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菩薩)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1034)-국어사전

근와(槿瓦) 2024. 2. 23. 04:09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1034)-국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 초에 균여대사(均如大師)가 지은 11수의 향가(鄕歌). [보현보살의 십종 원왕(十種願往)을 노래로 지은 것임.]

 

참고

고려000고려(高麗,187)-국어사전 : 우리나라 중세 왕조의 하나. 태봉의 장수 왕건(王建)이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후백제를 멸하고 신라를 항복시켜 후삼국을 통일했으나 공양왕(恭讓王) 때 이성계(李成桂)에게 멸망함. [918~1392] ...중세(中世,2172)-국어사전 :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한 가지. 고대(古代)와 근대의 중간 시대. 국사에서는 고려시대가 이에 해당됨. 중세기. ...고대(古代,184)-국어사전 : 옛 시대. 고세(古世).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한 가지. 중세의 앞 시대. [국사에서는 통일 신라 시대까지가 이에 해당함.] ...근대(近代,334)-국어사전 : 지나간 지 얼마 안 되는 가까운 시대. 역사의 시대 구분의 한 가지. 중세(中世)와 현대의 중간 시대. 국사에서는, 조선시대의 후기가 이에 해당됨. ...왕조(王朝,1738)-국어사전 : 왕이 직접 다스리는 나라. 같은 왕가에 딸린 통치자의 계열이나 혈통. ) 조선(朝鮮) 왕조. ...000태봉(泰封,2412)-국어사전 : 후삼국의 하나. 통일 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신라의 왕족 궁예(弓裔)가 송악(松嶽)에 세운 나라로, 뒤에 송악의 토호 왕건(王建)에게 패망함. [901~918] ...후백제(後百濟,2676)-국어사전 : 후삼국(後三國)의 하나. 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상주(尙州) 사람 견훤(甄萱)이 완산주(完山州)에 세운 나라로, 건국 45년 만에 고려에 패망함. [892~936] ...000후삼국(後三國,2676)-국어사전 : 신라 말의신라·후백제·태봉의 삼국을 아울러 이르는 말. ...000신라(新羅,1463)-국어사전 : 우리나라의 고대 왕국 중의 하나. 박혁거세(朴赫居世)가 한반도의 동남쪽에 자리 잡아 세운 나라로,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 때 백제와 고구려를 멸하여 삼국을 통일하였음. 경순왕(敬順王) 때 고려의 태조 왕건(王建)에게 망함. [B.C.57~A.D.935] ...000백제(百濟,973)-국어사전 : 우리나라의 고대 왕국 중의 하나. 고구려의 왕족인 온조(溫祚)가 한반도의 남서쪽에 자리 잡아 세운 나라로, 의자왕(義慈王) 때 나당(羅唐) 연합군에게 패망함. [B.C.18~A.D.660] ...000고구려(高句麗,181)-국어사전 : 우리나라 고대 왕국 중의 하나. 북부여의 주몽(朱蒙)이 한반도 북쪽과 중국 동북 지방 일대에 자리잡아 세운 나라로, 보장왕(寶藏王) 때 나당(羅唐) 연합군에게 패망함. [B.C.37~A.D.668]

 

초에(,2218)-국어사전 : 처음. 시초. 처음으로. 첫 착수의.

 

균여대사(均如大師)균여(均如,263)-뉴사전 : (923~973) 고려 승려. 속성 : (). 황주 사람. 얼굴이 못나서 부모의 귀여움을 받지 못하다. 15세 때에 부흥사 식현에게 가서 배우고, 영통사 의순(義順)에게 공부하여 불교계의 유수한 인재가 되다. 신라 말기에 가야산 해인사에 화엄종장으로 관혜(觀惠희랑(希朗) 두 스님이 있어, 관혜는 후백제 견훤(甄萱)의 복전이 되고, 희랑은 고려 왕건의 복전이 되어 소원이 다르고 주장도 달랐다. 그 문도들도 학설이 서로 같지 아니하여 관혜의 문파를 남악(南岳), 희랑의 문파를 북악(北岳)이라 하여 거의 반목할 지경이 되었다. 균여는 북악의 법손으로 남북파의 분열을 탄식하여 통합하기를 희망, 명산과 제방(諸方)을 다녀온 뒤로는 각계의 학인들이 모두 쏠리다. 또 보현보살 10원을 의지하여 노래 11()을 지어 세속인들로 하여금 애송(愛誦)하게 하니 이를 사뇌가(詞腦歌)라 하여 널리 유행되고, 고려 광종이 지성으로 귀의하여, 귀법사를 지어 머물다가 광종 24년 나이 51세에 입적함.수방현궤기(搜方玄軌記)10,공목장(孔目章)8,오십요문답기(五十要問答記)4,탐현기석(探玄記釋)28,교분기석(敎分記釋)7,지귀장기(旨歸章記)2,삼보장기(三寶章記)2,입법계품묘기(入法界品妙記)1,법계도기(法界圖記)2,십구장기(十句章記)1권 등이 있고,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균여전(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혁련정(赫連挺)이 지어 해인사 장경각에 소장되어 있다.

 

지은짓다²(2231)-국어사전 : 재료를 들여서 만들다. 낱말을 나열하여 글을 만들다. 표정이나 자세 따위를 드러내다. 눈물을 흘리거나 한숨을 쉬다. 농사를 하다. 나쁜 짓을 저지르다. 떼나 줄 따위를 이루다. 꾸며서 만들다. 어떤 일을 마무르거나 결과를 내다. 이름을 만들어 붙이다. ...만들다(752)-국어사전 : (원료나 재료 등을 써서) 어떤 물건을 이루다. 없던 것을 새로 이루어 내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어떤 상태로 이루다. 어떻게 되게 하다. (상처 등이) 생기게 하다. (무슨 일을) 일으키거나 꾸미다. 마련하거나 장만하다. ...꾸미다(403)-국어사전 : 모양이 나게 잘 만들거나 쓸모 있게 차려 갖추다. (어떤 일을) 짜고 꾀하다. (글 따위를) 지어서 만들다. 사실인 것처럼 거짓으로 둘러대다. 바느질하여 만들다. ...꾸밈(403)-국어사전 : 겉모양을 보기 좋게 만드는 일. 겉으로만 짐짓 사실인 것처럼 나타내는 일. ...이루다(1876)-국어사전 : 어떤 상태나 결과가 되게 하다. 일을 마무리 짓다. 뜻한 바를 얻다. 뜻대로 되게 하다. ...장만(1991)-국어사전 : (필요한 것을) 갖추어 놓음. (자기의 것으로) 마련하여 갖춤. ...갖추다(80)-국어사전 : (필요한 것들을) 고루고루 지니거나 차려 가지다. ...고루고루(188)-국어사전 : 여럿이 모두 고르게. ) 골고루. ...걸맞다(125)-국어사전 : 두 편이 거의 비슷하다. 격에 맞다. ...지니다(2190)-국어사전 : (물건을) 몸에 간직해 가지다. (어떤 상태나 현상을) 몸에 갖추어 가지다. (본디의 모양을) 그대로 간직하다. 기억하여 잊지 아니하다. ...간직(49)-국어사전 : 잘 간수하여 둠. ...간수(45)-국어사전 : (물건을) 잘 거두어 돌봄. 건사. ...가다듬다(7)-국어사전 : 흐트러진 정신을 바로 차리다. 마음을 다잡다. (목소리를 제대로 내려고) 목소리를 고르다. (몸가짐이나 옷맵시를) 바르게 하다. 느슨해진 힘을 다잡아 다스리다. ...다잡다(529)-국어사전 : 다그쳐 붙들어 잡다. 단단히 잡도리하여 엄하게 디스리다. (들뜨거나 어지러운 마음을) 다그쳐 바로잡다. ...잡도리(1981)-국어사전 : (잘못되지 않도록) 엄중하게 단속함. ...단속(團束,539)-국어사전 : 주의를 기울여 단단히 다잡거나 보살핌. 법률·규칙·명령 따위를 어기지 않게 통제함. ...마무르다(740)-국어사전 : (물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하게 손질하다. 일의 뒤끝을 맺다. ...드러내다(672)-국어사전 : [‘드러나다의 사동] 드러나게 하다. ...드러나다(672)-국어사전 : (가려져 안 보이던 것이) 나 타나 보이게 되다. (알려지지 않던 것이) 알려지게 되다. ...쉬다(1423)-국어사전 : 숨을 들이마셨다 내보냈다 하다. ...들이마시다(681)-국어사전 : (공기나 액체 따위를) 몸 안으로 빨아들이다. 마구 마시다. ...빨아들이다(1142)-국어사전 : 수분·기체 따위를 빨아서 속으로 들어오게 하다. 마음을 강하게 끌어들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마시다(742)-국어사전 : 액체를 목구멍으로 삼키다. (공기 따위를) 들이쉬다. ...삼키다(1231)-국어사전 : 입에 넣어 목구멍으로 넘기다. 큰 것이 작은 것을 휩싸서 흔적도 없이 하다. 남의 것을 불법으로 차지하다. (나오려는 눈물·웃음 따위를) 억지로 참다. ...넘기다(468)-국어사전 : (물체를) 넘어가게 하다. 쓰러뜨리다. 종잇장 따위를 젖히다. 권리나 책임 따위를 남에게 주거나 맡기다. 처리할 문제를 담당 부서에 맡기다. 시간을 지나가게 하다. 어려움에서 벗어나다. ...벗어나다(998)-국어사전 : 어떤 표적이나 범위·경계의 밖으로 나가다. (부자유, 짐 되는 일, 어려운 환경 등에서) 헤어나다. 남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게 되다. 어떤 기준이나 도리에 어긋나다. ...헤어나다(2604)-국어사전 : 헤쳐 벗어나다. ...헤치다(2605)-국어사전 : (속의 것이 드러나도록) 거죽을 파거나 잡아 젖히다. 흩어져 가게 하다. 앞의 것을 좌우로 물리치다. 어려움이나 방해를 물리치고 극복하다. ...극복(克復,331)-국어사전 : (어려운 상태를) 이겨내어 본디의 상태로 되돌아감. ...이겨내어이기다(1866)-국어사전 : ()() 힘이나 재주를 겨루어 상대편을 앞지르거나 굴복시키다.지다. () (육체적·정신적 고통이나 장애·슬픔·흥분 등을) 참고 견디다. 몸을 가누거나 바로 하다. ...굴복(屈服,304)-국어사전 : 힘이 모자라서 주장이나 뜻을 굽히고 복종함. 굴복(屈伏). ...굴복(屈伏,304)-국어사전 : 머리를 숙이고 꿇어 엎드림. ② →굴복(屈服). ...굽히다(306)-국어사전 : [‘굽다의 사동] 굽게 하다. ·주장·지조 따위를 꺾고 남을 따르다. ...복종(服從,1042)-국어사전 : 남의 명령·요구·의지 등에 그대로 따름. ...내보내다(454)-국어사전 : 밖으로 나가게 하다. 직장이나 동네에서 아주 떠나게 하다.

