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옹 거사 홍상사(洪上舍)에게 보임(禪要)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참선은 승·속(緇素)을 구별할 것 없고 오직 하나의 결정된 믿음이 필요한 것이다. 만일 당장에 믿어 미침(及)을 얻고 잡아 정(定)하고 지어 주인이 되어 오욕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마치 무쇠막대기같이 하면 한정된 날에 공부를 성취하되 독안에 달리는 자라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리라.
어찌 보지 못했는가? 화엄회상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가 일백 일십 성을 지나면서 오십 삼 선지식(善知識)을 참례하여 이 위없는 과위(果位)를 얻은 것도 오직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법화회상에서 8세 용녀(龍女)가 석가모니 부처님께 구슬을 드리고 바로 남방무구세계에 가서 성불한 것도 이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열반회상에서 이마 넓은 백정이 도살하던 칼을 놓아버리고 외치기를 “나도 천불중에 하나인 수에 든다”함도 이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옛날 아나율타(阿那律陀)가 부처님께 꾸지람을 듣고 7일 동안 자지 않았다가 두 눈이 먼 뒤에 대천세계를 마치 손바닥에 있는 과일 보는 것과 같이 볼 수 있게 된 것도 이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또 어떤 한 젊은 비구가 한 늙은 비구를 희롱하되 “과위를 증득하게 해주겠다”하고 가죽공으로 머리를 네 번 때리는 데서 곧 사과(四果)를 얻은 것도 이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양기(楊岐)가 자명 화상(慈明和尙)을 참례하니 감사(監事=院主)를 맡겼다. 그로부터 9년이 되던 해에 비공(鼻孔=識心)을 잃어버리고 도를 천하에 전파(傳播)함도 역시 이 하나의 믿음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위로부터 부처님과 조사들이 피안(彼岸)에 올라 큰 법바퀴를 굴려 중생들을 이끌어 제도하고 중생들을 이익케 한 것이 이 하나의 믿음으로부터 흘러 나오지 않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며, 믿음은 위없는 불도며, 믿음은 영원히 번뇌의 근원을 끊을 수 있으며, 믿음은 속히 해탈의 문을 증득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다.
옛날 선성(善星)비구가 부처님을 시봉하되 20년 동안 좌우(左右)를 여의지 않았지만 이 하나의 믿음이 없었기 때문에 성스러운 도를 이루지 못하고 산 채로 지옥에 떨어졌다.
오늘 신옹 거사는 부귀한 가운데 살면서도 이러한 결정된 믿음을 갖추었다. 지난 임오(壬午)년에 산에 올라와서 나를 만나려 하다가 만나지 못하고 되돌아 갔었고, 또 그 다음해 겨울에 직옹거사를 데리고 와서야 비로소 문안에 들어오게 되었다가 한 해를 지낸 지금에 또 식량과 쌀가루를 싸가지고 특별히 찾아와 상종(相從)하면서 계를 받고 제자되기를 원하므로 여러 날을 계속하여 그 동기(端由)를 캐물어 보았더니 적실히 돈독한 믿음과 도에 나아갈 뜻이 있더라.
「유마경(維摩經)」에 말하기를 “고원육지(高原陸地)에는 연꽃이 나지 않고 비습(卑濕)한 진흙에 이 꽃이 자란다”고 한 것이 바로 그대를 두고 한 말이로다.
산승이 이로 인하여 그대를 가상히 여겨 힘을 덜고 닦기 쉽고 일찍이 경험한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고?”하는 화두를 두 손으로 전하여 주노니 반드시 이렇게 믿고 이렇게 의심(疑情)을 낼지어다.
의심은 믿음으로써 바탕을 삼고 깨달음은 의심으로써 작용을 삼는 줄 알아야 하나니, 믿음이 십분(十分)이 있으면 의심이 십분이 되고 의심이 십분이면 깨달음이 십분이나 얻어진다. 마치 물이 불어나면 배가 높이 뜨고, 진흙이 많으면 불상이 큰 것과 같다.
서역(西天)과 이 땅에 옛과 지금의 선지식들이 이 광명을 일으켜 선양하는데 이는 하나의 의심을 해결하는 것뿐이었다. 천 가지 의심과 만 가지 의심이 이 한 가지 의심뿐인 것이니 이 의심을 해결한 이는 다시 다른 의심이 없다. 이미 다른 의심이 없다면 석가모니불, 미륵불, 유마거사, 방거사와 더불어 더하지도 않고 덜하지도 않으며 둘일 수도 없고 다를 수도 없다. 똑같은 눈으로 보고 똑같은 귀로 들으며, 똑같이 수용(受用)하고 똑같이 나고 죽으며, 천당 지옥에도 마음대로 노닐고 범의 소굴, 마구니 궁전에도 종(縱)으로 횡(橫)으로 걸림없어 날듯이 자재롭고 자재로워 날듯 할 것이다.
