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참구(話頭參究)방법-성철큰스님

간절한 마음

근와(槿瓦) 2018. 5. 30. 00:00

간절한 마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가 참구하는 공안(公案)에 대해서는 간절한 마음으로 공부해야 한다. 마치 닭이 알을 안은 것과 같이 하고,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와 같이 하며, 주린 사람이 밥 생각하듯 하고, 목마른 사람이 물 생각하듯 하며, 어린애가 어머니 생각하듯 하면 반드시 꿰뚫을 때가 있을 것이다.


조사들의 공안이 일천 칠백 가지나 있는데, 개가 불성이 없다라든지 뜰 앞에 잣나무라든지 삼서근(麻三斤)」「마른 똥막대기같은 것들이다. 닭이 알을 안을 때는 더운 기운이 지속되며,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는 마음과 눈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주릴 때 밥 생각하는 것과 목마를 때 물을 생각하는 것이나 어린애가 어머니를 생각하는 것들은, 모두 진심에서 우러난 것이고 억지로 지어서 내는 마음이 아니므로 간절한 것이다. 참선하는 데에 이렇듯 간절한 마음이 없이 깨친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참선에는 반드시 세 가지 요긴한 것이 있어야 한다. 첫째는 큰 신심이고, 둘째는 큰 분심이며, 셋째는 큰 의심이다. 만약 이 중에 하나라도 빠지면 다리 부러진 솥과 같아서 소용 없이 되고 말 것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성불하는 데에는 믿음이 뿌리가 된다하셨고, 영가(永嘉)스님은 도를 닦는 사람은 먼저 뜻을 세워야 한다고 하였으며, 몽산(蒙山)스님은 참선하는 이가 화두를 의심하지 않는 것이 큰 병통이다고 하면서 크게 의심하는 데서 크게 깨친다고 하였다.

 


출전 : 불교성전(西山·禪家龜鑑)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