 

11수의(,1384)-국어사전 : 시가(詩歌)를 세는 단위. ) 시조 두 수. ...시조(詩調,1451)-국어사전 : 고려 말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보통, 초장·중장·종장의 삼장(三章)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식에 따라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 등으로 나뉨. 시절가(時節歌). ...평시조(平時調,2491)-국어사전 : 시조 형식의 한 가지. 36, 총 자수 45자 내외로 된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형식의 시조. 단시조(短時調). ) 엇시조·사설시조. 시조 창법의 한 가지. 시조 전체를 대체로 순평(順平)하게 부름. ...엇시조(旕時調,1622)-국어사전 : 시조 형식의 한 가지. 초장이나 중장의 어느 한 구절의 자수(字數)가 평시조의 자수보다 몇 자 많아진 것. 중시조(中時調). ) 사설시조·평시조. ...사설시조(辭說時調,1174)-국어사전 : 시조 형식의 한 가지. 초장·중장·종장 가운데 두 구 이상이 길어진 것으로, 특히 중장이 무제한으로 길어지는 경우가 많음. 장시조(長時調). ) 평시조·엇시조. ...시절가(時節歌,1451)-국어사전 : 시절을 읊은 속요(俗謠). ② →시조(時調). ...시절(時節,1451)-국어사전 : ① →¹) 개나리꽃 피는 시절에는 온다 하더니. 무슨 일을 하는 데에 좋은 시기. 기회. 세상. ) 좋은 시절을 다 보내다. 사람의 한평생을 여럿으로 구분할 때의 어느 한 동안. ) 청년 시절. 마리. ) 칠면조 다섯 수. ...칠면조(七面鳥,2362)-국어사전 : 칠면조과의 새. 북아메리카와 멕시코 원산. 날개 길이 50cm가량. 머리와 목은 털이 없어 붉은 살이 드러나 있는데 파란색으로 바뀌기도 함. 수컷은 발정기가 되면 꽁지를 부채 모양으로 폄. 변덕스러운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변덕(變德,1005)-국어사전 : 이랬다저랬다 하여 변하기를 잘하는 일, 또는 그러한 성질. ) 변덕이 심하다. ) 변덕이 죽 끓듯 하다(걷잡을 수 없을 만큼 자주 변덕을 부리다). ...변덕쟁이(變德-,1005)-국어사전 :‘변덕스러운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밴덕쟁이·뱐덕쟁이.

 

향가(鄕歌)향가(鄕歌,2591)-국어사전 : 신라 중엽에서 고려 초엽에 걸쳐 민간에 널리 퍼졌던 우리 고유의 시가. [‘삼국유사14,‘균여전(均如傳)’11, 모두 25수가 향찰(鄕札)로 적혀 전해 옴.] ...향찰(鄕札,2593)-국어사전 : 신라 때,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음식(表音式)으로 적던 표기법. ) 이두(吏讀). ...표음(表音,2508)-국어사전 : 말의 소리를 그대로 표시함. 사음(寫音). ...표음문자(表音文字,2508)-국어사전 :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내는 글자. [한글이나 로마 문자와 같은 단음 문자(單音文字)와 가나와 같은 음절문자(音節文字)로 나뉨.] 소리글자. 기음 문자(記音文字). 사음 문자(寫音文字). 성음 문자(聲音文字). 음표 문자. ) 음자(音字). ) 표의문자. ...(,2678)-국어사전 : 한자의 새김. ...새김²(1257)-국어사전 : 말이나 글의 뜻을 쉽게 풀이함. 한문이나 외국어를 우리말로 번역함. 전통적으로 어떤 한자에 붙어 있어 그 뜻을 나타내는 우리말 단어. (). [‘하늘 천()’에서의하늘따위.] 윷놀이에서 모나 윷이 나오든지 남의 말을 잡을 때 한 번 더 윷을 던지는 일. ...이두(吏讀,1870)-국어사전 : 신라 때부터, 한자의 음과 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적던 방식, 또는 그 문자. 이도(吏道). 이서(吏書). 이토(吏吐). 이투(吏套). ) 향찰(鄕札).

