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교일승(同敎一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敎의 하나. 화엄종에서, 三乘敎에도 內在的으로 敎가 들어 있으므로, 3乘法을 修行하더라도 마침내는 1乘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3乘과 1乘은 원융상통하여 同敎一乘이 된다는 說.
참고
이교(二敎) : ① 佛敎를 두 가지로 분류하는 것. 敎說의 의미·내용을 따라, 그 실천의 방법, 說法의 형식, 敎를 說하는 說主(敎主), 그 敎를 받아 들이는 상대인 제자와 중생의 相異에 따라 여러 분류가 있다.
(1) 小乘敎와 大乘敎의 2敎.
(2) 涅槃經의 2敎. 天台家에 의하면 佛陀가 최후에 열반경을 說한데 二意가 있다고 한다. 곧 1. 法華開會 때에 누락된 根機未熟한 佛在世의 제자들을 위해 다시 藏·通·別·圓의 4敎를 說해 一乘圓常의 妙理에 들게 한다. 법화를 大收敎라 하고 涅槃을 捃收敎라 한다. 2. 末世의 비구가 惡見을 일으켜서 불타도 열반에 들어갔으니 無常이라고 집착하거나, 혹은 本性을 귀하게 여기는데만 치우쳐서 戒律 등을 廢하므로 드디어 法身常住의 命을 잃기 때문에 佛이 그 末世의 惡見을 對治하여 常住의 命을 贖(바르기) 위한 敎이므로 贖命涅槃이라 하고 또 對治無常涅槃이라 한다. 여기에 單複의 2義가 있으니 열반경이 乘門과 戒門을 共說했다는 見은 複義라 하고, 열반경이 오직 戒律을 說한 것으로 보는 것은 單義이다. 單義에서는 이 경은 律을 붙들어 주는데 律은 곧 常住의 命을 贖하는 重寶이며, 複義로는 열반경은 扶律하고 常을 請하는 乘戒具足이니 따라서 常住의 命을 贖하는 重寶이다.
(3) 半滿二敎의 2敎. 1. 半字敎. 悉曇章에서 生字의 근원일 뿐 아직 字體를 이루지 못한 것을 半字라고 하는데 이것을 小乘敎에 비유한다. 2. 滿字敎. 毘伽羅論. 문자가 완전히 구족한 것을 滿字라고 하는데 이것을 了義究竟의 대승교에 비유한다.
(4) 漸敎와 頓敎의 2敎. 여기에 다음과 같은 3義가 있다. 1. 佛의 설법형식인 化義에 따라 나눈 것. 成道직후 대승보살에 대해서 구경의 대승법을 단번에 說한 것을 頓敎라 하고, 阿含으로부터 법화·열반에 이르기까지 2승의 제자에 대해 소승으로부터 시작하여 대승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說한 것을 漸敎라 한다. 2. 機의 頓漸에 따른 2敎가 있다. 漸悟의 機에 대해서 처음에 小乘, 나중에 大乘을 說하는 것으로 이것을 小(乘)로 말미암아 大(乘)를 일으키는 漸敎라 한다. 이에 대해, 頓機에서는 바로 大乘을 說하는 것으로 小(乘)에 말미암지 않는 大(乘)을 頓敎라 한다. 3. 法의 偏·圓을 따라 頓漸이라 한다. 偏僻·迂曲(굽은 길로 도는 것)의 方便敎를 漸敎라 하고 바로 成佛하는 圓滿至極의 법을 頓敎라 한다. 전자는 圓敎를 제외한 諸敎를 가리키고 후자는 圓敎를 가리킨다.
(5) 顯敎와 密敎의 2敎. 여기에 天台와 眞宗의 두 가지 구별이 있다. 1. 天台는 釋尊說法의 형식에 대해 두 가지 곧 顯密의 2敎를 세웠음이 그것이다. 곧 1會의 대중에 대해 顯露의 法을 설하여 청중 상호가 서로 알게 하는 것을 顯露敎라 하는데 이때에 다시 비밀히 다른 일부 대중만이 알아 듣도록 說法을 함으로써 한 법회에 모인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알지 못하게 하는 것을 秘密敎라고 한다. 鹿苑會에서 8만 諸天이 甚密의 妙法을 들은 것과 같은 예로서, 우리에게는 顯露敎였지만, 그들에게는 秘密敎이었으며 저들에게는 秘密敎였지만 우리에게는 顯露敎였다. 2. 眞言宗에서 세운 顯密二敎는 釋迦佛所說의 大乘敎一切經을 顯露敎라 하고, 大日如來所說의 金剛·胎藏 兩部의 大法을 密敎라 한다. 釋迦如來는 化身佛인데 化身佛의 說法은 교화의 대상인 중생의 근기를 따른 說法이므로 그 내용은 자연히 淺略한 것으로 이것이 顯露敎이며, 大日은 法身이므로 法身法樂을 위해 스스로의 권속에게 內證의 경계를 說한 法이므로 그 내용이 자연 秘奧不可思議하기 때문에 密敎라고 한다는 것이다.
