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四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천태종의 주장. 佛敎의 진리를 깨달아 들어갈 수 있는 門戶는 많지만 크게 나누면 有門 · 空門 · 亦有亦空門 · 非有非空門의 4門이다. 化法四敎에 각각 4門은 緣生析空觀에 의거한다. 곧 모든 존재는 因緣에 따라 생긴 有라고 보고 偏眞의 理를 깨달아 들어가는 것이 有門이니 이를 阿毘曇論에서 설하고 있다. 모든 존재를 분석하면 空이라고 깨달아 들어가는 것이 空門인데 이는 成實論에서 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有이며 空인 도리를 보고 有無에 집착한 견해를 깨뜨리고 깨달아 들어가는 것이 亦有亦空門이니 이는 昆勒論(이 論은 중국에는 없고 昆勒門[阿毘曇門][空門]에서 설하고 있다. 有도 空도 아닌 것을 깨달아 들어가는 것이 非有非空門이니, 이것은 迦旃延經(이 經은 中國에는 없다)에서 설하고 있다. 또 通敎에서는 如幻體空觀에 別敎에서는 歷別入中觀에, 圓敎에서는 圓融無礙觀에 바탕한 門이 있다. 4門중 어느 門에서도 각기 그 가르침을 받고 거기서 설하는 교리에 의해 깨달을 수 있지만 유독 藏敎에서는 흔히 有門으로부터, 내지 圓敎에선 非有非空門으로부터 깨달음에 들어간다고 한다.
② 發心 · 修行 · 菩提 · 涅槃의 4門. 密敎에서는 이 4位를 修行단계로 하여 동서남북 사방에 배대한다.
참고
천태종(天台宗) : 또는 天台法華宗 ∙ 天台法華圓宗 ∙ 台宗 ∙ 台家라고도 함. 중국 隋나라 때 천태산에서 天台 智顗를 開祖로 하여 창립한 대승불교의 한 파. 법화경을 근본경전으로 하며 禪定과 지혜의 調和를 宗義로 함. 智顗는 법화경을 중심으로 하여 조직적으로 불교를 통일하고, 적극적으로 諸法實相論을 주창하며 심오한 불교학의 체계를 세워「法華文句」∙「法華玄義」∙「摩訶止觀」등 三大部를 지어서 한 宗을 이룩하였다. 그 뒤에 章安 ∙ 智威 ∙ 慧威 ∙ 玄朗 ∙ 湛然 등이 계승하고, 荊溪 湛然은 三大部의 주석을 지어 그 때에 융성하던 법상종 ∙ 화엄종 ∙ 선종 등에 맞서 천태종의 眞面目을 크게 선양하였다. 그 뒤에 道邃 ∙ 廣修 ∙ 物外 ∙ 元琇 ∙ 淸竦 ∙ 義寂 등이 전해오다가, 五代의 전란에 宗典이 흩어지고, 思潮가 떨치지 못하였다. 義寂은 그 宗典을 고려와 일본에 전하여 다시 宗義의 연구가 성행하였고, 송나라 때에는 山家 ∙ 山外의 두 파로 대립하게 되었다. 山家派는 四明知禮가 으뜸이었는데 그의 학풍은 천태종의 근본 사상인 物 ∙ 心을 같이 취급하는 사상을 굳게 지키고, 또 현재의 자기를 여의지 않고 전체를 해결하는데 치중하였다. 그리고 源淸 ∙ 宗昱 ∙ 智圓 ∙ 從義 ∙ 仁岳 등이 영도한 山外派의 학풍은 緣起論에 반하여 마음을 근본으로 삼아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데 있었다. 중국에서는 明나라 때의 智旭이 종풍을 빛낸 것이 끝이었고,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의 玄光 ∙ 法融, 고구려의 波若, 고려의 諦觀 등이 천태종을 깊이 연구하였다. 또 義天은 송나라에 유학하여 宗旨를 배워 돌아온 후 개성에 국청사를 짓고, 천태종을 설립하였다. 그 門下에는 德麟 ∙ 翼宗 ∙ 景蘭 ∙ 連妙 등이 있었다. 천태종은 법화경 ∙ 대열반경 ∙ 대품반야경 ∙ 화엄경 ∙ 금광명경 ∙ 유마경 ∙ 지도론 ∙ 중론 ∙ 법화론 등을 所依의 경전으로 삼고, 實相論의 극치를 주장하였다.
불교(佛敎) : 범어 Buddha-sasana. 佛陀(Buddha)·如來·世尊 등으로도 불리우는 釋尊의 가르침을 뜻하며 佛法·佛道라고도 불리운다. 즉, 석가모니를 교조로 삼고 그가 말씀한 敎法을 宗旨로 하는 종교다. 불교라는 말은 부처가 설한 교법이라는 뜻과 부처가 되기 위한 교법이라는 뜻이 포함된다.
