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불성(三佛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성이 비록 常住하여 불변하나 他의 修證이 되므로 세 가지 뜻으로 나눔.
(1) 自性住佛性. 일체 중생에게 본래 갖추어 있는 불성.
(2) 引出佛性. 중생이 본래 갖추어 있는 불성을 학습하고 수행한 결과로 끌어내는 것.
(3) 至得果佛性. 수행을 완료하여 본래 갖추어 있는 불성을 개발하여 마치는 것.(華嚴孔目章二)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