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교십지(通敎十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乘共十地와 같음. 大智度論 78권에서 주장하고 있는 성문·연각·보살을 통하여 만들어진 十地로 천태종에서 通敎를 說하여 수행의 단계로 한다. (1) 乾慧地 곧 外凡. (2) 性地 곧 內凡. (3) 八人地 곧 見道十五心. (4) 見地 곧 初果. (5) 薄地 곧 一來果. (6) 離欲地 곧 不還果. (7) 已辦地 곧 阿羅漢果. (8) 支佛地 곧 緣覺地. (9) 菩薩地. (10) 佛地.
참고
통교(通敎) : 天台宗 化法 4敎의 제2. 성문·연각·보살의 3乘이 함께 받는 법. 얕고 깊은 법을 함께 말한 것이므로, 사람의 근성이 영리하고 둔함에 따라서 얕게도 해석하고, 깊게도 해석할 수 있는 敎. 근기가 둔한 사람이 이 교를 얕게 해석하면 藏敎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고, 영리한 사람이 이 교를 높게 해석하면 별교와 원교에 통해 들어갈 수 있는 것. 이렇게 근기에 따라 앞으로는 장교에, 뒤로는 별교와 원교에 통하는 교이므로 통교. 이 교의 세계관은 좁으나, 그 밝혀 놓은 이치는 깊다. 體가 공한 것이 그 근본 사상이다.
내범(內凡) : 佛道를 수행하는 이 중에서, 凡夫位에 있는 이를 구별하여 內凡과 外凡이라 한다. 凡은 聖에 대한 것으로, 아직 불교의 교리를 證得하지 못한 이를 말하고, 그 가운데서 약간의 智解를 가진 이를 內凡이라 하고, 그렇지 못한 이를 外凡이라 한다. 곧 內凡은 佛敎敎理 안의 凡夫이고, 外凡은 敎理 밖에 있는 凡夫를 말한다.
외범(外凡) : 見道이전의 修行位를 일컬음. 곧 小乘에서는 5停心·別相念處·總相念處의 修行位이고, 大乘에서는 52位의 처음인 10信位.
불과(佛果) : 수행한 因으로 하여 極果에 이르는 부처님의 지위.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타락세계(浦陁落世界) (0) | 2018.03.08 |
---|---|
정견(正見) (0) | 2018.03.08 |
화장세계(華藏世界) (0) | 2018.03.06 |
자성유심(自性唯心) (0) | 2018.03.06 |
전(纏) (0) | 2018.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