① 불교의 성립과정을 보면, B.C.500년 경에 인도 釋迦族의 迦毘羅國의 淨飯王과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太子 싯달타는 어려서부터 인간의 현실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여 항상 沈思冥想의 생활을 계속하였다. 29세가 되자 멀지 않아 다가올 임금의 지위도 거절하고 출가수도의 길을 떠나 당시 종교계와 철학계에 명망이 높은 사람을 두루 찾아 다니면서 자기가 회의하는 바를 풀려고 하였다. 그러나 아무도 그의 회의를 풀어 줄 수가 없음을 알게 되자 독자적인 思索과 수련을 닦을 결심을 하고 6년 간의 수도생활을 계속한 결과 드디어 자기의 心眼이 열렸다고 한다. 이것을 일러서 見性悟道라고 하며, 그 후의 그를 가리켜 불타(佛陀=覺者)라 부르고 따라서 그의 교설을 불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② 불교교리의 특성. 불교의 요지는 四諦·十二因緣·八正道 등이다. 4제라 함은 苦諦·集諦·滅諦·道諦 등으로서 고제와 집제는 인간의 현실계와 또 이 현실계가 고통의 현실계로 되는 원인관계를 밝히는 것이며 멸제와 도제는 인간의 理想界와 그 이상계에 이르는 방법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12인연이라 함은 因緣의 도리를 구체적으로 논하는 것이다. 인연이라 함은 이 우주 만물의 생성발전하는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것을 緣起라고도 한다. 8정도라 함은 4제 중의 도제의 구체적 방법을 가르친 것으로서 正見 등 8가지의 바른 길 즉 방법이다. 후세에 논의되는 불교의 모든 종교적 철학적인 교리문제는 모두 이 4제·12연기·8정도설을 확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석존이 80을 일기로 이 세상을 떠난지 4개월 후에는 그가 45년간에 걸쳐 설한 律과 經의 편찬을 보게 되었다. 교주 석가모니불은 세상을 떠났지만 그 인격의 감화력은 그대로 律과 經안에 보존되었고, 이 율과 경의 위력에 의하여 불교의 교단은 성숙되었다. 특히 다른 여러 종교에 비하여 불교가 지니는 중요한 특징을 들어 보면,
(1) 神을 절대적 존재로 내세우지 않는다. 불타가 후에 이상화되고 확대되어 절대·무한 및 그 밖의 성격이 부여되고, 각성과 구제의 근거가 되고 있으나 창조자·정복자와 같은 자세는 취하지 않는다.
(2) 智慧와 慈悲로서 대표된다.
(3) 자비는 무한이며 無償의 애정이라 할 수 있어, 증오나 원한을 전혀 가지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일반적으로 광신을 배척하고 관용인 동시에 일체의 평등을 관철하고자 한다.
(4) 지혜의 내용은 여러 가지로 발전하는데 일체를 縱으로 절단하는 시간적 원리인 無常과 일체를 橫으로 연결하는 공간적 원리인 緣起가 중심에 있어, 이것은 후에 空으로 표현된다.
(5) 현실을 직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6) 모든 일에 집착과 구애를 갖지 않는 실천만이 강조되고 있다.
(7) 조용하고 편안하며 또 흔들리지 않는 覺性(解脫)을 이상의 경지로 삼아 이를 涅槃이라 한다. 그 敎義는 석존의 正覺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팔만사천의 法門이라 일컫듯이 오랜 역사 동안에 교의의 내용은 여러 형태로 갈라져 매우 복잡하고 다양성을 띠게 되었다. 佛도 본래는 석존 자체를 가리켰다고 볼 수 있으나, 석존의 入寂 후 불신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 2身·3身 등의 논, 또는 과거불·미래불, 혹은 他方世界의 불·보살 등의 설이 나왔다.
③ 교리의 발달과 교단의 분열. 석가모니불의 입멸 후 근 100여 년간 통일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려왔다. 그러나 그 후 교단원들의 생활상의 모든 문제와 교리에 관한 견해의 차이로 교단은 드디어 전통을 지키는 上座部와 진보적 사상을 가진 大衆部라는 根本二部로 분열되었다. 그 후 약 4~5백년 동안에는 이 근본 이부에서 支派가 분열·파생되었으며 따라서 이 시대를 部派時代 혹은 소승 20부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에는 여러가지 다른 교리를 낳은 시대로서 교리발전사의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이 부파불교가 성행하던 시대에 약자는 자연 聖者에게 합류되어 성자만이 남게 되었는데 이것이 즉 소승불교로서, 이것을 소승불교 시대라 한다. 소승불교의 대표적인 것은 실재론적 입장에 선 說一切有部였다. 이 학파는 연구와 수도가 전문이었던 관계로 실사회에는 아무런 감화력도 주지 못하는 명목만의 불교였다. 종교로서의 힘을 잃은 소승불교로부터 소생재흥의 운동을 일으킨 것이 즉 대승불교이다. 대승은 실사회를 직접 구제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종교적 할동을 전개하는 동시에, 사상적으로도 소승의 실재론 사상에 대립되는 空·中道 사상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 原典은 반야경 등이다. 이러한 대승사상의 고취자는 龍樹(150~250)를 비롯한 그 계통의 학자들이다. 그 뒤를 이어 대승사상을 철학적으로 조직하는 데 큰 공로를 남긴 학자는 無着과 世親 등이다. 용수와 무착의 학설을 계승하는 그 각 계통의 학파는 후세까지 끊임없는 영향을 끼치면서 내려왔는데 특히 용수의 계통을 中觀派라 하고, 무착· 세친의 계통을 瑜伽派라고 불렀다. 이들은 교리사적으로 인도 불교계의 최후를 장식한 학파들이다. 7~8세기에 이르러서는 바라문교의 영향을 받고 불교의 순수성을 잃은 밀교가 탄생하였다. 이 때부터 인도의 불교는 철학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하게 된 것은 물론이고 종교적으로 쇠퇴기에 들어 갔다.
④ 불교의 전파. 佛滅 후 130여 년경에 출세한 아쇼카왕은 널리 해외까지 불교의 傳道師를 파견하였다. 남방으로는 세이론까지 파견되어 이것을 계기로 하여 버어마·샴·자바·인도차이나 등 남방 각 지역에 불교가 전파되어 남방불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 지역에 전파된 불교의 사상은 소승불교가 주이고, 대승불교는 그 지역 민족들의 성격에 맞지 않아서 그것은 신봉되지 않고 주로 원시불교의 三藏과 소승파인 上座分別部의 사상만이 신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남방불교의 특색은 불교의 典籍인 經·律·論 3 藏이 原語 그대로 전해져서 각국이 동일한 원전으로 유포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남방불교는 대체로 소승불교라고 불리어 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인도의 북방인 카슈미르·간다라 지방을 거쳐서 중앙아시아 서역제국에 유포되고 또 거기서 다시 西藏에도 차급되어 중국까지 전파된 북방불교가 있다. 이 북방불교는 남방불교와 정반대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1) 남방불교의 원전은 팔리어로 되어 있으나 북방의 그것은 범어로 되어 있으며
(2) 남방에서는 장경을 원전 그대로 신봉하는데 반해서 북방에서는 각국이 모두 자기 나라말로 번역하여 신봉하고 있다.