 

보현보살의보현보살(普賢菩薩,1034)-국어사전 : 이지(理智)와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 석가의 포교를 돕는 보살. 석가의 오른쪽 협시(脇侍), 흔히 흰 코끼리를 타고 있음. ...이지(理智,1890)-국어사전 : 감정이나 본능에 치우치지 않고 깊은 지식으로 사물을 분별하고 이해하는 슬기. 불교에서, 진여(眞如)의 이치를 깨닫는 지혜를 이르는 말. ...이지(理智,2091)-뉴사전 : 도리와 지혜. <飜譯名義集 25410814> 무루지(無漏智). 사지(事智)의 대응어. ...무루지(無漏智,638)-뉴사전 : 2()의 하나. 진리를 증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윈 청정한 지혜. 소승에서는 4()의 이치를 증한 지혜라 하여 법지(法智)와 유지(類智)의 두 가지를 세우고, 대승 유식에서는 무루지에 근본지(根本智)·후득지(後得智)의 두 가지를 세우다. 근본지는 유식의 성()인 진여(眞如)의 이치를 증득한 무분별지(無分別智)를 말하고, 후득지는 그 근본지에서 나와 유식의 상(), 인연으로 일어난 모든 만상을 아는 지혜. 번뇌에 더럽혀지지 않은 지혜. ...사지(事智,1135)-뉴사전 : 이지(理智)의 반대. 유루(有漏)의 여러 가지 지혜를 말함. ...이지(二智,2091)-뉴사전 : 진지(盡智)와 무생지(無生智).진지무생지 근본지(根本智)와 후득지. 양자를 각각 여리지(如理智), 여량지(如量智)라고도 함.근본지후득지 권지(權智)와 실지(實智). 평등을 깨닫는 지()와 차별을 보는 지().권실이지 (해석예) 사바세계의 지혜와 불도의 지혜. 일체지(一切智)와 일체종지(一切種智).일체지일체종지 ...깨닫다(390)-국어사전 : (진리나 이치 따위를) 터득해 환히 알다. (모르고 있던 사실을) 알게 되다. 느껴서 알다. ...증오(證悟,2405)-뉴사전 : 깨닫는 것. 진리를 인식하고, 이해함과 동시에, 완전히 몸에 익히는 것. 깨달음. <圓覺經大疏鈔> <秘密安心> ...000깨달음의 덕을깨달음깨닫다(390)-국어사전 : (진리나 이치 따위를) 터득해 환히 알다. (모르고 있던 사실을) 알게 되다. 느껴서 알다. ...진리(眞理,2216)-국어사전 : 참된 도리. 바른 이치. 어떤 명제가 사실과 일치하거나 논리의 법칙에 맞는 것. 언제나, 또는 누구에게나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인식의 내용. . ...진리(眞理,2455)-뉴사전 : 진실한 이치. 진실. 진실의 궤범(軌範). ()는 사()에 대한 말. <truth와는 다름>. 진여. () 즉 일체현상에 대해 말함. 공리(空理)와 같음. 진실한 사제의 도리. 신들이 아는 곳이란 의미.眞理顯名爲天」 ⑥ 불성의 도리.열반경등에서 설함. ⑦「나무아미타불이라고 하는 명호. ...이치(理致,1891)-국어사전 : 사물의 정당한 조리. 도리에 맞는 근본 뜻. (). ...이치(理致,2095)-뉴사전 : 도리(道理). 사리. <正法眼藏 佛性 8298> (해석예) 도리. 스승이 수행자를 이끄는 방법으로서 불교의 가르침을 나타내는 것. <圜悟心要> 근본적인 이치(心性)을 나타낸 공안(公案). 공안을 3종류로 분류한 것의 하나. <大應法語> ...000갖추고갖추다(80)-국어사전 : (필요한 것들을) 고루고루 지니거나 차려 가지다. ...차려차리다(2249)-국어사전 : (음식 따위를) 장만하여 갖추다. 필요한 것을 갖추어 벌이다. 어떤 격식이나 태도를 걸맞게 지니어 드러내다. 욕망을 채우거나 채우려하다. (기운·정신 따위를) 가다듬다. (방법·대책 따위를) 세워 취하다. 짐작으로 속내를 알다. ...000석가의석가(釋迦,1290)-국어사전 : 크샤트리아 계급, 곧 왕족에 딸린 종족의 하나. 석가모니는 이 종족에서 났음. <석가모니>의 준말. ...크샤트리아(kshatriya ,2388)-국어사전 : 찰제리(刹帝利). ...찰제리(刹帝利,2259)-국어사전 : 고대 인도의 사성(四姓)의 둘째 계급. 왕족·무사 계급을 이름. 크샤트리아. ...왕족(王族,1738)-국어사전 : 임금의 일가. 왕가(王家). ...임금(1925)-국어사전 : 군주 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원수. 나라님. (). ) 극존·상감·상감마마. ...무사(武士,847)-국어사전 : 지난날, 무도(武道)를 닦아서 무사(武事)에 종사하던 사람. 무부(武夫). 싸울아비.문사(文士). ...카스트(caste,2370)-국어사전 : 인도 특유의 세습적인 신분 제도. 바라문(브라만찰제리(크샤트리아폐사(바이샤수다라(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나뉘어 혼인·직업·관습 등이 엄격히 제한되었음. 사성(四姓). 사종성. ...사성(四姓,1089)-뉴사전 : 네 종류의 족성(族姓)이라는 뜻으로, 인도의 네 가지 사회계급을 말함. 네 가지의 카스트. ...석가(釋迦,1301)-뉴사전 : 석존이 속해있던 부족의 이름을 팔, Sakiya , Sakiya , Sakya라고 하는데, 그 음역이 변하여 석존, 고타마·붓다라 함. <藥師寺佛足石歌> <沙石集 1(3)> , Sakka의 음역. 제석천(帝釋天)이라고 하는 것. , brgya byin <大日經 住心品 182>서가 ...서가(釋迦,1292)-뉴사전 : 석가모니의 약칭.석가모니서가모니 ...000포교를포교(布敎,2497)-국어사전 : 종교를 널리 폄. ) 선교(宣敎). ...포교(布敎,2697)-뉴사전 : 교법(敎法)·경의(經義)를 해석하고 비유 또는 예화를 섞어서 사람들을 교화시키는 것으로 새로운 신도를 획득함으로써 교리를 전파하는 운동. 즉 교법을 널리 세상에 알리는 일. 홍교(弘敎)·선교·전교 등과 뜻이 같으나, 지금 우리 나라 불교계에서는 포교라는 말을 많이 쓴다. 여러 곳으로 다니면서 하거나, 또는 한 곳에 있으면서 포교하는 이를 포교사, 포교하는 일정한 곳을 포교당이라고 한다.법화현의(法華玄義)10如來布敎之元旨또는聖人布敎名有歸從 然諸家判敎非이라고 하여 포교의 단어가 나옴. 이 포교 방법은 설법과 법회 등을 가지고 행해지나 자선사업·교육사업·의료사업 등을 일으켜 간접적으로 신앙의 장점을 주장할 때도 있어 여러 가지 포교방식이 행하여진다. 또한 소년종교교육과 빈민·고아구제사업, 노동복지사업 등 종교의 감독이 미치지 못하는 이들에게 종교적·사회적 사업의 특별한 관심을 두는 포교방법 등이 있다. 포교의 방법. 종교가 그 이상적 교훈을 사회에 널리 전하고 많은 대중을 참다운 길로 교화 인도하기 위해서는 포교가 제일의 과제가 된다. 이것은 곧 종교가 사회를 위해 공헌하는 길이며, 또한 종교가 스스로 사회에 존립할 뿌리를 내리는 길이기도 하다. 그런데 포교의 실제에 있어서 포교의 대상이 되는 사회·개인을 바로 알아야 하고 여기에 불교의 진리를 어떻게 납득시키고 그 생활화를 어떻게 실현시킬 것이냐 하는 방법상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종교의 주체인 포교자가 경··논 삼장과 그 교리체계를 깊이 이해해야 하고 그 뜻을 몸소 체달해야함은 물론이지만, 아울러 교화의 대상인 현대사회의 특징, 개인·집단의 성격, 인격형성과 종교심의 발달 및 그 변천과정 각 분야에 걸친 대기설법적(對機說法的)인 종교교육과 병에 따라 약을 주는 교화사업 내지 강연·설교·설법의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두루 연구하고 학습해야 한다. 경전에 나타난 포교의 부촉을 몇가지 들면 (1)법화경이제 너희들에게 부촉하노니, 너희들은 마땅히 마음을 다해서 이 가르침을 전파해 널리 증익(增益)되도록 하라(2)열반경십이부경(十二部經)을 수지·독송·해설함으로써 중생들을 위해 널리 펴 전파하도록 하라(3)화엄경어둠 속에 보물이 있다 해도 등불없이는 못 보는 것처럼,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하는 사람이 없으면 슬기로워도 깨닫지 못한다(4)지세경(持世經)」「너희들은 말세에서 마땅히 무량겁에 걸쳐 모아진 이 가르침을 잘 열어 사람들에게 주며, 널리 사부대중을 분별해 해설함으로써 이 바른 가르침의 씨가 끊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하느니라하였다. 또한잡아함경에 나타난 부루나존자와 부처님과의 대화는 포교의 길에 있어 목숨을 바치는 희생정신을 보여 주고 있다. ...000돕는돕다(637)-국어사전 : 남을 위하여 힘쓰다. (남을) 위험이나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하다. (몸의 기운을) 좋아지게 하다. (금품으로) 구제하다. 