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233)-수보리 약복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須菩提 若福德 有實 如來不說得福德多 以福德 無故 如來說得福德多
[解義]
「수보리야, 보배를 아무리 많이 가지고 중생을 위해 썼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물질적인 복덕이니 그것은 절대적인 복덕이 될 수 없고 마음의 복이 될 수 없다. 물질은 거짓된 것이고 마음의 그림자이므로 물질에 끄달린 복은 엄격한 의미에서 복이라 할 수 없는 까닭이다. 그러니 수보리야, 만일 그 복이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내가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다. 이 복덕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복덕이 많다고 하느니라.」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위 第八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과 第二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에서도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 참말로 있는 복덕이 뭘 가리키는 뜻입니까. 키가 작다 하면 크다 작다 하는 생각에 떨어지는 것이고 많다 적다 하면 우리는 많다 작다는 생각에 그만 구속이 되어 머리가 자꾸 안 돌아갑니다. 여기 많다는 말은 안 많다는 말이고 작다는 말은 크다는 말이고 실제가 그런 것입니다. 복덕이 실로 있는 것이라면(若福德有實)하는 뜻은「불생불멸(不生不滅)하는 복덕일진댄」그런 뜻입니다. 불생불멸하는 그런 자기 마음이 복이지 진복(眞福)은 복이라고 할 수 없으니 많다 적다는 말도 못합니다. 그래 놓고는「그 복덕이 없는 거기 때문에 또 복덕이 많다고 한다.」하셨으니 앞에 말씀과 전혀 반대로 모순된 말씀입니다.
그런데 정반대이면서 같은 말씀입니다.「복덕이 참말로 있는 복덕이면 그게 정말 불생불멸하는 복이니까 그것은 진복(眞福)이고 그 진복은 내 마음 밖에 없고 자성자리는 어떻게 많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니 복덕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래서 많다고 한다.」그런 말씀이 얼른 껍데기만 보면 그 뜻이 금방 이랬다 저랬다 하시는 말씀 같지만 정말 복덕이 아닌 복덕은 진복이고 자성자리이므로 많다고 할만도 한 것입니다. 이 복은 불생불멸하는 복이고 많다 적다를 초월한 복이며 항상 할 수 있는 복이니 많은 복입니다. 그러므로 많다는 말은 많다고 할 수 없는 많지 않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이 복은 쌀가마니나 돈보따리처럼 있고 없는 것도 있는 복이 아니라 정말 이런 복덕이 없는 자성입니다. 지금 말 듣고 말하는 이 자리, 온 우주의 주인공 자리, 그게 참복덕이지 복덕 아니면 그런 게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것은 정말 복덕이 많다고 할만하다는 뜻입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235)-제20 離色離相分(색상을 여의다) (0) | 2016.08.11 |
---|---|
금강경대강좌(234)-離色離相分 第二十 (0) | 2016.08.10 |
금강경대강좌(232)-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0) | 2016.08.08 |
금강경대강좌(231)-第十九 法界通化分(법계를 통화한다) (0) | 2016.08.07 |
금강경대강좌(230)-法界通化分 第十九 (0) | 2016.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