(3) 남방은 소승사상이 신봉되고 있으나 북방에서는 대소승의 三藏이 倂用되고 있으며 종교적으로 신봉되고 있는 것은 주로 대승정신인 것이 공통된 점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북방불교 중에서도 인도의 불교사상을 고도로 발전시킨 것은 중국 불교이다.
진리(眞理) : 참된 이치. 참된 도리. 佛法을 말함. 만인에게 보편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인식의 내용.
유문(有門) : 불교의 敎法 가운데 諸法은 有라고 설하는 敎化法. 예를 들면 唯識·俱舍論의 敎法. 四門의 하나.
공문(空門) : ① 불교의 총칭. 불교는 空法으로서, 그 전체를 꿰뚫은 근본 뜻을 삼는 것이므로 空門이라 함. ② 四門의 하나. 有에 집착하는 것을 깨뜨리기 위하여 온갖 사물을 실체와 自性이 없다고 말한 我空 · 法空 ·有爲空 · 無爲空 등 空理의 法門.
역유역공문(亦有亦空門) : 천태종에서 세운 敎義. 四門의 하나. 有이기도 하고 空이기도 한 亦有亦空의 中道를 가리킴.
비유비공문(非有非空門) : 4門의 하나. 萬有는 有도 아니고, 空도 아니라고 觀하여서 中道라고 말하는 敎法.
화법사교(化法四敎) : 천태종에서 석존 일대의 교설을 교화하는 법, 곧 교리의 내용에 의하여 藏敎·通敎·別敎·圓敎 등의 4종으로 분류한 것.
연생석공관(緣生析空觀) : 연생(緣生)→일체 존재는 因緣에 의해 生滅하므로 緣生 · 緣成 · 緣起라 한다. 또 연이생(緣已生)이라고도 함.
석공관(析空觀) : 析空觀이란 析色入空觀의 약으로, 또 析假入空觀·析法入空觀이라 한다. 혹은 단순히 析法觀이라고도 한다. 사람을 분석해서 五蘊·十二處·十八界 등의 구성요소를 들고, 色法을 분석해서 極微(물질구성의 최소단위)에 이르고, 心을 분석하여 一念(60刹那)에 이르는 것처럼 분석결과에 의해 人法의 二空으로 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소승불교의 空觀이다. 또 體空觀이란 體色入空觀의 약으로 體假入空觀·體法入空觀 혹은 體法觀이라 한다. 분석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諸法 그것을 직접 端的으로 夢幻처럼 보아 본래 그대로가 空이라고 體達하는 것을 말한다. 곧 諸法을 깨뜨려 버리는 것이 아니라 현상의 존재를 그대로 두고 空임을 觀하는 것이다. 이것은 대승불교의 空觀이라 한다. 天台宗에서는 四敎 중 三藏敎는 析空觀, 通敎는 體空觀을 觀한다고 한다.
인연(因緣) : 因과 緣 및 결과(果)를 생기게 하는 내적인 직접원인이 因이고, 외부에서 이를 돕는 간접적인 원인이 緣이다. 이것을 內因 · 外緣이라 하고 親因 · 疏緣이라고도 한다. 또 因을 廣義로 해석하여 因과 緣을 합쳐서 因이라 하고 이와 같이 緣이라고도 한다. 일체의 존재는 모두 因緣으로 낳고 인연으로 滅한다. 인연에 의해서 생기는 것을 因緣生 · 緣生 · 緣成 · 緣起 등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因緣으로 生滅하는 道理를 인연생멸의 理라 한다. 그와같이 인연에 의해 생멸하는 一切法이 그대로 空的 존재란 뜻으로 道理가 因緣 곧 空의 理이다.
편진(偏眞) : 소승교에서 주장하는 진리는 空의 한쪽에만 치우쳐 있으므로 偏空 · 偏眞 · 單空 또는 偏眞의 空理라고 한다. 대승교의 진리인 空도 역시 空이라 有無 어느 相도 집착하지 않는 것에 대한 말을 가리킨다.
아비담론(阿毘曇論) : 아비달마(阿毘達磨)→170220. 1006. 범어 abhidharma의 음역. 阿毘曇·毘曇이라고도 쓴다. 對法·無比法·向法·勝法, 혹은 단지 論이라고도 번역한다. 經·律과 더불어 三藏(불교성전의 총칭)의 하나로, 阿毘達磨藏·阿毘曇藏·對法藏·論藏이라 불리운다.
아비달마란 말은 본래「달마 곧 敎法(뒤에 經이라 불리움)에 관한 연구」를 의미하고, 아비뷔나야 곧「律에 관한 연구」와 相伴하여 썼었는데, 이것이 경·율 二藏에 대한 독립의 논장으로서, 三藏의 하나를 형성하게 된 것은, 西紀 전후의 일인 것 같다. 처음에는 法數要目을 묶은 論母(巴利語)에서 차례로 발전하여, 部派佛敎시대가 되면서, 유력한 部派는 다 각자의 아비달마를 가지고, 그 煩瑣한 철학적인 敎學을 전개했다. 그 語義도 점차로 적극적으로 理想化하여 해석되고, 俱舍論 권一에서는, 勝義의 아비달마는 四諦의 理를 對觀하여 열반의 깨달음에 對向하는 바의 無漏의 慧라고 해석하고 있다. 현존의 아비달마 가운데 주요한 부파는, 分別上座部(巴利文)와 說一切有部(주로 漢譯)인데, 특히 뒤의 것은 대승불교를 내(生)는 소재가 된 점으로 큰 意義를 갖는다.
아비담(阿毘曇) : 阿毘達磨의 舊譯.
아비달마장(阿毘達磨藏) : 범어 abhidharma-pitaka의 音譯으로 對法 · 無比法이라 번역한다. 阿毘達磨는 眞智의 존칭으로 일체의 論藏의 총칭이며 三藏의 하나. 文과 義를 含藏했다는 뜻으로 이렇게 이름.