바르게 인도하거나 뒤를 밀어주다. ...인도하다인도(引導,1899)-국어사전 : 가르쳐 일깨움. 길을 안내함. 불교에서, 사람을 불도로 이끄는 일. 불교에서, 죽은 이의 넋을 정토(淨土)로 이끌기 위하여 장례 때 중이 관 앞에서 경을 외우는 일. ...인도(引導,2106)-뉴사전 : 유인개도(誘引開導)의 뜻. 사람들을 이끌어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인도해들이는 것. 올바른 길로 이끄는 것. <法華經 方便品 98> , parikarsana <Lank. , > <俱舍論 818> <宗門十規論> 죽은 자의 손을 잡아 정토로 맞아들이는 것. 임종래영(臨終來迎). 장례의식 때에 도사(導師)인 승이 죽은 자에게 법어를 하여, 열반상주(涅槃常住)의 세계에 가야한다는 것을 교시(敎示)하는 것을 말하고 종파에 따라 그 법어(法語)와 작법을 달리 한다. 이것은증일아함경(50)에 석존께서 대애도비구니(大愛道比丘尼)가 죽었을 때 인생무상의 도리와 열반상주(涅槃常住)를 말씀하신 것에 근거한다고 되어 있는데 중국 당나라 백장선사(百丈禪師)시대부터 스님 사이에서 행해져 후에는 일반 사람들에게도 행해지게 되었다. 인도시(引導時)하고 큰소리를 내는 것은, 황벽희운(黃檗希運)으로부터 시작되었고 선종(禪宗)에서 원래부터 행해졌다. 죽은 자에 대한 인도는 진종(眞宗)이외의 각 종파에서 행해지는데, 밀교계(密敎界)의 종파에서는 인도(引導)의 특별수업이 행해진다. <往生要集 8449> <正法眼藏 谿聲山色 8241> ...밀어주다(895)-국어사전 : 적극적으로 도와주다. 특정한 지위를 차지하도록 내세워 지지하다. ) 우리는 그를 대표로 밀어주기로 결정했다. ...지지하다지지(支持,2203)-국어사전 : 버티거나 굄. (어떤 개인이나 단체 따위의 의견·주의·정책 따위에) 찬동하여 원조함, 또는 그 원조. ...000보살보살(菩薩,1026)-국어사전 :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 보리살타. <보살승>의 준말. 고승(高僧)’을 높이어 이르는 말. 나이 많은 여신도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보살할미>의 준말. .....보살(菩薩,877)-뉴사전 : , bodhisattva , bodhisatta의 음역. 보리살다(菩提薩多)라고도 씀. 각유정(覺有情). 대심중생(大心衆生)·대사(大士)·고사(高士)·개사(開士) 등으로 한역함. 보살은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약어라고 중국에서는 해석하지만, 아마도 중국에 전해질 때, 속어로 bot-sat라고 한 것을 보살(菩薩)이라고 음역한 듯함. 깨달음의 성취를 바라는 사람. 깨달음의 완성에 노력하는 사람. 깨달음을 구해 수행하는 자. 부처가 되려고 뜻을 세운 자. 붓다가 되어야 할 도심(道心)을 일으켜서 수행하는 구도자. 부처의 지혜를 얻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사람. 깨달음을 구하는 사람. 미래의 부처님. 구도자. 후에 대승불교의 해석에 의하면 거기에 이타적 의의를 포함시켜, 대승의 수행자를 말함. 스스로 불도를 구하고, 타인을 구제하여 깨닫게 하는 자. 위를 향해서는 보리(菩提)를 구하고, 아래를 향해서는 중생을 교화하려는 사람. 향상적으로는 자리(自利)의 행()으로서 깨달음(菩提, )을 체득하고, 향하적(向下的)으로는 이타(利他)의 행()으로서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자. 대승에서는 재가·출가에 통하고, 발심하여 불도를 행하는 자를 말함. (해석예) 역운(譯云), 대도심성중생(大道心成衆生), 역운(亦云), 개사(開士), 역대용심(亦大勇心), 복운선미(復云善美). ()을 구하는 유정. 깨달음을 열기 이전의 석존. 깨달음을 얻기 전의 부처님. 수행시대의 석존. 싯달타 태자. 과거세에서의 석존. 부처님의 전신. 석존의 전생. 부처님의 자(). 유덕한 승려에게 조정에서 주는 칭호. 세인이 고승을 존칭하는 이름. 예를 들면, 행기보살(行基菩薩). 중국의군자에 해당한다고 생각되었음. ...보리살타(菩提薩埵,873)-뉴사전 : , bodhi-sattva의 음역. 구도자(求道者). 보리삭다(菩提索多)·모지살달박(冒地薩?)이라고도 쓴다. 각유정(覺有情)·개사(開士)·대사(大士)·고사(高士)·대심중생(大心衆生)·시사(始士)라 번역. 불과(佛果)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이. 혹은 일반으로 대승교에 귀의한 이. 보통으로 줄여 보살이라 함.보살 <俱舍論 238> <般若心經 8848> (해석예) 불도를 구하는 중생에게 용건(勇健)한 뜻이 있음. 거기에서 보리살타(菩提薩埵)라 함. <筆記 上 33> ...자리이타(自利利他,2184)-뉴사전 : 스스로 이익을 얻고, 타인도 이로운 것. 스스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사람들에 대해서는 구제하고, 이로움을 주는 행위. 보살의 실천. <秘密安心> 정토진종(淨土眞宗)에서는 자력과 타력을 말함. <如來二種廻向文> (해석예) 자리(自利)는 아미타불이 되고자 하는 마음, 이타(利他)는 중생을 왕생시키고자 하는 마음. <眞聖 57> ...보리(菩提,871)-뉴사전 : , , bodhi의 음역. ()·()·()이라 한역함. 부처님의 정각(正覺)의 지(). 깨달음. 정지(正智)의 작용. 깨달음의 지혜. 미혹으로부터 눈뜬 것. 지혜의 작용에 의해 무명(無明)이 없어진 상태. <臨濟錄 47497> 법성을 깨닫는 지(). <유가론 230284> 숭고한 개오(開悟). 지혜의 드러남. <寶性論 31821> 보리도량(菩提道場)의 약어. 깨달음을 연 장소. 번뇌를 끊고 얻은 열반을 말함. 깨달음의 경지. 인간의 완성. (해석예) 뭐라고 표현할 수 없는 것이 보리(菩提). 여실히 자심(自心)을 아는 것임. <大日經 住心品 181> 대각(大覺)이라 번역함. 열반에 이르는 인()으로서의 도()를 말함. 흔히 불도의 뜻으로 쓰임. 흔히, 명복(冥福)의 뜻으로 사용함. (해석예) 불도(佛道). (표현예) 눈뜸. ...불도(佛道,961)-뉴사전 : 부처님의 도. 부처가 되기 위한 가르침. 깨달음에 이르러야 할 도.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가르침. 불교. 불교의 수행. 깨달음. 부처님이 설한 실천 방법. 불법과 동일. <六度集經 315> , agra-bodhi(최고의 깨달음). (해석예) 보살의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提下化衆生)의 것이다. <皆往 3928> 무상열반도(無上涅槃道)이다. <圓乘 3903> 불과보리(佛果菩提) <香月 493> 보리(菩提)의 과(). <香月 727> 불무상보리(佛無上菩提)의 혜()이고 즉 발심(發心)이라고 하는 것이다. <筆記 上 60> 보살도(菩薩道)이다. <圓乘 3913> 불과보리(佛果菩提)이다. <皆往 3904> ...대승불교(大乘佛敎,447)-뉴사전 : 대승이라 함은 큰 탈 것이라는 의미로 자기 혼자의 깨달음을 위해서가 아니고 많은 사람들을 구제하는 거대한 탈 것과 같은 불교라고 하는 것. 소승불교에 대한 것임. 기원전후 무렵부터 수행승이 교단과는 별도로 재가(在家)불교신자의 단체가 각지에 성립되어 그들은 스스로를 보디사트바(, bodhisattva 보리살타(菩提薩埵), 생략하여 보살), 즉 깨달음을 구하는 자라 불렀다. 보살은 그때까지 부처님의 전생을 얘기하는 전생담 중에서 수행중의 부처님을 가리키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던 것을 자신들 모두는 부처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살이라 칭할만하다고 확신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최초 기간은 탑과 사당을 참배하는 것에만 그쳤으나 그중의 깨달음에 진보적인 자들이 자기의 경전을 만들어 냈다고 생각된다. 우선반야경이 기원전후 무렵에 성립하고 계속해법화경」「유마경」「화엄경」「무량수경등이 연이어 각각의 보살들에 의해 작성되어 이것들이 합류하여 대승불교가 되었다. 후기의 대승불교는 힌두교와 인도의 토속신앙에 강하게 영향 받아 현저히 밀교화했으나 회교도의 인도침입과 함께 멸했다. 대승불교는 중국·조선·일본·티벳·몽고·베트남 등에 전해져 각각 독자의 발전을 이루었다. , mahayana

