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顚倒)

유소득(有所得)

근와(槿瓦) 2017. 8. 6. 00:20

유소득(有所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절대평등의 진리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사물에 집착되어 가늠하고 取捨選擇하는 것을 有所得이라 하고, 有無를 여읜 의 진리를 체득해서 모든 것에 집착됨이 없는 것을 無所得이라 한다.

 

참고

취사(取捨) : 취하여 쓸 것은 쓰고 버릴 것은 버리는 것.

 

() : 범어 sunya의 번역. 舜若라 음역한다. 이라는 것은空性이라 하며, 主空神舜若多神이라고도 칭한다.

이란, 一切法因緣을 따라서 생겨난 것이므로, 거기에 我體 · 本體 · 實體라 할만한 것이 없으므로 이라 한 것이다. 그러므로 諸法皆空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일체가 이라고 觀見하는 것을 空觀이라 한다. 虛無(偏空)이 아니고 하는 것은 진실한 가치의 별견이므로, 眞空 그대로가 妙有라는 것이다. 이것을 眞空妙有라 한다. 이에 반하여 을 허무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惡取空이라 한다. 이것이 佛敎 전반에 통하는 기본적인 교리이다. 大乘 · 小乘經論으로 敎理에 관계하지 않은 것은 없지만, 그 교리에 천심에 따라 설명의 방법이 한결 같지 않다.

二空.

(1) 人空(實我인 것. 有情個體 가운데에 我體라고 할만한 것이 없는 것. 我空 · 衆生空 · 生空 · 人無我라고도 한다)法空(인연을 따라 생긴 것이므로 일체의 존재 자체가 이란 원리, 法無我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小乘人空만을 설하고 法空을 설하지 않지만 大乘法二空(人法二無我, 我法二空)한다고 말한다.

(2) 析空(존재를 분석하여 나타난 )體空(當體  의 뜻으로, 존재의 當體 바로 그대로가 이라고 體達하는 ). 소승과 성실론은 析空을 설하고, 대승은 體空한다고 한다.

(3) 但空(에 치우쳐서 不空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妙有의 일면을 인정하지 않는 것, 偏空이라고 한다)不但空(에 집착하지 않고 구속받지 않으며 妙有의 일면을 아울러 인정하는 中道. 이것은 일체법에 결정된 고정불변의 자성이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공이므로, 不可得이라고도 한다). 

 

체득(體得) : 몸소 경험하여 알아내거나 이해함.

 

집착(執着) : 事物이나 道理를 고집하여 그것을 버리지 못하는 것.  · · 計着이라고도 한다. 貪愛心에 집착하는 것을 染着이라고도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전도(顚倒)'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전도(心顚倒,1553)-뉴사전  (0) 2022.10.29
심미법화전(心迷法華轉)  (0) 2018.06.13
삼전도(三顚倒)   (0) 2016.12.08
견전도(見顚倒)   (0) 2016.12.07
심전도(心顚倒)   (0) 2016.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