공(空) : 범어 sunya의 번역. 舜若라 음역한다. 「空이라는 것은」空性이라 하며, 또 主空神을 舜若多神이라고도 칭한다.
空이란, 一切法은 因緣을 따라서 생겨난 것이므로, 거기에 我體 · 本體 · 實體라 할만한 것이 없으므로 空이라 한 것이다. 그러므로 諸法皆空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일체가 空이라고 觀見하는 것을 空觀이라 한다. 空은 虛無(偏空)이 아니고 空을 觀하는 것은 진실한 가치의 별견이므로, 眞空 그대로가 妙有라는 것이다. 이것을 眞空妙有라 한다. 이에 반하여 空을 허무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惡取空이라 한다. 이것이 佛敎 전반에 통하는 기본적인 교리이다. 大乘 · 小乘의 經論으로 空의 敎理에 관계하지 않은 것은 없지만, 그 교리에 천심에 따라 설명의 방법이 한결 같지 않다.
① 二空.
(1) 人空(實我가 空인 것. 有情의 個體 가운데에 我體라고 할만한 것이 없는 것. 我空 · 衆生空 · 生空 · 人無我라고도 한다)과 法空(인연을 따라 생긴 것이므로 일체의 존재 자체가 空이란 원리, 法無我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小乘은 人空만을 설하고 法空을 설하지 않지만 大乘은 法二空(人法二無我, 我法二空)을 說한다고 말한다.
(2) 析空(존재를 분석하여 나타난 空)과 體空(當體 곧 空의 뜻으로, 존재의 當體 바로 그대로가 空이라고 體達하는 空). 소승과 성실론은 析空을 설하고, 대승은 體空을 說한다고 한다.
(3) 但空(空에 치우쳐서 不空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妙有의 일면을 인정하지 않는 것, 偏空이라고 한다)과 不但空(空에 집착하지 않고 구속받지 않으며 妙有의 일면을 아울러 인정하는 中道의 空. 이것은 일체법에 결정된 고정불변의 자성이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공이므로, 不可得이라고도 한다).
② 三空.
(1) 법상종에서는 三性의 하나하나에 마다 空의 뜻이 있다고 하여, 이것을 삼공이라 한다. 즉 凡夫에 의해 妄執된 경계인 遍計所執性이 實은 空無임을 無性空이라 하고, 因緣을 따라 생긴 法인 依他起性은 변계소집성과는 다른 것으로, 전혀 無는 아닌데 그러나 범부가 妄情으로 집착하는 것과 같은 有도 아닌 것을 異性空이라 하고, 眞如의 진리인 圓成實性이 人法二空에 의해 자성이 나타난 것을 自性空이라 한다.
(2) 人空 · 法空 · 俱空(人法二空)의 三. ........
성실론(成實論) : 16권(혹은 20권). 인도의 訶梨跋摩가 저술하고, 姚秦의 구마라집이 번역함. 성실종의 근본 성전. 1부 5편 202장으로 되었음. 우주의 모든 현상은 假로 존재한 것이므로 결국 空에 돌아가는 것이라고 論定하고, 이 觀으로 말미암아 四諦의 실다운 이치를 체달한다 하며, 八聖道에 의하여 온갖 번뇌를 멸하고 無餘涅槃의 경지에 이른다고 말함. 양나라의 法雲·智藏·慧敏의 3대법사는 대승론이라 하고, 智義·吉藏은 소승론이라 하고, 道璿·元照는 分通大乘論이라 함.
곤륵문(蜫勒門) : 84. 智度論 卷十八에 「蜫勒門 · 阿毘曇門 · 空門의 三種敎(法門)에 들어가서 온갖 佛言을 관찰했다.」고 기술하고 있다. 蜫勒은 아마도 昆勒의 오류로서 범어 petaka 또는 pitaka의 음역으로 보이며, 南傳上座部에 전하는 petakopadesa라고 하는 論書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蜫勒門이란 이 論에서 설하고 있는 南傳上座部의 敎學을 가리키며, 阿毘曇門은 說一切有部의 敎學을, 空門은 大乘 특히 中觀派의 敎學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곤륵(昆勒) : 또는 곤륵(蜫勒). 論藏의 이름. 소승교 四門의 하나. 가전연 존자의 저서로 亦有亦空의 이치를 밝힌 것.
아비담문(阿毘曇門) : 空門. 發智論 · 六足論 등의 小乘敎에 딸린 部類의 책. 이 敎理는 小乘 涅槃의 경지에 도달하려면 반드시 실지 수행이 필요하므로 門이란 자를 쓴다. 毘曇宗은 이러한 論을 근본 聖典으로 하고 성립되다.
가전연(迦旃延) : 범어 Katyayana. 남인도 사람. 석존 10대 제자중의 한 사람으로, 論議 제일이며 迦旃延子 · 迦多衍那 · 迦多延尼子 · 迦底耶夜那 · 迦氈延이라고도 쓰며, 不空 · 文飾이라고 번역한다.
가전연아비담(迦旃延阿毘曇) : 阿毘曇八犍度論의 다른 이름.
아비담팔건도론(阿毘曇八犍度論) : 1008. 30권. 가전연자 지음. 符秦의 僧迦提婆 · 竺佛念이 함께 번역(383년). 阿毘達磨發智論과 같은 책을 달리 번역. 雜 · 結 · 智 · 業 · 大種 · 根 · 定 · 見의 8건도를 말한다. .....건도(犍度)→범어 khanda의 음역. 蘊 · 聚 · 陰 · 衆 · 肩 · 分段 등으로 번역함. 동일한 종류의 법을 모아서 한 몫씩 묶어 놓은 것. 經論 중의 부문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篇章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受戒章 또는 受戒篇을 受戒犍度라 하는 것과 같다.