...보현보살(普賢菩薩,895)-뉴사전 :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나란히 석가불의 협시(脇侍)로서 부처님의 이((()의 덕을 담당한다고 함.화엄경보현행원품에는 십대원(十大願)을 발하고, 또 보현십라찰여상(普賢十羅刹女像)과 같이법화경의 송지자(誦持者)를 수호한다고 설하며, 문수(文殊)와 함께 제()보살의 상수(上首)로서 단독으로도 신앙된다. 육아(六牙)의 흰코끼리를 타는 것으로 유명. 밀교에서는 금강살타(金剛薩埵)와 동체라 하고, 태장계만다라중태팔엽원(胎藏界曼茶羅中胎八葉院)의 동남우(東南隅)에 있어 왼손의 칼을 세운 연화를 갖고, 오른손은 삼업묘선(三業妙善)의 인(: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약지와 새끼 손가락을 구부린다). 특히 연명(延命)을 수행하는 본존을 보현연명보살(普賢延命菩薩)이라 함. , Samantabhadra <法華經 普賢菩薩勸發品 961 : SaddhP.p.384> , byan chub sems dpah sems dpah chen po kun to bzan po <大日經 住心品 181> (해석예) ()는 모든 곳에 널리 미치고 있다는 뜻. ()은 가장 묘선(妙善)하다는 뜻.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원()이나 행()이 모두 평등하고, 모든 곳에 미쳐 그 마음이 묘선(妙善)한 보살의 뜻(一行).

 

십종 원왕(十種願往)십종원왕(十種願往)십종(十種,1595)-뉴사전 : 10의 종류. , dasa-vidha <MAV.,> , dasa-dha <MAV.> ...000원왕(願往)000(,1787)-국어사전 : 소원(所願). ...소원(所願,1357)-국어사전 : (무슨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람, 또는 바라는 바. 소망(所望). (). ...(,1897)-뉴사전 : 구하는 것을 정하고, 그것을 얻으려고 기원하고 구하는 것. 바램. <俱舍論 87, 127 > 원함. 맹세함. , vrata의 고역(古譯). 십신(十信)의 제10. (해석예) 원함. <書紀 下 106> 선택본원(選擇本願). <圓乘 2325> 정토에 태어나는 것은 두 개의 원()에 의하여만 함. 하나에는 견불문법(見佛聞法)을 위해 정토에 태어난다고 생각함, 예토(穢土)에는 견불문법(見佛聞法)이 어렵기 때문에 그 견불문법(見佛聞法)은 즉, 이익중생(利益衆生)을 위한 것임. 둘에는 중생이익(衆生利益)을 위해 정토에 태어나는 것을 원함. 정토에 왕생해서 견불문법(見佛聞法)하고, 즉시 돌아가서 예토(穢土)에 태어나 중생의 이익을 위해 왕생을 원하는 것임. <唯識大意 末 12> [해설] 부처님은 중생을 구하기 위해 보살시절에 원()을 세우고, 중생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에 있어서 원()을 세운다. 아미타불의 48, 약사여래(藥師如來)12, 보현보살(普賢菩薩)10원이 있고, 혜사(慧思)에 입서원문(立誓願文), 최징(最澄)에 원문(願文)이 있다. ()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기가 자기의 원()의 실현을 향해 노력하는 도정(道程)과 그 원()이 실현된 후의 실천을 일관시켜 항상 그는 자기의 원()이 계속 살아있는 자()이기 때문에, 그의 모든 생활은 원력(願力)에 지탱되어 질 수 있는 것이 된다. ...000(,1847)-뉴사전 : 가는 것. 전진하는 것. , gati <Lank. , > , ati-krama <瑜伽論 2130397: SBh.p.62> 정토로 가는 것. ...(,1682)-국어사전 : 가다. 가버리다. 떠나다. 죽다. . 과거. 이따금.

 

노래로노래(475)-국어사전 : 가사에 가락을 붙여서 부르는 것, 또는 그 가사. 소리. 새 따위가 지저귐. 운율이 있는 언어로 사상과 감정을 표현함. 같은 말을 자주 되풀이하여 졸라 댐. ...000가사에가사(歌詞,19)-국어사전 : (가극·가요곡·가곡 따위의) 노래 내용이 되는 글. 노랫말. ② →가사(歌辭). ...가사(歌辭,19)-국어사전 : 고려 말엽무터 나타난, 3·4조 또는 4·4조의 운문(韻文)으로 된 긴 시가 형식. 가사(歌詞). ) 송강(松江)가사. ...000가락을가락(9)-국어사전 : 소리의 고저장단, 또는 고저장단이 이루는 조화. (춤이나 몸짓의) 일정한 움직임. (몸에 밴) 솜씨. 기분. ...고저장단(高低長短,199)-국어사전 : 높고 낮음과 길고 짧음. 높낮이와 길이. ...000붙여서붙이다²(1108)-국어사전 : 조건을 달다. 다른 의견을 보태다. (이름을) 달다. 명명(命名)하다. (뺨을) 때리다. 윷판에 말을 달다. 내기에서, 돈을 태우다. ...000부르는 것부르다(1037)-국어사전 : 소리쳐 남을 오라고 하다. 글이나 다른 방법으로 알려서 청하다. 물건값을 말하다. 일컫다. 소리 내어 외치다. 소리 내어 노래를 하다.

 

