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西來祖師意라고도 하며 약하여 西來意라고도 한다. 禪宗의 初祖 菩提達磨가 西쪽 인도로부터 중국에 들어 와서 禪法을 傳해 준 眞意가 무엇인가? 하고 反省 또는 疑問하는 것. 그 意義를 究明하는 것은 佛祖悟道의 근본정신을 확실히 깨우치는 것으로서 禪宗에서는 古來로 깨달음의 機緣되는 말로, 參究할 問題. 곧 話頭 公案으로 삼아 왔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正道) (0) | 2018.02.10 |
---|---|
정토삼십익(淨土三十益) (0) | 2018.02.10 |
축생(畜生) (0) | 2018.02.09 |
총림(叢林) (0) | 2018.02.09 |
주십과(酒十過) (0) | 201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