통교(通敎) : 天台宗 化法 4敎의 제2. 성문 · 연각 · 보살의 3乘이 함께 받는 법. 얕고 깊은 법을 함께 말한 것이므로, 사람의 근성이 영리하고 둔함에 따라서 얕게도 해석하고, 깊게도 해석할 수 있는 敎. 근기가 둔한 사람이 이 교를 얕게 해석하면 藏敎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고, 영리한 사람이 이 교를 높게 해석하면 별교와 원교에 통해 들어갈 수 있는 것. 이렇게 근기에 따라 앞으로는 장교에, 뒤로는 별교와 원교에 통하는 교이므로 통교. 이 교의 세계관은 좁으나, 그 밝혀 놓은 이치는 깊다. 體가 공한 것이 그 근본 사상이다.
여환체공관(如幻體空觀) : 여환(如幻)→大品經 10喩의 하나. 일체 제법의 실상이 없는 것에 비유한 말.
체공관(體空觀) : 삼라만상의 존재가 그대로 空하다고 보는 觀法. 이것은 천태종에서 通敎의 실천 방법으로 세운 것.
체공(體空) : 만물의 존재가 총체적으로 그대로 空하다고 體達하는 것. 小乘은 析空인데 대해 大乘은 體空의 空이다.
별교(別敎) : 天台宗에서 말하는 化法 4敎의 하나. 근기가 둔한 중생들의 所見으로 보는 萬有는 事方面에서는 차별이 있지만, 理 방면으로 보면 평등하여 차별이 없으므로 이 迷見을 벗어나서 평등한 이치를 깨달으라고 가르치신 敎法.
역별입중관(歷別入中觀) : 역별(歷別)→격력(隔歷)과 동일. 격력(隔歷)→가로막고 있는 것. 따로따로 되어 있는 것.
중관(中觀) : 三觀의 하나. 中諦의 진리를 觀하는 것. 諸宗이 한결같이 이 中觀으로써 觀道의 極致를 삼는다. 法相宗에서는 遍計所集은 有에 있지 않고 依他圓成은 空에 있지 않다고 觀하는 것을 中觀이라고 하며, 三論宗은 諸法이 不生不滅하고 내지 不來不去라고 觀하는 것을 中觀이라고 하며, 천태종에서는 三千의 諸法이 낱낱이 절대하다고 觀하는 것을 中觀이라 하고 여기에 別敎의 所說을 隔歷의 中이라 하고 圓敎의 所說을 圓融이라 하여 前者를 但中, 後者를 不但中이라 했으니 곧 不但中을 究竟의 中觀으로 한 것이다.
원교(圓敎) : 원만하고 완전한 敎의 뜻. 舊譯 華嚴經卷五十五에는 善伏童子에게 圓滿因緣修多羅를 說했다고 했다. 중국에서 모든 경전의 내용을 體系化해서 비판분류하는데(敎相判釋), 究極的인 敎를 가끔 圓敎라고 부른다.
① 北魏의 慧光은 漸 ․ 頓 ․ 圓의 三敎로 나누어 華嚴經을 圓敎로 했다.
② 隋의 智顗가 나눈 五時八敎의 敎判에서는, 化法四敎를 三藏敎 ․ 通敎 ․ 別敎 ․ 圓敎로 하고, 圓은 不偏의 뜻이라고 했다. 또 圓敎는 華嚴 ․ 方等 ․ 般若의 說法에 있어서도 나타나 있지만 그것은 未開顯의 圓이고 순수한 圓敎가 아니며, 순전히 圓敎만을 說한 法華가 오직 開顯의 圓敎로서 今圓이라고 한데 대해서 그것을 昔圓이라고 했다.
③ 唐의 法藏은, 小乘敎 ․ 始敎 ․ 終敎 ․ 頓敎 ․ 圓敎의 五敎判을 說하고, 華嚴經을 제5의 圓敎라 했다. 圓敎는 곧 一乘이기 때문에 同敎一乘도 別敎一乘도 함께 圓敎이긴 하지만, 그러나 別敎一乘은 모든 經을 넘어선 無盡의 佛法이기 때문에 특히 別敎一乘만을 圓敎라고 했다.
④ 唐의 元政은 眞言密敎를 가지고 一大圓敎라고 하였다.
원융(圓融) : 걸리고 편벽됨이 없이 가득하고 만족하며, 완전히 일체가 되어서 서로 융합하므로 방해됨이 없는 것을 圓融이라 하고, 서로 떨어짐(隔)이 있어 따로 따로 있는 것을 隔歷이라 한다. 無差別·絶對와 차별·상대라고 하는 의미에 가깝다. 불교에서 事事物物의 차별적 현상의 實在를 인식하는 것과, 事物의 本性에 遡及하여 평등상을 인정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평등상을 주장함이다. 또한 事는 이치에서 생긴 것이므로, 이치를 여의고 事가 없어 한결같이 평등하여 理와 事가 걸림이 없다. 平等界에서 나타난 차별적 현상계의 事物도 상호간에 無礙圓融하다고 한다. 천태종이나 화엄종 등에서 많이 쓰는 말.
무애(無礙) : 觸感(닿는 느낌), 또는 걸림이 없는 것. 無關·無碍라고도 쓰고 無障礙·無罣礙·無所罣礙라고도 하며, 無礙에는 心無礙·色無礙·解無礙·辯無礙 등의 구별이 있다. 品類足論 권五에는 四無礙解를, 大寶積經 권十四에는, 三無礙(總持無所罣礙·辯才無所罣礙·道法無所罣礙)등을 說하고 있다. 그 가운데
(1) 總持無所罣礙는 總持無礙라고도 하는데, 보살이 大總持(大陀羅尼)를 얻어 善法을 잃지 않고 악법을 일으키지 않으며 일체의 言語諸法을 분별하여 남김없이 了達하므로 걸림이 없는 것.
(2) 辯才無所罣礙는 辯才無礙라고도 한다. 보살이 大辯才를 얻어 중생의 機를 따라 대승·소승의 법을 설하여 모두 통달케 하는 것.