지은 것임지은짓다²(2231)-국어사전 : 재료를 들여서 만들다. ) 밥을 짓다. 낱말을 나열하여 글을 만들다. ) 시를 짓다. 표정이나 자세 따위를 드러내다. ) 미소를 짓다. 눈물을 흘리거나 한숨을 쉬다. ) 눈물을 짓다. 농사를 하다. ) 쌀농사를 짓다. 나쁜 짓을 저지르다. ) 죄를 짓다. 떼나 줄 따위를 이루다. ) 무리를 지어 다니다. 꾸며서 만들다. ) 말을 지어 하다. 어떤 일을 마무르거나 결과를 내다.) 결론을 짓다. 이름을 만들어 붙이다. ) 이름을 짓다. ...만들다(752)-국어사전 : (원료나 재료 등을 써서) 어떤 물건을 이루다. 없던 것을 새로 이루어 내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어떤 상태로 이루다. 어떻게 되게 하다. (상처 등이) 생기게 하다. (무슨 일을) 일으키거나 꾸미다. 마련하거나 장만하다. ...꾸미다(403)-국어사전 : 모양이 나게 잘 만들거나 쓸모 있게 차려 갖추다. (어떤 일을) 짜고 꾀하다. (글 따위를) 지어서 만들다. 사실인 것처럼 거짓으로 둘러대다. 바느질하여 만들다. ...꾸밈(403)-국어사전 : 겉모양을 보기 좋게 만드는 일. 겉으로만 짐짓 사실인 것처럼 나타내는 일. ...이루다(1876)-국어사전 : 어떤 상태나 결과가 되게 하다. 일을 마무리 짓다. 뜻한 바를 얻다. 뜻대로 되게 하다. ...장만(1991)-국어사전 : (필요한 것을) 갖추어 놓음. (자기의 것으로) 마련하여 갖춤. ...갖추다(80)-국어사전 : (필요한 것들을) 고루고루 지니거나 차려 가지다. ...고루고루(188)-국어사전 : 여럿이 모두 고르게. ) 골고루. ...걸맞다(125)-국어사전 : 두 편이 거의 비슷하다. 격에 맞다. ...지니다(2190)-국어사전 : (물건을) 몸에 간직해 가지다. (어떤 상태나 현상을) 몸에 갖추어 가지다. (본디의 모양을) 그대로 간직하다. 기억하여 잊지 아니하다. ...간직(49)-국어사전 : 잘 간수하여 둠. ...간수(45)-국어사전 : (물건을) 잘 거두어 돌봄. 건사. ...가다듬다(7)-국어사전 : 흐트러진 정신을 바로 차리다. 마음을 다잡다. (목소리를 제대로 내려고) 목소리를 고르다. (몸가짐이나 옷맵시를) 바르게 하다. 느슨해진 힘을 다잡아 다스리다. ...다잡다(529)-국어사전 : 다그쳐 붙들어 잡다. 단단히 잡도리하여 엄하게 디스리다. (들뜨거나 어지러운 마음을) 다그쳐 바로잡다. ...잡도리(1981)-국어사전 : (잘못되지 않도록) 엄중하게 단속함. ...단속(團束,539)-국어사전 : 주의를 기울여 단단히 다잡거나 보살핌. 법률·규칙·명령 따위를 어기지 않게 통제함. ...마무르다(740)-국어사전 : (물건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하게 손질하다. 일의 뒤끝을 맺다. ...드러내다(672)-국어사전 : [‘드러나다의 사동] 드러나게 하다. ...드러나다(672)-국어사전 : (가려져 안 보이던 것이) 나 타나 보이게 되다. (알려지지 않던 것이) 알려지게 되다. ...쉬다(1423)-국어사전 : 숨을 들이마셨다 내보냈다 하다. ...들이마시다(681)-국어사전 : (공기나 액체 따위를) 몸 안으로 빨아들이다. 마구 마시다. ...빨아들이다(1142)-국어사전 : 수분·기체 따위를 빨아서 속으로 들어오게 하다. 마음을 강하게 끌어들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마시다(742)-국어사전 : 액체를 목구멍으로 삼키다. (공기 따위를) 들이쉬다. ...삼키다(1231)-국어사전 : 입에 넣어 목구멍으로 넘기다. 큰 것이 작은 것을 휩싸서 흔적도 없이 하다. 남의 것을 불법으로 차지하다. (나오려는 눈물·웃음 따위를) 억지로 참다. ...넘기다(468)-국어사전 : (물체를) 넘어가게 하다. 쓰러뜨리다. 종잇장 따위를 젖히다. 권리나 책임 따위를 남에게 주거나 맡기다. 처리할 문제를 담당 부서에 맡기다. 시간을 지나가게 하다. 어려움에서 벗어나다. ...벗어나다(998)-국어사전 : 어떤 표적이나 범위·경계의 밖으로 나가다. (부자유, 짐 되는 일, 어려운 환경 등에서) 헤어나다. 남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게 되다. 어떤 기준이나 도리에 어긋나다. ...헤어나다(2604)-국어사전 : 헤쳐 벗어나다. ...헤치다(2605)-국어사전 : (속의 것이 드러나도록) 거죽을 파거나 잡아 젖히다. 흩어져 가게 하다. 앞의 것을 좌우로 물리치다. 어려움이나 방해를 물리치고 극복하다. ...극복(克復,331)-국어사전 : (어려운 상태를) 이겨내어 본디의 상태로 되돌아감. ...이겨내어이기다(1866)-국어사전 : ()() 힘이나 재주를 겨루어 상대편을 앞지르거나 굴복시키다.지다. () (육체적·정신적 고통이나 장애·슬픔·흥분 등을) 참고 견디다. 몸을 가누거나 바로 하다. ...굴복(屈服,304)-국어사전 : 힘이 모자라서 주장이나 뜻을 굽히고 복종함. 굴복(屈伏). ...굴복(屈伏,304)-국어사전 : 머리를 숙이고 꿇어 엎드림. ② →굴복(屈服). ...굽히다(306)-국어사전 : [‘굽다의 사동] 굽게 하다. ·주장·지조 따위를 꺾고 남을 따르다. ...복종(服從,1042)-국어사전 : 남의 명령·요구·의지 등에 그대로 따름. ...내보내다(454)-국어사전 : 밖으로 나가게 하다. 직장이나 동네에서 아주 떠나게 하다. ...000것임(132)-국어사전 : 사물·현상·사상·존재 등의 이름 대신으로 쓰는 말. 사람을 얕잡아 일컫는 말. 소유물임을 뜻함. 내용·정도·수준을 뜻함. 확신·결심·결정을 뜻함. 전망·추측·예상을 뜻함. (끝맺는 말로 쓰이어) 명령이나 부탁을 뜻함. ) .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896)-뉴사전 : 고려 광종 때 균여(均如)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하여 보현의 10행원을 그 때의 노래(鄕歌)로 읊은 것. 예경제불가·칭찬여래가·광수공양가·참제업장가·수희공덕가·청전법륜가·청불주세가·상수불학가·항순중생가·보개회향가의 10()와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를 합친 11. ...보현행원가(普賢行願歌,897)-뉴사전 : 고려 승려 균여대사가 지은 불교가요. 전체 11()로 되어 있으며 이두문자로 표기하고 있다.삼국유사에 실린 신라가요인 14수와 더불어 훌륭한 향가문학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노래는 본래화엄경특히 40화엄의 보현보살 십종행원에 의거하여 지은 노래이다. 화엄경에서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에 의하여 보리심을 발하고 53 선지식을 차례로 방문했는데, 최후에 만난 보현보살에게서 불가설(不可說)의 불타의 훌륭한 공덕을 들으며 십대행원(十大行願)을 듣게 된다. 균여가 이 십대행원을 근간해서 보현행원가를 지어 모든 사람이 부르며 외우도록 한 것이다. 이 십대원은 실제행()으로서의 중생을 구제하려는 동체대비(同體大悲)인 화엄사상이 최고 목표인 것이다. 앞에서 말한화엄경4의 보현행원품에 나타나 있다. 균여는 이를 가요화한 데다가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를 더하여 11수로서 중생 인도를 위한 간절한 마음을 잘 표현하고 있다.보현십원가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897)-뉴사전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의 약칭. 당나라 반야가 번역한화엄경으로 고역(古譯)의 입법계품에 해당.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429)-뉴사전 : 40.화엄경의 구명(俱名). 40권 가운데 가장 끝 1권의 별칭. <10,No.293> ...보현행(普賢行,897)-뉴사전 : 화엄(華嚴)의 수행. 일행(一行)을 실천하면, 일체의 행을 구현하는 것이 됨. <五敎章 中 312>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실천. <觀普賢菩薩行法經 961: Sad-dhP.p.387> , samantabhadrasya-cara (해석예) 보살의 대비대자(大悲大慈)한 것. <香月 2504> ...입법계품(入法界品,2173)-뉴사전 :화엄경의 마지막 품. 선재동자가 남방으로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면서 도를 구하여 법계(法界)의 이치에 증입하던 것을 말한 품. 60화엄경에서는 제44권 이하, 80화엄경에서는 제61권 이하. ...보현십원(普賢十願,896)-뉴사전 : 보현보살이 발한 10종의 큰 소원. 1. 여러 부처님께 예경, 2. 여래를 칭찬, 3. 공양을 널리 닦음, 4. 업장 참회, 5. 공덕을 수희(隨喜), 6. 법륜(法輪) 굴리기를 청함, 7. 부처님께서 항상 세상에 머물기를 청함, 8. 항상 부처님을 따라 배울 것, 9. 항상 중생을 수순(隨順)할 것, 10. 모두 다 회향할 것. 10종 소원은 모든 보살들의 행원을 대표한 것. 그러므로 모든 보살의 발심 수행하는 것을 보현의 원해(願海)에 들어간다고 한다. ...동체대비(同體大悲,517)-뉴사전 : ·보살의 대자비(大慈悲). 중생과 자기는 동일체로 본 것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普賢金剛菩薩埵略瑜伽念誦儀軌 20532> 모든 부처님의 자비는, 말하자면 사람들을 극락정토에 태어나게 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것은 아미타불의 자비와 본질을 같이 하고 있는 것. <敎行信證 化身土卷> (해석예) 모든 부처님이 중생을 불쌍히 여기는 자비. <香月 2688> 제법평등(諸法平等)에 이르게 한 위대한 대비(大悲). <圓乘 2682> ...대자비(大慈悲,460)-뉴사전 : 부처님의 넓고 큰 자비. 부처님. , maha-karunika <阿育王經 50131: Divyav.p.363> <Lank. > , karunika <Lank. >以大慈悲, karunayamanah<華嚴經 安樂行品 : SaddhP.p.249>起起大慈悲, 怨敵今退散<有部律破僧事 524125> 십팔불공불법(十八不共佛法)의 가운데 대자(大慈).십팔불공법 <大智度論 2725256> 관음보살에 관해 말함. <往生禮讚偈 47466> 세속의 사람. 예를들면 유마거사(維摩居士)에 관해서도 말함. <上宮維摩疏 上 5620>