(6) 天台宗의 敎義인 權敎·實敎의 2敎. 1. 權敎. 藏·通·別의 3敎는 實敎를 위한 權(方便)으로 새운 것으로 마침내는 없애야 될 것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2. 實敎. 如來出現의 本懷를 말한 진실한 敎法. 곧 圓敎가 그것이다.
(7) 天台宗에서 세운 敎義로 偏·圓의 2敎. 1. 偏敎. 편벽된 敎란 뜻이니 藏·通·別敎의 三藏에서 밝힌 敎法이 그것으로, 초생달부터 14일까지의 달을 偏月이라 함과 같다. 2. 圓敎. 제4의 圓敎에서 밝힌 敎法이 그것으로 15夜의 滿月에 비유할 수 있는 敎를 圓敎라 한다.
(8) 華嚴家가 세운 化敎와 制敎의 化行 2敎. 1. 化敎. 如來一代의 敎化를 가리킴. 곧 內衆受道의 제자와 外衆在俗의 대중에게 가르친 바로서 모두가 이를 의지해서 수행하여 生死苦를 벗어나는 법이다. 이는 經藏에 밝혀 있는 바와 같다. 2. 制敎. 如來가 戒律을 說하여 內衆受道의 제자, 곧 출가 중을 禁制함으로 如法하게 이것을 受持하여 聖果를 이루도록 한 것. 이는 律藏에 밝혀 있다.
(9) 界內敎와 界外敎의 2敎. 1. 界內敎. 天台宗에서 세운 四敎중 藏·通의 2敎는 범부가 生死浮沈하는 三界를 벗어나는 길을 說한 敎法이므로 界內敎라 하고, 2. 界外敎. 天台家가 말하는 別圓의 2敎는 이미 三界를 뛰어넘은 이가 三界 밖의 方便土 또는 實報土의 變異生死를 벗어나는 法을 說한 敎이므로 界外敎라 한다.
(10) 世間敎와 出世間敎의 2敎. 곧 세속적인 것과 超世俗. 1. 世間敎. 三界의 훌륭한 곳에 나는 善法을 말하며, 2. 出世間敎. 生死를 여의고 三界를 뛰어 넘는 三乘의 敎法이 그것.
(11) 了義敎와 不了義敎의 2敎. 1. 了義敎. 대승경의 깊은 뜻을 밝힌 것. 2. 不了義敎. 小乘敎를 말하며, 대승의 구경의 진리를 다 밝히지 못한 敎法이란 뜻.
(12) 唐의 印法師와 敏法師의 敎判인 2敎. 1. 屈曲敎. 法華·열반 등의 석가소설의 경으로서 중생의 根機를 따라 正道를 구부려서, 곧 멀리 돌려서 이야기해 주고 敎化하은 것. 2. 正道敎. 화엄경과 같이 盧舍那佛의 所說로서 法性의 平等無碍한 진리를 說하는 것.
(13) 三乘敎와 一乘敎.
(14) 稱法의 本敎와 逐機의 末敎.
(15) 同敎一乘과 別敎一乘.
(16) 有相大乘敎와 無相大乘敎.
(17) 敎와 禪.
(18) 聖道敎(聖道門)과 淨土敎(淨土門).
(19) 釋迦敎와 彌陀敎.
(20) 要門敎(定散自力敎)와 弘願敎(他力念佛의 敎).