(3) 道法無所罣礙는 道法無礙라고도 한다. 보살이 대지혜를 얻어서 능히 대승·소승의 법과 세간의 언어와 문자를 통달하는 것을 말한다. 新譯 華嚴經 권五十六에는 如相廻向位(십회향의 第八)의 보살은 衆生無礙用 내지 力無礙用의 자재한 10종의 行用(十無礙用)이 있다고 하며, 同經 四十六권에는 諸佛의 10종의 無障礙住가 있음을 說하는 등 여러가지 설이 있다. 華嚴經疏권一에, 毘盧遮那의 佛身에는 用周無礙·相偏無礙·寂用無礙·依起無礙·眞應無礙·分圓無礙·因果無礙·依正無礙·潜入無礙·圓通無礙의 十無礙를 갖춘다고 했다. 華嚴經探玄記권三에는 蓮華藏世界에, 情事無礙·理事無礙·相入無礙·相卽無礙·重現無礙·主伴無礙·體用無礙·隱顯無礙·時處無礙·成壞無礙의 十無礙를 갖춘다고 했다. 기타 華嚴法界玄鏡의 권上에는 四法界說이 있으며, 理事無礙法界·事事無礙法界의 相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 無礙에는 모든 것이 잘 융합되어 서로 방해하지 않는 圓融無礙와 모든 것에 자재하여 막힘이 없는 自在無礙의 뜻도 있다고 했다. 또 佛의 지혜를 無礙智, 아미타불의 光明을 無礙光(十二光중의 하나), 佛을 無礙人, 一乘法을 無礙道라고도 한다.
원융무애(圓融無礙) : 모든 것이 잘 융합되어 서로 방해하지 않는 것.
장교(藏敎) : 天台宗의 敎說인 化法四敎의 하나. 三藏敎의 준말. 小乘敎 四阿含經에 의해서 但空의 도리를 밝히어 析空觀(分析空으로 空을 觀하는 것)에 의해서 無餘涅槃의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小乘敎를 가리키는 말.
발심(發心) : 發菩提心의 준 말. 보리의 깨달음을 구하고자 하는 지극한 求道心을 일컬음. 변하여 좋은 마음을 내는 것도 발심이라 한다.
발보리심(發菩提心) : 發心이라고도 한다. 위로 佛陀의 지혜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는 上求菩提 · 下化衆生의 菩提心을 일으켰다는 뜻.
수행(修行) : 敎法을 몸에 지녀 갈고 닦아 실천하는 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찾는 마음을 발하여(發心), 그 願望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깨달음을 펼친다고 한다. 수행이란 특히 頭陀苦行 또는 廻國巡禮란 뜻으로 쓰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修行者, 또는 行者라 부르기도 한다. 성문 · 연각 · 보살이 각각 究極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세월에 대하여 성문은 三生六十劫, 연각은 四生百劫, 보살은 三祇百劫을 요한다고 한다.
(1) 三生六十劫이란, 성문이 아라한과에 이르기까지 가장 빠른 것은 세번 태어나는 기간을 지내고, 가장 늦는 것은 60劫(이 劫은 刀兵등의 1小劫)을 지낸다고 한다. 제一生 또는 처음 20劫에는 順解脫分을 일으키고, 제二生 또는 다음의 二十劫에는 未至定에 의하여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키고, 제三生 또는 마지막 20劫에는 根本定에 의하여 다시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켜 見道에 들고 마침내는 無學果를 증명한다고 한다. 그러나 제三生에서 처음으로 順決擇分의 慧를 일으킨다고 하는 說도 있다. 또한 빠른 것은 利根, 늦은 것을 鈍根이라 하나, 거꾸로 늦은 것은 오랜 鍛鍊을 참아낼 수 있는 練根으로서의 利根이라고 할 수도 있다.
(2) 四生百劫이란 연각이 辟支佛果에 이른는데 가장 빠른 것은 四生, 가장 늦은 것은 百劫을 요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俱舍論> 권十二에는, 麟角喩獨覺(緣覺)은 반드시 百大劫 기간에 깨달음의 바탕을 닦는다고 설명하고, 四生의 說을 설명하지 않는다.
(3) 三祇百劫이란, 三祇는 3아승지겁(三僧劫, 三祇劫이라고도 함), 百劫은 百大劫의 약어로서 三僧劫百大劫이라고도 하고, 보살은 3아승지겁에 걸쳐 波羅蜜을 닦고 그후의 百大劫에 있어서 부처가 갖출 수 있는 뛰어난 姿形(즉 32相 · 80種好)의 씨앗이 되는 相好業을 심는다고 하고 이들 수행을 三祇의 修行, 이 수행을 거쳐 성불하는 것을 三祇成佛이라 한다.
<大毘婆沙論> 권百七十八에는, 보살이 初아승지겁에 7만5천佛, 제二아승지겁에 7만6천佛, 제三아승지겁에 7만7천佛이라는 수많은 부처님을 섬겨 깨달음에 이르는 근본으로 삼고, 계속하여 91劫에 6佛을 섬겨 異熟業을 닦아 왕궁에 태어난 후, 34心斷結成道를 설하였고,
<智度論> 권二十七 같은 데에도 三祇百劫의 說이 있으며,
<攝大乘論> 권下에서는 三祇만을 설하고 百劫을 별도로 說하지 않고 있다.
法相宗에서는 初아승지겁은 五位 중의 資量 · 加行의 二位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行을 닦고, 제二아승지겁은 通達位 및 修習位의 1部, 즉 初地에서 7地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고, 제三아승지겁은 修習位의 나머지 즉 8地에서 10地의 滿心까지이며, 여기에서는 一切行 속에서 一切行을 닦는다. 그리하여 10地의 滿心에 있어서 等覺의 位에 올라 여기에서 비로소 成佛을 위한 方便의 行을 닦는 것이 百劫의 行에 해당된다. 또한 三祇의 수행중에 열심히 노력하여 뛰어난 사람은 중간 단계를 뛰어 넘어 높은 修行階位에 도달할 수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超劫이라고 하는데 初地 이상에서는 超劫이 없다고 하는 說도 있다.