 

선법(善法,1318)-뉴사전 : 선한 일. 바른 일. 도리에 따르고 자타(自他)를 이익되게 하는 법(). 세상의 선법. 오계·십선을 말함. 혹은 출세간(出世間)의 선법. 삼학육도(三學六度)를 말함. <俱舍論 162, 1711 >因 善法 向上, dharmena gamanam urdhvam(미덕(美德)에 의해서 천상에 오른다.) <金七十論 44541255>

.....오계(五戒,1786)-뉴사전 : 5가지 계율. 재가(在家)의 불교신자가 지켜야 할 5가지 훈계. (1) 살생하지 말 것. (2) 도둑질하지 말 것. (3) 남녀 사이를 혼란시키지 말 것. 성에 관해서 문란하지 않는 것. 특히 부인외의 여자, 또는 남편외의 남자와 교제하지 말 것. (4) 거짓말하지 말 것. (5) 술을 마시지 말 것.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음주(飮酒)의 금제(禁制). 불살생계(不殺生戒불투도계(不偸盜戒불사음계(不邪婬戒불망어계(不妄語戒불음주계(不飮酒戒)의 총칭. 우바새계(優婆塞戒)라고도 함. <長阿含經 2114> , Panca-Sila <遊行經 1196> <九橫經 2883> [보통 원어는 산, panca-sila이다.] <四分律 22640> <俱舍論 1414-15, 그 위에 3 참조> <觀霧量壽經 2345> , panca siksapadani <藥師本願經 14407: Bhaisaj. p.19, c.8> <灌頂經 1221534, 535> <反故集> 오계(五戒)를 지키는 재가(在家)의 남자. 우바새(優婆塞). .....십선(十善,1577)-뉴사전 : 10가지의 선한 행위. 십악(十惡)의 반대. 십악(十惡)이란,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 : 거짓말을 하는 것양설(兩舌악구(惡口기어(綺語 : 정말로 재미있게 만드는 말탐욕(貪欲진에(瞋恚 : 화내고 미워하는 것사견(邪見 : 잘못된 견해)를 말함. 이상의 십악(十惡)을 행하지 않는 것. 불살생(不殺生)에서 불사견(不邪見)까지를 십선(十善)이라 함. 죽이지 않는다(, prana-atipatat prativiratah), 훔치지 않는다(, adatta-adanat p.), 사음하지 않는다(, kama-mi-thya-carat p.), 망어하지 않는다(, anrta-va-canat p.), 욕하지 않는다(, parusa-vacanat p.), 기어하지 않는다(, sambhinna-pralapat p.), 양설하지 않는다(, pisuna-vacanat p.), 탐욕하지 않는다(, abhidhyatah p.), 화내지 않는다(, vyapadat p.), 사견을 품지 않는다(, mithya-darsanat p.). <寂志果經 1272> <觀無量壽經 12341> <大智度論 4625395참조> 전생에 십선(十善)을 행한 공덕에 의해 금생에 왕위를 받기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천황의 위(: 지위)를 가리켜 말함. (해석예) 신삼구사의삼(身三口四意三). 성왕(聖王)의 천명을 받아 만민을 무육(撫育)하는 법. <十善戒相 131> 도에 따르는 것을 선이라 함. 차선십종(此善十種)이 있으면, 십선(十善)이라 함. <人登道隨 上 1352>

.....출세간(出世間,2573)-뉴사전 : 3계의 번뇌를 떠나 깨달음의 경지에 드는 것. 또는 그 경지. 세속·세간의 대어(對語). 초월성. 세속을 벗어난 깨끗한 세계. , lokuttara <雜阿含經 282203: MN. , p.72> 진실을 구하는 깨달음의 수행. 해탈을 위한 가르침. 사제(四諦)·6(六度) . <維摩經 14554> 불법(佛法)의 영역. <眞言內證> (해석예) 3계의 속박을 벗어나 무루성도(無漏聖道)에 들다. <人登道隨 上 3153>出世間慧, lokauttara prajna

.....사제(四諦,1118)-뉴사전 : , Catvari-aryasatyani , Cattari-ariyasaccani. 사성제(四聖諦)라고도 함. ()·()·()·(). 불교의 강격(綱格)을 나타낸 전형(典型)으로서 유력(有力)한 것. ()는 불변여실(不變如實)의 진상(眞相)이란 뜻. (1) 고제(苦諦). 현실의 상()을 나타낸 것이니, 현실의 인생은 고()라고 관하는 것. (2) 집제(集諦). ()의 이유 근거(理由根據) 혹은 원인(原因)이라고도 하니, 고의 원인은 번뇌인데, 특히 애욕과 업()을 말함. 위의 2제는 유전(流轉)하는 인과. (3) 멸제(滅諦). 깨달을 목표. 곧 이상(理想)의 열반. (4) 도제(道諦). 열반에 이르는 방법. 곧 실천하는 수단. 위의 2제는 오()의 인과. 이 사제설(四諦說) 자신에는 아무런 적극적인 내용이 들어 있지 않지만, 후대에 이르면서 매우 중요시하게된 데는 여러 가지 체계를 포괄(包括)하여 조직적으로 취급한 것이 있다. 고제는 무상(無常)·()·무아(無我)·5() (), 집제·멸제는 연기설(緣起說), 도제는 8성도(聖道) 설을 표하는 것. 그리고 고제·집제는 12인연의 순관(順觀), 멸제·도제는 역관(逆觀)에 각각 해당한다. 사제(四諦)는 사체로도 읽는다.사성제. ...사성제(四聖諦,1090)-뉴사전 : 사제(四諦)와 같음. 사제는 뛰어나고 신성한 것이므로, (; , arya , ariya)이라는 자를 붙임. (; , satya , sa-cca)란 진리·진실이라고 하는 것. 인생문제와 그 해결법에 대한 네가지의 진리라고 하는 뜻. , 고제(苦諦 ; , duhkha-satya)·집제(集諦 ; , samudaya-s ; 고집체), 멸제(滅諦 ; , niro-dha-s ; 苦滅諦·苦集滅諦)·도제(道諦 ; , marga-s ; 苦滅道諦·苦集滅道諦)를 말함. (1) 고제. 이 세상은 고통이라고 하는 진실. (2) 집제. 고통의 원인이 번뇌·망집이라고 하는 진실. (3) 멸제. 고통의 원인이 멸이라고 하는 진실. 즉 무상의 세상을 초월하여 집착을 끊는 것이 고통을 없앤 깨달음의 경지라고 하는 것. (4) 도제. 깨달음으로 이끄는 실천이라고 하는 진실. 즉 이상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팔정도의 올바른 수행방법에 의해야만 한다고 하는 것. (俱舍論 221-3> <中阿含經 71464: MN. , p.184>