② 北周의 道安이 쓴 二敎論에는 內敎(정신을 구제하는 敎)와 外敎(육신·형체를 구하는 敎)로 나누고 이것을 불교와 유교에 配對했다. 또 중국에서는 佛敎와 道敎를 二敎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화엄종(華嚴宗) : 八宗의 하나.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세운 종파. 혹은 이 종의 敎義를 크게 大成시킨 賢首의 이름을 따서 賢首宗이라고도 한다. 隋 · 唐시대 인도불교의 굴레를 벗어나 중국적 불교의 전성시대에 삼론종 · 천태종 · 율종 · 정토종 등 여러 종파와 대립하여 통합적인 불교로서 성립되었다. 初祖에 관해서는 여러 說이 있는데, 전통설은 杜順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제2조 智儼을 거쳐서, 제3조 法藏, 곧 賢首에 이르러 크게 이루어 놓았다. 中唐 무렵 한때 부진하였다가 澄觀 · 宗密에 의하여 진흥되었으므로, 이들은 중국의 華嚴五祖라 하며, 또 인도의 馬鳴과 龍樹를 더하여 7조라고도 한다.
삼승교(三乘敎) : 성문 · 연각 · 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修行 · 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敎法.
수행(修行) : 敎法을 몸에 지녀 갈고 닦아 실천하는 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찾는 마음을 발하여(發心), 그 願望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깨달음을 펼친다고 한다. 수행이란 특히 頭陀苦行 또는 廻國巡禮란 뜻으로 쓰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修行者, 또는 行者라 부르기도 한다. 성문 · 연각 · 보살이 각각 究極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에 대하여 성문은 三生六十劫, 연각은 四生百劫, 보살은 三祇百劫을 요한다고 한다.
(1) 三生六十劫이란, 성문이 아라한과에 이르기까지 가장 빠른 것은 세번 태어나는 기간을 지내고, 가장 늦는 것은 60劫(이 劫은 刀兵등의 1小劫)을 지낸다고 한다. 제一生 또는 처음 20劫에는 順解脫分을 일으키고, 제二生 또는 다음의 二十劫에는 未至定에 의하여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키고, 제三生 또는 마지막 20劫에는 根本定에 의하여 다시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켜 見道에 들고 마침내는 無學果를 증명한다고 한다. 그러나 제三生에서 처음으로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킨다고 하는 說도 있다. 또한 빠른 것은 利根, 늦은 것을 鈍根이라 하나, 거꾸로 늦은 것은 오랜 鍛鍊을 참아낼 수 있는 練根으로서의 利根이라고 할 수도 있다.
(2) 四生百劫이란 연각이 辟支佛果에 이른는데 가장 빠른 것은 四生, 가장 늦은 것은 百劫을 요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俱舍論> 권十二에는, 麟角喩獨覺(緣覺)은 반드시 百大劫 기간에 깨달음의 바탕을 닦는다고 설명하고, 四生의 說을 설명하지 않는다.
(3) 三祇百劫이란, 三祇는 3아승지겁(三僧劫, 三祇劫이라고도 함), 百劫은 百大劫의 약어로서 三僧劫百大劫이라고도 하고, 보살은 3아승지겁에 걸쳐 波羅蜜을 닦고 그후의 百大劫에 있어서 부처가 갖출 수 있는 뛰어난 姿形(즉 32相 · 80種好)의 씨앗이 되는 相好業을 심는다고 하고 이들 수행을 三祇의 修行, 이 수행을 거쳐 성불하는 것을 三祇成佛이라 한다.
<大毘婆沙論> 권百七十八에는, 보살이 初아승지겁에 7만5천佛, 제二아승지겁에 7만6천佛, 제三아승지겁에 7만7천佛이라는 수많은 부처님을 섬겨 깨달음에 이르는 근본으로 삼고, 계속하여 91劫에 6佛을 섬겨 異熟業을 닦아 왕궁에 태어난 후, 34心斷結成道를 설하였고,
<智度論> 권二十七 같은 데에도 三祇百劫의 說이 있으며,
<攝大乘論> 권下에서는 三祇만을 설하고 百劫을 별도로 說하지 않고 있다.
法相宗에서는 初아승지겁은 五位 중의 資量 · 加行의 二位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行을 닦고, 제二아승지겁은 通達位 및 修習位의 1部, 즉 初地에서 7地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고, 제三아승지겁은 修習位의 나머지 즉 8地에서 10地의 滿心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切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는다. 그리하여 10地의 滿心에 있어서 等覺의 位에 올라 여기에서 비로소 成佛을 위한 方便의 行을 닦는 것이 百劫의 行에 해당된다. 또한 三祇의 수행중에 열심히 노력하여 뛰어난 사람은 중간 단계를 뛰어 넘어 높은 修行階位에 도달할 수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超劫이라고 하는데 初地 이상에서는 超劫이 없다고 하는 說도 있다.