그러므로「열반경(涅槃經)」에 말씀하시기를 “생멸이 멸하여 다하면 적멸(寂滅)이 즐거움이 된다”고 하셨으니 이 즐거움은 허망한 생각이 옮겨 흐르는 정식(情識)의 즐거움이 아니라 곧 참되고 깨끗한 함이 없는(無爲) 즐거움인 줄 알아야 한다. 공자(孔子)는 말하기를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하였고, 안회(顔回=공자제자)는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않았고, 증점(曾點=공자제자)은 “춤을 추고 읊으면서 돌아오겠다”하였으니 모두 다 남(生)이 없는 진공(眞空)의 즐거움을 누렸던 것이다.
만일 진실로 의심을 내지 않고 믿지 않는다면 설령 그대가 앉아 미륵불이 하생(下生)할 때에 이르더라도 다만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은 정령(精靈)이 되거나 혼이 흩어지지 않은 죽은 놈이 될 것이다. 경전에 말하기를 “이승(二乘)과 소과(小果)들은 비록 팔만겁 큰 선정에 들어갔지만 이 일을 믿지 않기 때문에 성인과의 거리가 더욱 멀어서 늘 부처님께 꾸지람을 당한다”하였다.
당장에 큰 신심을 내고 큰 의심을 일으켜 의심해 오고 의심해 가서 한 생각이 만 년이고, 만 년이 한 생각이 되어 분명하게 이 일법(一法)의 귀결처(落處)를 보려면, 마치 어떤 사람과 생사의 원수를 맺은 것과 같이 해야 한다. 마음에 분한 생각을 내어 곧 그와 일도양단(一刀兩段)을 하고자 하여 잠깐도 쉼이 없이 모두 맹렬하고 날카롭게 채찍질하는 시절이 되어야 한다.
만일 의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의심이 되어 자나깨나 잊어짐이 없으며 눈이 있어도 장님 같고 귀가 있어도 귀머거리 같아 보고 듣는 우리(窠臼)에 떨어지지 않는 경지에 이르더라도 오히려 아직 주관과 객관이 잊어지지 않고 속이려는 마음(偸心)이 쉬어지지 않는 것이다. 아무쪼록 정진에 정진을 더하여, 다녀도 다니는 줄 모르고 앉아도 앉는 줄 모르며 동인지 서인지도 남인지 북인지도 분간하지 못하며, 한 법도 생각에 마주칠 것이 없는 것이 마치 구멍없는 무쇠방망이와 같아서 의심을 일으키는 주관과 의심의 대상인 화두와 그리고 속마음과 바깥 경계가 동시(雙)에 잊어지고 동시에 없어져, 없다는 것이 없어진 그것까지 또한 없어지게 해야 한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서는 발을 들거나 발을 내리 딛는데 큰바다를 밟아 뒤치거나 수미산(須彌山)을 차서 쓰러뜨리려 하지 말고, 꾸부리고 돌아보고 내려다 보고 우러를 때 달마의 눈동자를 대질러 멀게 하고 석가의 콧구멍을 부딪쳐 뭉그러지도록 꿰뚫어 비쳐볼지어다.
만일 아직 그렇지 못하면 다시 한낱 주해(注脚)를 더해 주겠다. 어떤 스님이 조주 화상에게 묻기를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하나는 어디로 돌아갑니까?”하니 조주 화상이 말하기를 “내가 청주(靑州)땅에 있을 적에 베옷을 한 벌 만들었는데 그 무게가 일곱근이었느니라”하였으니, 아! 점잖은 조주 스님이 진흙을 들고 물에 뛰어들었도다. 특히 그 스님의 의심을 끊어 줄 수 없을 뿐 아니라 또한 천하 납승(衲僧)들을 속여 언설(葛藤)의 소굴(窠)속에서 죽어 있게 하였도다.
서봉은 그렇지 않아, 오늘 별안간 어떤 사람이 묻기를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니 하나는 어디로 돌아갑니까?”하고 묻는다면 그에게 말하기를 ‘개가 펄펄 끓는 기름 가마솥을 핥느니라“하겠다.
신옹, 신옹이여! 만일 여기에서 알아차리면 이 하나의 믿음도 눈 속의 티일 것이다.
출전 : 선요(禪要)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사집(四集 : 서장,도서,선요,절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집(四集,1187)-국어사전 (0) | 2022.06.12 |
---|---|
서장(書狀) (0) | 2016.04.02 |
무비스님의 서장(20)-끝 (0) | 2015.12.25 |
무비스님의 서장(19) (0) | 2015.12.25 |
무비스님의 서장(18) (0) | 2015.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