화엄종이나 천태종에서는, 三祇百劫의 說은, 小乘 및 下根인 사람을 위한 方便的인 敎로서 말하는 것이라고 하고, 兩宗이 각각 圓敎라고 하는 최고의 차원에서 본다면, 중생은 본래적으로 부처이므로 三祇라는 시간의 길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眞言宗에서는 三劫의 妄執(三妄執)을 一念으로 초월할 것을 설하고, 淨土敎에서는 本願의 힘에 의해 왕생하여 成佛이 되는 것이므로 三祇의 修行을 설하지 않는다.
보리(菩提) : 범어 bodhi의 음역. 覺 · 智 · 知 · 道라고 번역한다. 佛 · 연각 · 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나위 없는 최상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부르며, 번역하여 無上正等正覺 · 無上菩提라고 한다.
智度論卷五十三에는 불타의 보리에 대해서,
(1) 보살이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發心하는 것을 그 마음은 菩提의 果에 이르는 因이라는 뜻으로 發心菩提,
(2) 번뇌를 누르고 모든 波羅蜜을 행하는 것을 伏心菩提,
(3) 諸法實相을 깨달은 반야바라밀의 相을 明心菩提,
(4) 반야바라밀에 의한 방편력을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에 잡히지 않고 번뇌를 끊어서 一切智에 이르는 것을 出道菩提,
(5) 佛果의 覺智를 無上菩提라고 한다. 이를 합해 五種菩提라 한다.
또 법화경論卷下에서는 佛의 法 · 報 · 應의 三身에 대해 法佛菩提(法身菩提) · 報佛菩提(報身菩提) · 應佛菩提(應身菩提)의 三種菩提를 주장하고 있다.
大乘義章十八에서는 無上菩提에는 方便菩提와 性淨菩提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다.
천태종에서는 十種菩提의 三法 가운데 하나로 三菩提를 들어,
(1) 實相의 理를 깨달은 것을 眞性菩提(實相菩提 · 無上菩提).
(2) 그 理에 계합한 지혜를 깨닫는 것을 實智菩提(淸淨菩提).
(3) 자유자재로 중생을 교화하는 기능을 깨닫는 것을 方便菩提(究竟菩提)라 하고, 이것은 법신 · 반야 · 해탈의 三德과 별개가 아니며, 三菩提가 곧 三軌라 했다.
淨土論에서는,
(1) 自我에 집착하여 (2) 온갖 중생을 안온하게 해 주려고 하지 않으며, (3) 자기에게만 봉사한다고 하는, 菩提에 위배되는 三種菩提門相違法을 멀리 여의는 것을 三遠離心 · 三種離菩提障, 또,
(1) 자기만을 위한 樂을 구하지 않으며(無染淸淨心)
(2) 중생의 苦를 없애 안온하게 해 주고(安淸淨心)
(3) 중생을 깨달음으로 나아가도록 해서 영원한 樂을 준다(樂淸淨心)고 하는, 菩提를 따르는 三種隨順菩提門法의 心을 三淸淨心이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지혜 · 자비 · 방편의 三門에 의해 여의기도 하고 일어나기도 한다고 한다. 無上菩提를 구하는 중생을 菩提薩埵, 略해서 보살, 無上菩提를 구하는 마음을 無上菩提心 · 無上道意 혹은 菩提心이라고 한다.
후세에는 祖上의 보리를 증진하는, 곧 成佛되기를 빌고 명복을 비는 의식을 행하는 것을 增上菩提 또는 菩提를 哀悼한다고 하기도 했다. 菩提를 애도한다는 뜻에서 신도가 소속하는 절을 菩提寺 · 菩提所라고 하는 수도 있다.
열반(涅槃) : 滅 · 寂滅 · 滅度 · 寂이라 번역한다. 擇滅 · 離繫 · 解脫 등과 동의어로, 또 般涅槃(般은 범어 pari의 음역으로, 완전의 뜻. 圓寂이라 번역한다), 大般涅槃(大는 뛰어나다는 뜻, 大圓寂)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불어 끈다는 뜻, 불어 끈 상태, 곧 타오르는 번뇌의 불을 滅盡해서 깨달음의 지혜인 菩提를 완성한 경지를 말한다. 이것은 生死(迷의 세계)를 넘어선 깨달음의 세계로, 불교의 구극적인 실천목적이며, 그러므로 여기에 불교의 특징을 나타내는 旗印(法印)의 하나로서 涅槃寂靜을 세우게 된다. 불교 이외의 外道에서도 열반을 말하지만, 불교의 열반과는 다르다. 불교에서도 대승 · 소승에서 각기 그 해석에 異說이 많다.
① 部派(소승)불교에서 열반이라 함은 번뇌를 멸하여 없앤 상태라 하고, 여기에 有餘열반과 無餘열반의 2종열반을 세운다. 앞의 것은 번뇌를 끊었지만 육체(「殘餘의 依身」가 아직 있다는 의미로「餘依」또는「餘」라고 한다)는 아직 殘存하는 경우, 뒤의 것은 灰身滅智의 상태로, 모든 것이 滅無로 돌아간 경우를 가리킨다. 有部등에서는 열반을 하나의 본연의 자세인 실체적인 경지로 생각하고, 經量部등에서는 열반은 번뇌가 멸한 상태에 대한 假稱的인 명칭으로 실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② 대승에서는, 열반을 적극적인 것이라 생각하여, 常 · 樂 · 我 · 淨의 四德을 갖추지 않은 소승의 열반을 有爲열반이라고 하는 데 대해서, 이 사덕을 갖춘 열반을 無爲열반이라 하여, 이것을 최상의 목표로 삼는다. 또 南本열반경 卷三에는, 常 · 恒 · 安 · 淸淨 · 不老 · 不死 · 無垢 · 快樂의 8味가 열반에는 갖추어 있다고 하여, 이것을 열반의 八味라고 한다. 常 · 恒은 항상, 安 · 快樂은 樂으로, 不老 · 不死는 我에, 淸淨 · 無垢는 淨에 對應하여 이것을 四德에 배속하는 수도 있다. 唯識宗에서는, 本來自性淸淨열반과 有餘依열반과 無餘依열반과 無住處열반의 4종열반으로 나눈다. 본래자성청정열반은 또 본래청정열반이라고도 性淨열반이라고도 하고 모든 것이 본래의 相에 있어서는 眞如寂滅의 理體 그것이라고 하여 진여를 가리켜서 이와같이 말한다. 무주처열반이라 함은 지혜에 의해서 煩惱障과 所知障을 여의었기 때문에 생사(迷의 세계)에도 停滯하지 않고, 또 大悲를 가지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迷의 세계중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열반의 경지에서도 머무르지 않는 것을 말하고, 대승불교의 열반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地論宗이나 攝論宗에서는 性淨열반 · 方便淨열반(도를 닦음으로 인하여 번뇌의 더러움을 없애고 얻는 열반)의 二열반, 천태종에서는 性淨열반 · 圓淨열반(지론종등의 방편정열반에 상당) · 方便淨열반(불타가 중생을 구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모습을 나타냈다가 緣이 다하여 들어가는 열반으로, 應化열반이라고도 한다)의 3열반을 세운다.