화엄종이나 천태종에서는, 三祇百劫의 說은, 小乘 및 下根인 사람을 위한 方便的인 敎로서 말하는 것이라고 하고, 兩宗이 각각 圓敎라고 하는 최고의 차원에서 본다면, 중생은 본래적으로 부처이므로 三祇라는 시간의 길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眞言宗에서는 三劫의 妄執(三妄執)을 一念으로 초월할 것을 설하고, 淨土敎에서는 本願의 힘에 의해 왕생하여 成佛이 되는 것이므로 三祇의 修行을 설하지 않는다.
일승(一乘) : 乘이라 하는 것은 타는 물건이란 뜻. 깨달음에 나가게 하는 敎를 말한다. 一乘(범어 eka-yana의 번역)이라 함은 불교의 참다운 교는 오직 하나로, 그 교에 의해서 모든 이가 고루 불타가 된다고 說하는 교이며, 三乘(범어 trini-yanani의 번역)이라 함은, 중생의 성질이나 능력에 응해서, 聲聞 · 緣覺 · 菩薩에 固有한 3종의 깨달음의 길이 있는 것을 말함. 또 三乘에는 一乘에 대해서 말하는 이외에, 또 3종의 교, 3종의 깨달음의 실천을 말하는 경우가 있어, 法藏의 華嚴五敎章 권一에는, 小乘 · 大乘 · 一乘, 혹은 大乘 · 中乘 · 小乘의 3으로 하고, 大寶積經 권九十四에는, 보살은 天乘(初禪 내지 四禪의 마음을 가라앉히는 실천) · 梵乘(慈悲喜捨) · 聖乘(八聖道)의 3을 스스로 닦아 다른 이를 가르친다고 설함.
① 一乘이란 말은, 법화경 方便品에는,「唯有一乘法無二亦無三」이라고 말하여, 二乘이라든가 三乘이라고 하는 것은 一乘으로 인도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화엄경 明難品이나 勝鬘經 一乘章에도 불타는 一乘을 說하고, 一乘에 의해서 불타가 되는 것을 說함. 一乘은 佛乘 · 一佛乘 · 一乘敎 · 一乘究竟敎 · 一乘法 · 一道 등이라고도 하고, 一乘의 敎를 說하는 經을 一乘의 妙典, 一乘의 敎를 믿는 이를 一乘의 機, 그 깊고 넓은 것을 바다에 비유해서 一乘海 등으로 일컫고, 一乘은 大乘의 최고의 敎이기 때문에 一乘極唱이라고 한다. 三乘이란 말은 增一阿含經 권四十五를 비롯한 여러 經論에 보이고, 聲聞乘을 小乘 · 下乘, 緣覺乘을 辟支佛乘 · 獨覺乘 · 中乘, 菩薩乘을 大乘 · 佛乘 · 如來乘 · 上乘이라고도 하고, 三乘의 敎를 三乘敎라고 한다. 聲聞 · 緣覺을 二乘이라고 하고, 大乘을 전연 믿을 수 없는 二乘을 愚法의 二乘, 마음을 뒤집어서 大乘에 들어가는 二乘을 不愚法의 二乘이라고 한다.
② 阿含經에는 三乘의 道를 얻을려고 하면 衆중에 구하라고 하였고, 有部 등에서는 三乘의 구별은 忍位에 있어서 定해지고, 聲聞 · 緣覺 · 菩薩은 각기 四諦 · 十二因緣 · 六度를 닦아서 解脫하는데, 얻어지는 涅槃에 다른(異) 바는 없다고 한다. 大乘 가운데, 法相宗에 의하면, 중생은 처음부터 五性의 구별이 있고, 定性聲聞, 定性緣覺, 定性菩薩은 三乘敎에 의해서 각기의 果를 깨닫고, 다만 不定性인 자는 一乘의 敎를 받아서 佛果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一乘敎는 不定性인 자를 誘引하기 위한 불타의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고, 三乘眞實 · 一乘方便의 입장을 취한다. 여기에 대해서 천태종이나 화엄종에서는 참다운 불교는 一乘뿐이라고 하여 一乘眞實 ․ 三乘方便의 입장을 취한다. 또 三論宗에서 三乘 중의 菩薩乘을 眞實, 二乘을 方便으로 하는데 천태종이나 화엄종에서는 三乘밖에 佛乘이 있다고 한다.
이 法相宗이나 三論宗을 三車家, 화엄종이나 천태종을 四車家라고 하는데, 三車 ․ 四車의 구별은 三乘과 一乘의 관계를 법화경 譬喩品의 火宅內 羊 · 鹿 · 牛의 三車와 門外 大白牛車의 관계 해석에 관련시켜서 붙인 이름이다.
