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절한 마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자기가 참구하는 공안(公案)에 대해서는 간절한 마음으로 공부해야 한다. 마치 닭이 알을 안은 것과 같이 하고,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와 같이 하며, 주린 사람이 밥 생각하듯 하고, 목마른 사람이 물 생각하듯 하며, 어린애가 어머니 생각하듯 하면 반드시 꿰뚫을 때가 있을 것이다.
조사들의 공안이 일천 칠백 가지나 있는데, 「개가 불성이 없다」라든지 「뜰 앞에 잣나무」라든지 「삼서근(麻三斤)」「마른 똥막대기」같은 것들이다. 닭이 알을 안을 때는 더운 기운이 지속되며,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는 마음과 눈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주릴 때 밥 생각하는 것과 목마를 때 물을 생각하는 것이나 어린애가 어머니를 생각하는 것들은, 모두 진심에서 우러난 것이고 억지로 지어서 내는 마음이 아니므로 간절한 것이다. 참선하는 데에 이렇듯 간절한 마음이 없이 깨친다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참선에는 반드시 세 가지 요긴한 것이 있어야 한다. 첫째는 큰 신심이고, 둘째는 큰 분심이며, 셋째는 큰 의심이다. 만약 이 중에 하나라도 빠지면 다리 부러진 솥과 같아서 소용 없이 되고 말 것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성불하는 데에는 믿음이 뿌리가 된다」하셨고, 영가(永嘉)스님은 「도를 닦는 사람은 먼저 뜻을 세워야 한다」고 하였으며, 몽산(蒙山)스님은 「참선하는 이가 화두를 의심하지 않는 것이 큰 병통이다」고 하면서 「크게 의심하는 데서 크게 깨친다」고 하였다.
출전 : 불교성전(西山·禪家龜鑑)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화두참구(話頭參究)방법-성철큰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두참구(話頭參究)방법-성철큰스님 (0) | 2015.1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