.....십이인연(十二因緣,1589)-뉴사전 : 인간의 고통, 고민이 어떻게 해서 성립하는지를 고찰하고, 그 원인을 추구하여 12가지 항목의 계열을 세운 것. 존재의 기본적 구조의 12구분. 연기(緣起)의 이법(理法)12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설명한 것. 생존의 조건을 나타내는 12가지의 계열. 늦게 성립된 해석에 의하면, 중생이 과거의 업에 의해 현재의 과보를 받고, 또한 현세의 업에 의해 미래의 과보를 받는 인과의 관계를 12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한 것. (1) 무명(無明 : 무지), (2) (: 잠재적 형성력), (3) (: 식별작용), (4) 명색(名色 : 마음과 물질), (5) 육처(六處), (6) (: 감관과 대상과의 접촉), (7) (: 감수작용), (8) (: 맹목적 충동, 망집, 갈망에 비유되는 것), (9) (: 집착), (10) (: 생존), (11) (: 태어나는 것), (12) 노사(老死 : 무상한 모습)을 가리킨다. 차례로 앞의 것이 뒤의 것을 성립시키는 조건이 되어 있음. 따라서 차례로 앞의 것이 없어지면 뒤의 것도 없어진다.

.....삼학(三學,1242)-뉴사전 : 불도를 수행하는 자가 반드시 닦아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세가지 수행 부류를 말함. 계학(戒學)과 정학(定學)과 혜학(慧學)의 이 세가지를 가리킴. (1) (), ()을 멈추고 선()을 닦는 것. (2) (), 심신을 정결히 하여 정신을 통일하고, 잡념을 몰아내어 생각이 뒤엉키지 않게 하는 것. (3) (), 그 정결해진 마음으로 바르고 진실한 모습을 판별하는 것. 이 부즉불이(不即不離)한 삼학의 겸수(兼修)가 불도수행을 완성시킴. 규율이 있는 생활을 영위하고, 마음을 잘 가라앉혀서, 거기에서 바른 세계관을 갖게 되는 것. 3()(, trini siksani)이란, 증상계학(增上戒學 , adhisilam)·증상심학(增上心學 , adhicit-tam)·증상혜학(增上慧學 , adhiprajna)이라 함. 증상(增上 탁월)하게 하는 3종의 수행법이라는 뜻. <集異門論 526388> <俱舍論 249, 12 참조> (해석예) 계정혜(戒定慧). <聞解 138>

.....육도(六度,1971)-뉴사전 :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지혜(智慧)의 피안(彼岸)에 이르는 여섯가지 뛰어난 수행. 육바라밀(六波羅蜜)과 동일. (해석예) 보시 지계 인욕 정진(布施 持戒 忍辱 精進). 이 네가지를 복()이라고 하고, 선정 지혜(禪定 智慧) 이 두 가지를 지()라고 한다. ...육바라밀(六波羅蜜,1975)-뉴사전 : 대승불교(大乘佛敎)에 있어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가지 덕목. 바라밀은 산, , paramita의 음역으로, 피안(彼岸)에 이르는 것으로 해석하고, ()라 한역함. 이상(理想)을 달성하는 것. 완성의 의미임. 육도(六度)라고도 함. 여섯가지 덕목의 완성. (1) 보시(布施 , dana). 주는 것. 그것에는 재시(財施 : 의복 등을 베푸는 것)와 법시(法施 : 진리를 가르치는 것)와 무외시(無畏施 : 공포를 없애고, 안심을 주는 것)3종이 있음. (2) 지계(持戒 , sila). 계율(戒律)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 , ksanti). 고난을 참고 견디는 것. (4) 정진(精進 , virya). 진실의 도()를 느슨히 하지 않고 실천하는 것. (5) 선정(禪定 , dhyana).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 prajna). 진실한 지혜를 얻는 것. <摩訶般若波羅蜜 68256>(해석예) 단계인진선혜(檀戒忍進禪慧). <金般講 57>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念佛名義集 76> ...바라밀(波羅蜜,730)-뉴사전 : , , paramita의 음역. 예전에는()라 한역했다. 당대(唐代)에 있어서는 도피안(度彼岸)이라 한역. (), 건넜다,도피안이란 피안에 이르렀다의 뜻. 동시에 완료형임. 절대, 완전한의 뜻. 예를 들면 보시바라밀다(布施波羅蜜多), 절대완전의 보시(布施), 은혜를 베푸는 완성의 뜻. 피안에의 길. 완성. 수행의 완성. 깨달음의 수행. 깨달음의 길.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보살의 수행. 바라밀(波羅蜜)로서는 시()·()·()·()·()·()의 육바라밀(六波羅蜜), 또는 이것에 방편(方便)·()·()·()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을 세운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이란, (1) 보시(布施)(, dana). 사람에게 재물을 주고, 진리()을 가르치고, 안심(無畏)를 주는 것. (2) 지계(持戒) (, sirla). 계율을 지키는 것. (3) 인욕(忍辱)(, ksanti). 박해곤고(迫害困苦)를 참는 것. (4) 정진(精進)(, virya). 심신을 힘쓰며, 다른 오바라밀(五波羅蜜)을 수행하는 노력을 계속하는 것. (5) 선정(禪定)(, dhyana), 마음을 집중하고 안정시키는 것. (6) 지혜(智慧) : 般若 , prajna). 미혹을 여의고, 존재의 궁극에 있는 실상(實相)을 깨닫는 것을 말함. 6의 반야에 방편(方便)·()·()·()4가지를 더하여 십바라밀(十波羅蜜)이라하는 경우도 있다. 모두 자기를 완성함과 동시에, 많은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俱舍論 189> <起信論 32579> (해석예) 도피안(度彼岸). <金般講 4> [표현예] 궁극. 완전한. ...바라밀다(波羅蜜多,731)-뉴사전 : 바라밀(波羅蜜)과 동일.바라밀 산, paramita <Bodhis.p.4 六波羅蜜多 ; 58, 1.16(十波羅蜜多) ; 371 1.7> <MAV. , >

 

분별(分別,945)-뉴사전 : (외적인 사물에 구애된) 단정. 다투다. 수기(授記)와 동일. 논의. 구분교(九分敎)의 하나. 배분하는 것. 나누어 배부하는 것. 조치. 하나하나 분해함. 구별. 구별하는 것. 열어 보임. 사유. 구분하는 것. 구별하여 생각함. 판별하기. (두개 이상의) 경우를 나누어 구별하여 설명하는 것. 개념으로서 표시할 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 개념작용. 생각. 망분별(妄分別)을 하는 것. 망상. 주관적 구상. 구상작용.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낼 때의 주관적 측면. 아라야식이 개전하여 차별상을 나타내는 것. 또는 그때의 주관적 측면. 망분별. 잘못된 인식. 망상. 사물(事物)을 분석하고 구별하는 것. 특수. 바이세시카 철학에서 말함. 사유(思惟). 구별. 분별기(分別起)의 약어.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일어남.분별기 사람들이 이해되도록 나누어 설명함. 생각하는 것. 수심(受心)을 말함. 지식으로 하는 이해. 대상을 사려하는 것.分別名意識(분별이 즉 뜻이라는 것.) [해설] vika-lpa는 마음의 작용이 대상을 사유하고 계산하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세 종류가 있다. (1) 자성분별(自性分別)(, svabhava-vikalpa) ()·()·()·()·()의 오식(五識)이 대상을 식별하는 작용. (2) 계탁분별(計度分別)(, abhinirupana-vikalpa). 대상의 차별을 추량하고 재는 작용. (3) 수염분별(隨念分別)(, anusmarana-vikalpa). 과거의 것을 추념하는 작용. <俱舍論 2298>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낼지니라.

 

출전 : 불교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