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루(無漏)와 유루(有漏)

무루(無漏)와 유루(有漏)

근와(槿瓦) 2015. 8. 26. 00:54

무루(無漏)와 유루(有漏)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루(無漏)

漏는 누설 · 누락의 뜻으로 모든 번뇌를 말한다. 즉 眼 · 耳 · 鼻 · 舌 · 身 · 意의 六根에서 허물을 항상 만들어 누출한다는 뜻이다. 이런 번뇌에서 이탈하여 그것이 없어지고 증가함이 없음을 無漏라 하여 四諦 중의 道諦에서 주장하는 것이다. 가령 7覺支 · 8正道 등이 그것이다. 소승에서는 번뇌를 增上하지 않음을 말하고 대승에서는 번뇌와 함께 있지 아니함을 말한다. 有部에서는 18界 중 後 3界는 유루 · 무루에 통하며, 前 15界는 유루에만 한한다고 하는데 잡아함경의 무루법설을 이어받아 大衆部에서는 佛身 중에 있는 것은 18계 모두 같이 무루라 하는 등 그 구분과 해설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유루(有漏)

漏는 漏泄의 의미로 번뇌를 말함. 번뇌가 있는 것을 有漏라 하고, 없는 것을 無漏라 한다. 有漏는 또 有染 · 有染汚 · 有諍이라고도 한다. 染도 染汚도 諍도 번뇌를 말함. 또 잘못된 견해를 내는 依處이기 때문에 見處라고도 한다. 有部에서는 번뇌를 隨增하는 것(곧 번뇌에 隨順하여, 번뇌를 增長한다)을 有漏法이라 하고, 그렇지 않는 것을 無漏法이라고 한다. 곧 四諦중에서 迷의 果와 因인 苦集二諦의 諸法은 有漏法이고, 悟의 果와 因인 滅道二諦의 諸法은 無漏法이다. 有漏의 육체를 有漏身, 有漏의 境界(迷의 경계)를 有漏路라 하고, 無漏淸淨의 佛身을 無漏身, 無漏淸淨의 境界(悟의 세계)를 無漏路라고 한다. 많은 世俗의 法을 대상으로 하여 일어나는 지혜를 有漏智라 하고, 四諦의 理를 證見하는 見道이후의 聖者의 지혜를 無漏智라 한다. 또 見道에 이르기까지의 범부가 일으키는 善을 有漏善이라 하고, 見道에 들어가서의 聖者가 일으키는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善을 無漏善이라 한다. 有漏智를 가지고 행하는 세속의 행위를 有漏行, 有漏智를 가지고 닦는 六行觀을 有漏道라 하고, 無漏智를 가지고 닦는 四諦의 觀行 등을 無漏行, 無漏道라 한다. 有漏道를 가지고 번뇌를 끊는 것을 有漏斷, 無漏道를 가지고 번뇌를 끊는 것을 無漏斷이라고 한다. 有漏行은 人間 · 天上등의 五趣의 有漏果(有漏의 번뇌나 業을 因으로 해서 생긴 有漏의 果報. 곧 人間 · 天上 등 3界와 5趣의 몸과 국토를 말한다)를 초래하기 때문에 有漏因이라 하고, 無漏行은 열반의 깨달음인 無漏果를 얻기 때문에 無漏因이라 한다. 凡夫가 六行觀을 닦아서 住하는 四禪 · 四無色定 · 四無量心定 등의 禪定을 有漏定 · 有漏禪이라 하고, 聖者가 無漏智를 發得하는 禪定을 無漏定 · 無漏禪이라 한다. 無漏定은 無漏의 九地(未至定 · 中間定 · 四根本定 · 下三無色定)에 있어서 일어난다. 法相宗에서는 佛果의 淨識을 無漏識이라 하고, 佛果에 이르기 이전의 識을 有漏識이라고 한다. 단 第六識 · 第七識은 初地入見道에서 1分을 轉識得智하여 無漏識이 되고, 前五識과 第八識은 佛果에 이르러서 비로소 無漏識이 된다고 한다. 無漏의 깨달음의 본래 寂然한 面을 無漏無爲라 하고, 그것이 작용하여 起動하는 面을 無漏有爲라 한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무루(無漏)와 유루(有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루(有漏,1812)-국어사전  (0) 2022.08.18
견처(見處)   (0) 2015.09.15
무쟁(無諍)  (0) 201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