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230)-法界通化分 第十九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若有人이 滿三千大千世界七寶로써 以用布施하면 是人이 以是因緣으로 得福多不아 如是니이다 世尊하 此人이 以是因緣으로 得福甚多니이다 須菩提야 若福德이 有實인댄 如來不說得福德多니 以福德이 無故로 如來說得福德多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로써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해서 받는 복이 많겠느냐. 많지 않겠느냐.」「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얻는 복이 매우 많사옵니다.」「수보리야, 만일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복덕을 얻음이 많다고 말하지 아니할 것인데 복덕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여래가 복덕이 많다 말하느니라.」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232)-수보리 어의운하 약유인~ (0) | 2016.08.08 |
---|---|
금강경대강좌(231)-第十九 法界通化分(법계를 통화한다) (0) | 2016.08.07 |
금강경대강좌(229)-덕산화상과 三世心 불가득 (0) | 2016.08.05 |
금강경대강좌(228)-시간은 무엇인가 (0) | 2016.08.04 |
금강경대강좌(227)-참 마음은 볼 수 없다 (0) | 2016.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