 和合하는 것을 바다 물이 한 맛인 것에 비유해서 海라 한다)이라고도 하고, 또 범어와 漢語와 아울러서 僧侶라고도 한다. 三寶의 1로, 佛法을 믿고 佛道를 행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보통은 출가의 비구 ∙ 비구니 ∙ 사미 ∙ 沙彌尼에 대해서 말하고, 이것을 四衆이라 하는데, 廣義로서는 在家까지도 포함한 불교 교단의 전체(곧 七衆)를 가리킨다고 생각해도 좋다. 또 비구승가와 비구니승가를 합해서 兩僧伽라 하고, 二部衆, 二衆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관념적으로 4方 일체의 비구 ∙ 비구니를 포함해서 생각하면 이것을 四方僧伽라 하고, 현실로 눈앞에 보는 바의 비구 ∙ 비구니의 집단을 가리켜서 현전승가라 한다. 현전승가는 반드시 四人이상이라야 한다. 이것은 羯磨(戒律의 作法)를 행할 수 있는 最少數로서, 그 이하는 단지 群이라고 부른다.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1인의 비구 ∙ 비구니까지도 僧 ∙ 僧侶라 하고, 특히 비구만을 僧이라 하고 비구니와 합하여 僧尼라고도 한다. 또 聲聞僧외에 보살도 僧이라고 하는 수도 있다. 智度論 卷三에는, 啞羊僧(어리석어서 선악조차 분별할 수 없는 僧) ∙ 無羞僧(無慚愧僧, 無耻僧이라고도 한다. 부끄러워하지 않는 破戒僧) ∙ 有羞僧(계율을 가지고 도를 닦으며 범한 죄에 대해서는 뉘우치는 僧) ∙ 眞實僧(見道 이상의 聖者)의 4종의 僧을 설하고, 顯宗論에는, 無耻僧 ∙ 瘂羊僧 ∙ 朋黨僧(黨을 조직하여 다른 이와 다투는 僧) ∙ 世俗僧(有羞僧에 해당. 착한 범부) ∙ 眞實僧의 5종의 僧을 說함. 啞羊僧을 略하여 羊僧이라고도 하고, 비구가 자기를 낮추어서 말 할 적에 쓴다.
중(衆) : 범어 samgha의 번역으로 僧伽라 音譯한다. 舊譯家는 四人이상의 화합으로 新譯家는 三人이상의 화합의 대중으로 풀었다. 法華玄義一에서 天台는 「衆은 僧이다. 理事의 두 가지가 화합하므로 衆이란 이름을 얻으며 3인 이상이므로 僧이다」고 했다.
승(僧) : 승가(僧伽).
선종(禪宗) : 佛心宗이라고도 함. 달마대사가 인도로부터 와서 전한 것. 敎外別傳을 宗의 綱格으로 하고, 坐禪으로써 內觀外省하여 自性을 徹見하고, 自證三昧의 妙境을 요달함을 宗要로 하는 宗派. 또한 禪宗이란 부처님의 敎說을 所依로 삼는 宗派를 敎宗이라 함에 대하여 坐禪을 닦는 종지라는 뜻이다. 禪宗은 석존에게 正法을 유촉받은 迦葉尊者로부터 28祖 菩提達磨가 있고, 28祖인 菩提達磨가 중국에 건너와서 慧可(487~593)에게 法을 전함으로부터 東土의 제5祖인 弘忍(602~675)에 이르러 그 門下에서 慧能(638~713)을 제6祖로 하는 南宗과, 神秀(?~706)를 제6祖로 하는 北宗으로 나누어졌다. 그러나 神秀의 北宗은 오래지 않아 脈이 끊어지고 慧能의 南宗만이 5家 7宗으로 번성하였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新羅 선덕여왕 5년(784) 당나라의 西堂智藏師에게서 法을 받아온 道義禪師를 初祖로 하는 迦智山門을 비롯하여, 역시 智藏의 法을 받은 洪陟을 初祖로 하는 實相山門과 鹽官 齋安에게서 法을 받아온 梵日을 初祖로 하는 闍崛山門, 智藏에게서 法을 받은 惠哲을 初祖로 하는 桐裏山門, 麻谷 寶徹의 法을 받은 無染을 初祖로 하는 聖住山門, 南泉 普願의 法을 받은 首允을 初祖로 하는 師子山門, 禪宗慧隱의 法을 받은 道憲을 初祖로 하는 曦陽山門, 章敬 懷暉의 法을 받은 玄昱을 初祖로 하는 鳳林山門, 新羅 雲居 道膺의 法을 받은 利嚴을 初祖로 하는 須彌山門의, 九山門이 성립되어 번성하였다.
운수(雲水) : 雲水僧·雲衲이라고도 한다. 여러 곳으로 스승을 찾아서 諸方에 참선하고 道를 물어 돌아다니는 僧을 말함.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悠悠히 되는대로 자연에 맡겨 나그네짓을 하는 모양을, 行雲流水에 비유하여 雲水라 하고, 衲을 구름에, 袂(몌)을 노을[霞(하)]에 비유해서 雲衲霞袂이라고도 한다. 또 여러 곳에서 모인 雲水들이 서로 형제와 같이 친한 것을 雲兄水弟라고 한다.
대중(大衆) : 범어 mahasamgha의 번역. ① 많은 대중이란 뜻으로 많은 승려를 말함. ② 四部衆의 총칭.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염불(智慧念佛) (0) | 2018.06.25 |
---|---|
자량(資糧) (0) | 2018.06.25 |
해행발심(解行發心) (0) | 2018.06.23 |
출가는 안온한 길(불교성전) (0) | 2018.06.22 |
중유와 의식(識神)-잡아함경-1365쪽-273번 (0) | 201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