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機)

기(機)

근와(槿瓦) 2016. 11. 11. 02:09

기(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緣을 만나서 발동하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佛陀의 敎法을 받아 그 敎化를 입을 수 있는 소질 · 능력. 또는 敎의 대상이 되는 것. 法 또는 敎와 連稱해서 機法 · 機敎라 한다. 法華玄義 卷六上에는 機의 語義에 대해

(1) 微(불타의 교화를 받고서 발동하는 미세한 善을 속에 가지고 있는 것),

(2) 關(불타가 중생의 소질 능력에 응해서 하시는 敎化, 즉 불타의 應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

(3) 宜(불타의 교화에 잘 들어 맞는 것)의 三義를 들었다.

機는 반드시 무엇인가의 根性(근본이 되는 性質 · 資質)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機根 혹은 根機라 하여 그 종류는 천차만별이다.


機類(機品이라고도 한다)는 여러 입장에서 분류하는데, 예컨대

(1) 善法을 닦을려고 하는 善機와 惡法을 닦을려고 하는 惡機,

(2) 소질 · 능력의 高下, 利鈍에 의한 上機 · 中機 · 下機(이 三機를 다시 上 · 中 · 下로 나누어 九品三機라고도 한다.),

(3) 大乘을 믿는 大機와 小乘을 믿는 小機,

(4) 그 자리에서 대번에 깨닫는 頓機와, 단계적 과정을 거쳐서 점차로 깨닫는 漸機,

(5) 곧 바로 眞實敎를 받는 直入의 機(直行 또는 直進의 機라고도 한다.)와 우선 方便敎와 가르침을 거친 뒤에 비로소 眞實에 드는 迂回의 機,

(6) 현재의 善業 때문이 아니고 過去世에 닦은 善根의 힘으로 해서 가지고 있는 冥機와 現在世의 몸과 입으로 힘써 善을 실천하는 顯機,

(7) 그 敎에 의해서 깨닫게 되는 바른 대상으로서의 正機(正所被의 機)와 겸해서 이익을 받는 傍機,

(8) 불타가 敎를 설하심에 있어 그 敎를 받아야 할 상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聖者가 일부러 그 敎를 받기 위해 나타나 짐짓 상대가 되는 權機와 그 敎를 받아야 할 실재의 상대인 實機 등이 있다.


각 宗에서, 그 敎義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로 小乘의 根機중 鹿野苑의 阿含을 說法하시던 처음부터 참석하여 그 뒤의 고차원의 敎를 받아서 나가는 竪入의 機에 대해서, 고차원의 설법을 하시는 法會上에 임시로 중도에 참석한 이를 橫來의 機(竪)라고 하며, 이 橫來新受의 小機까지도 빠짐없이 敎化하기 위해, 예컨대 方等時의 설법 등을 하심으로 높은 대승의 敎 가운데 소승의 敎를 混說한다고 한다.


眞言宗에서는 顯敎를 받는 機와 密敎를 받는 機를 二大別하여, 密敎의 機중에는 結緣灌頂을 받을 뿐 아직 如法하게 修行하지 않는 사람이 곧 結緣의 傍機와 密敎를 바르게 받고 如法을 수행하는 正所被의 機로 나눈다. 다시 正所被의 機중에서도 또 小機(有相劣慧)와 大機(無相勝慧의 機)가 있어서 小乘 중에는 顯敎로부터 密敎로 들어가는 迂回의 機와 곧 바로 密敎에 들어가는 直往의 機가 있으며 大機중에도 發心수행으로부터 證得에 이르기까지 단계를 거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修行分證의 機와 地前地上 共分證의 機와 卽到의 機와의 셋이 있다고 한다. 이상의 密敎의 機를 細別하면 六종인데, 여기에 總稱의 三종(正所被 · 小機 · 大機)을 더하여 이것을 비밀의 九機라고 한다.


淨土敎에서는, 觀無量壽經의 說에 의해서 定機(定善의 機)와 散機(散善의 機)를 나누어 散機에 대해서 廢立 · 助正 · 傍正의 三종을 세워 諸行을 廢하고 오로지 念佛一行을 닦는 廢立의 機를 正機로 한다.


부처님이 機類에 應해서 敎를 說하는 것을 對機說法, 敎가 機에 들어맞는 것을 逗機라고 하며, 機가 敎를 說하기 위한 緣이 되는 것을 機緣이라 한다. 敎를 機가 感受하는 機感과 佛陀가 機에 應하는 佛應과를 感應이라고 하며, 機와 應과를 倂稱해서 機應이라고 한다. 佛陀가 때에 應하고 機에 당하여 適切하게 중생을 敎化해서 이익케 하는 것을 當機益物이라고 하며,


天台宗에서는 이 말을 五時중 法華이전의 四時에 중생의 機根을 다듬어 익힘으로 圓敎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뜻으로 썼다.


그리고 禪宗에서는 機란 말의 뜻을 지도자인 師家의 마음의 쓰임새란 뜻으로 쓴다. 즉 機는 言語思慮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그것이 밖에서 움직여서 지도를 받는 學人에게 베풀어지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師家의 機와 學人의 마음이 꼭 들어맞는 것을 投機라고 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기(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근(上根,1236)-국어사전  (0) 2024.05.10
사인관세(四人觀世,1112)-뉴사전  (0) 2021.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