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184)-수보리 이요언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문]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 有不可思議 不可稱量 無邊功德 如來爲發大乘者說 爲發最上乘者說
[解義]
부처님께서 결론으로「수보리야, 대강 요긴한 것만 간략히 말한다면 이 경의 공덕이 가히 생각도 못하고 얘기할 수도 없고 이름할 수도 없는 불가사의 불가칭량한 공덕이 있느니라.」고 하신 것입니다. 이 금강경을 뜻도 모르고 자꾸 읽어도 그런 공덕이 생긴다고 그럽니다. 이 경 자체가 우주 인생의 근원이 여실히 표시된 문서이기 때문이니 구공 · 아공 · 법공(俱空 · 我空 · 法空)의 진리를 가지고 있어서 과학이니 철학이니 종교니 하지만 이러한 인생의 근본면목, 우주의 본체, 참된 실상(實相)을 다른 곳의 어느 경전에서도 들어볼 수 없는 문서이기 때문입니다. 비록 이 경책이 검은 것은 먹이고 흰 것은 종이지마는 이것이 또 그런 큰 공덕이 들어있는 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이 경전이 그런 불가사의 불가칭량 무변공덕이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대승심(大乘心)을 일으키는 이」,「큰 마음을 깨치고 온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이」를 위해서 또는「대승심을 일으킬 수 있는 이」를 위해서 설명하신 것이고 성불하신 뒤 40년 만인 이제야 처음으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대승심(大乘心)이란 第三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체 중생을 모두 다 내가 제도하지만 제도했다는 마음 없이 하는 보살행을 말합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186)-하이고 수보리~ (0) | 2016.06.25 |
---|---|
금강경대강좌(185)-약유인 능수지독송~ (0) | 2016.06.24 |
금강경대강좌(183)-약부유인 문차경전~ (0) | 2016.06.22 |
금강경대강좌(182)-수보리 약유선남자~ (0) | 2016.06.21 |
금강경대강좌(181)-제15 지경공덕분(경을 받아지니는 공덕)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