③ 화엄종에서는, 그 究極的인 敎인 一乘圓敎를 상대적 차별의 面과 절대적 平等의 面에서 同敎와 別敎(共敎와 不共敎, 方便乘과 正乘)의 2종一乘으로 하고, 同別의 2를 나누면서, 同別無礙라고 한다. 또 同敎一乘의 體에 一乘 · 三乘 등의 모든 乘敎가 있는 것을 分諸乘, 그것들의 모든 乘敎가 모두 一乘이라는 것을 融本末이라고 한다.
三乘을 풀이하는데, 모든 중생이 다 불타가 되는 것을 不許하는 敎를 三乘으로 하는 通門의 說과, 事事無礙圓融을 說하지 않는 모든 敎를 三乘으로 하는 別門의 說이 있다고 하고, 또 一乘 · 三乘을 5종, 3종 등으로 나눈다(法藏의 華嚴五敎章 권一 등). 五種一乘이라 함은 別敎一乘(超越절대적인 一乘. 화엄경) · 同敎一乘(三乘에 공통하는 內在的인 一乘, 법화경) · 絶想一乘(思量을 넘어 직접으로 진리를 體現하는 一乘. 維摩經 등) · 佛性平等一乘(平等一乘이라고도 한다. 중생은 모두 佛性이 있어서 成佛한다고 하는 一乘 · 勝鬘經 · 涅槃經 등) · 密意一乘(密義意一乘이라고도 한다. 三乘眞實 一乘方便의 一乘. 解深密經 등)의 5로, 五敎에 맞춰보면 同別二敎는 圓敎, 絶想은 頓敎, 平等은 終敎, 密意는 始敎가 된다. 三種一乘이라 함은, 存三(密意一乘을 말함) · 遮三(법화경 등과 같이 三乘을 廢遮한다) · 表體(화엄경과 같이 大菩薩의 一乘을 直顯함)를 말한다.
④ 천태종에서는 법화경에 의거하여 法華一乘을 眞實로 하는데, 이것을 敎行人理의 四一(곧 敎도 수행도 수행자도 깨닫는 이치도 이 넷이 다 하나이다)로 해석한다. 智顗의 法華玄義 권九下에는, 三乘과 一乘의 관계를 10의 面(迹門의 十重→開廢會)에서 論하고, 잠정적인 三乘 등의 權(方便)을 否定하고 진실로 돌아오는 것(泯權歸實)을 說하고, 특히 實相의 理에 서서 三乘 그대로가 一乘에 融合된다고 한다. 곧 法華一乘의 敎를 說함에 따라서 聲聞 · 緣覺의 二乘이 불타가 될(二乘作佛)수 있다고 한다.
⑤ 眞宗에서는 誓願一佛乘이라고 하여 아미타불의 本願에 돌아감에 의해서 모든 이가 淨土에 往生하여 불타가 된다고 하고, 自利만을 구하는 二乘種도 그대로는 태어나지 못하는데(二乘種不生), 自力의 마음을 뒤집으면 다 같이 왕생하여 佛陀가 된다고 한다.
원융(圓融) : 걸리고 편벽됨이 없이 가득하고 만족하며, 완전히 일체가 되어서 서로 융합하므로 방해됨이 없는 것을 圓融이라 하고, 서로 떨어짐(隔)이 있어 따로 따로 있는 것을 隔歷이라 한다. 無差別·絶對와 차별·상대라고 하는 의미에 가깝다. 불교에서 事事物物의 차별적 현상의 實在를 인식하는 것과, 事物의 本性에 遡及하여 평등상을 인정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평등상을 주장함이다. 또한 事는 이치에서 생긴 것이므로, 이치를 여의고 事가 없어 한결같이 평등하여 理와 事가 걸림이 없다. 平等界에서 나타난 차별적 현상계의 事物도 상호간에 無礙圓融하다고 한다. 천태종이나 화엄종 등에서 많이 쓰는 말.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ㄱ(기역)~ㄴㄷ(디귿)'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면불교설(假面佛敎說) (0) | 2018.06.19 |
---|---|
대보적경(大寶積經) (0) | 2018.06.19 |
대장경을 외울지라도(불교성전) (0) | 2018.06.16 |
다문견고(多聞堅固) (0) | 2018.06.16 |
나무 아래 서면(서있는 사람들,법정스님) (0) | 2018.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