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206)-수보리 소언일체법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須菩提 所言一切法者 即非一切法 是故 名一切法 須菩提 譬如人身長大 須菩提言 世尊 如來說人身長大 即爲非大身 是名大身
[解義]
부처님께서 일체법이 다 불법이라고 하는 이유를 말씀하십니다.「수보리야, 소언 일체법자(所言 一切法者)는 일체법이라 하는 것은 즉비일체법(即非一切法)이니, 곧 그것이 일체법이 아니니 그러므로 그걸 일체법이라 이름했다.」하셨습니다.
「일체법이 불법이라고 한다.」여기까지는 三단논법이 딱딱 떨어지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비유로 그 실례를 하나 들면, 사람 몸뚱이가 굉장히 커서 九척 장신만하다든지 백두산만하다든지 그렇게 몸뚱이가 큰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비유도 이상스럽게 하셨습니다.
그러자 수보리존자의 대답입니다.「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사람의 몸뚱이가 큰 것을 보고 크다고 설명하신 것은 곧 큰 몸뚱이가 아닙니다. 그것은 이름을 큰 몸뚱이라고 하신 것입니다.」부처님과 수보리존자가 물으시고 대답하시는 내용이 시비사정(是非事情)에 척척 잘 들어맞습니다. 우리의 몸뚱이는 결국 따지고 보면 물질적 요소로 묘하게 만들어진 구성체(構成體)에 불과한 것입니다. 그런데 물질적 현상은 본체를 캐어 보면 아무 것도 없는 공한 것이므로 그것을 크다 작다 하는 것은 실체(實體)를 보지 못하고 거짓 모습인 겉만 잘못 보고 하는 소리입니다. 또 크다는 것은 작은 것에 비유해서 하는 소리고 작다는 것은 큰 것에 비유해서 하는 소리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설사 지구만하고 우주만하더라도 그것은 마음에 비하면 크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수보리존자는 여래께서 크다고 하신 말씀은 큰 몸이 아니라 이름을 크다고 하는 것뿐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러니 이것은 다 비유로 하신 말씀이고 실제로 크다는 뜻은 아닙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208)-수보리 약보살~ (0) | 2016.07.16 |
---|---|
금강경대강좌(207)-수보리 보살 역여시~ (0) | 2016.07.15 |
금강경대강좌(205)-약유인 언 여래득아뇩다라~ (0) | 2016.07.13 |
금강경대강좌(204)-하이고 여래자~ (0) | 2016.07.12 |
금강경대강좌(203)-불언 여시여시~ (0) | 2016.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