③ 소승의 聲聞이나 緣覺이 무여열반에 들어가서 다시 마음을 바꿔서 대승의 敎에 轉向하는 것을 無餘還生이라고 한다. 또 열반은 모든 차별적인 모습(有爲의 相)을 超離하여 있는데, 이것을 離相이라고 한다. 淨土敎에서는 불타의 정토를 涅槃之城 또는 無爲涅槃界라고도 한다.
④ 이 세상에 사람으로서 나타난 불타(특히 釋尊)의 육체의 죽음을 涅槃 · 般涅槃 · 大般涅槃이라고 하고,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入涅槃 · 入滅 · 薪盡火滅(薪은 佛身 또는 機緣, 火는 지혜 또는 佛身에 비유한다)이라고 한다. 대개 본래는 석존의 成道를 열반이라고 해야 할 것이나, 지금은 아마도 無餘依열반의 의미로 이와같이 말하는 것일 것이다. 석존의 入涅槃의 모습을 본뜬 畵像 또 影像을 涅槃像, 그날(2월 15일)에 석존을 追慕하여 진력하는 법회를 涅槃會 · 涅槃忌 · 常樂會등이라고 한다. 또 승려의 死를 圓寂 · 歸寂 · 示寂 · 入寂등이라고 한다.
밀교(密敎) : 秘密佛敎의 약칭. 일반적인 불교를 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말. 석가모니 부처님 혹은 報身의 아미타불 등을 교주로 하는 모든 대승 顯敎에 대하여 法身의 大日如來를 교주로 하며 우주를 이 법신 自在證의 경계로 보고 한 字 한 字의 진언다라니는 신비력이 있으며 그 三密의 秘法은 가볍게 전수할 수 없다고 하는 데서 밀교라고 한다. 보통 밀교를 미신적인 呪術의 체계이며, 性力(범어 sakti)을 숭배하는 타락된 불교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것은 힌두교의 탄트라(범어 tantra) 신앙과 결합되어 말기에 나타났던 左道密敎를 가리킬 따름이다. 정통적인 밀교사상은 개체와 전체의 신비적 合一을 목표로 하며, 그 통찰을 全身的으로 파악하는 실천과 儀禮의 체계이다. 밀교에 해당하는 인도의 호칭은 金剛乘(범어 vajrayana)으로 금강승은 후기 대승불교를 대표한다. 금강승은 實在와 현상을 자기의 한 몸에 융합하는 卽身成佛을 목표로 한다. 그것은 다양한 것의 통일이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그 통일원리는 空과 慈悲의 일치 즉 반야와 方便의 일치로 나타난다. 종교의식상에서 여러 가지의 비법과 火祭 등을 행하는 것은 소위 탄트리즘으로 베다(veda)의 옛적부터 인도에서 행하여졌으며, 이런 법을 불교에서도 최초에는 배척하고 있었으나 석존 멸후 얼마 안가서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주로 의식 또는 瑜伽觀行에 응용될 뿐 교리 체계에는 관계가 없다. 이것을 雜部密敎라 하며, 이는 교리체계를 명료하게 법신 大日說로 전개하여 舊敎를 일변시킨 純部밀교와는 대립된다. 즉 현세적 욕망을 처리하는 주술적인 것과 극단적인 신비주의 속에서 발달한 상징의 철학으로 구분된다. 전자인 雜密(또는 呪密)은 禁忌 · 符籍 · 呪法 등으로 표현되는 것에 반해 후자인 純密(또는 通密)은 7세기 전후에 성립된 大日 · 金剛頂의 두 大經에 의하여 그 체계를 확립하였다. 전자는 서인도에서 후자는 남인도에서 성립하였다. 그 사상계통도 다소 다르지만 모두 대일법신의 自證化他의 양 방면을 믿음과 행동의 양면으로부터 체계적으로 바로잡았다. 이것이 善無畏 · 金剛智 · 不空 등에 의해서 중국에 들어왔다. 회교의 침입(1027~1087) 이후 성립된 俱生乘(sahajayana)과 時輪乘(kalacakrayana), 그리고 금강승에서 갈려 나온 탄트라승(tantrayana), 吉祥乘(bhadrayana) 등은 정적인 요소를 담고 있다. 인도에서 티베트 · 네팔 등으로 전파되어 오늘날에도 행해지고 있는 것은 구생승 계통이며 티베트에 들어가 발달된 것이 라마교이다. 중국 · 한국 · 일본은 토속신앙과 결합된 요소가 많다.
사방(四方) : 밀교에서 동·서·남·북을 말함. 동방은 因陀羅方, 남방은 焰魔羅方, 서방은 嚩嚕拏方, 북방은 毘娑門方이 된다. 또는 동북은 伊舍尼方이 되고, 동남은 護摩方이 되며, 서남은 涅哩底方이 되고, 서북은 嚩瘦方이 된다. 이는 모두 護方神을 인하여 이름한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공(我空) (0) | 2018.05.04 |
---|---|
아소(我所) (0) | 2018.05.04 |
실지보리(實智菩提) (0) | 2018.05.04 |
삼인불성(三因佛性) (0) | 2018.05.03 |
실아(實我) (0) | 2018.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