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부의 기상

대장부의 기상

근와(槿瓦) 2016. 11. 24. 01:28

대장부의 기상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죄가 있거든 곧 참회하고, 잘못된 일이 있으면 부끄러워할 줄 아는 데에 대장부의 기상(氣像)이 있다. 그리고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롭게 되면 그 죄업도 마음을 따라 없어질 것이다.


참회란 먼저 지은 허물을 뉘우쳐 다시는 짓지 않겠다고 맹세하는 일이다. 부끄러워한다는 것은 안으로 자신을 꾸짖고 밖으로 허물을 드러내는 일이다. 마음이란 본래 비어 고요한 것이므로 죄업(罪業)이 붙어 있을 곳이 없다.


수행인은 마땅히 마음을 단정히하여 검소하고 진실한 것으로써 근본을 삼아야 한다. 표주박 한 개와 누더기 한 벌이면 어디를 가나 걸릴 것이 없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음이 똑바른 줄과 같아야 한다고 했으며, 바른 마음(直心)이 곧 도량(道場)이다고 하셨다. 이 몸에 탐착하지 않는다면 어디를 가나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범부들은 눈앞 현실에만 따르고, 수행인은 마음만을 붙잡으려 한다. 그러나 마음과 바깥 현실 두 가지를 다 내버리는 이것이 참된 법이다. 현실만 따르는 것은 목마른 사슴이 아지랑이를 물인 줄 알고 찾아가는 것 같고, 마음만을 붙잡으려는 것은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것과 같다. 바깥 현실과 마음이 비록 다르다 할지라도 병통이기는 마찬가지다.


참고

장부(丈夫) : ① 범어 purusa의 번역으로 補盧沙 · 富樓沙 · 浮溜沙라고도 音譯하며, 士夫라고도 번역한다.

② 한 사람의 男子란 뜻. 佛陀의 三十二相을 大丈夫相이라 하고, 佛을 大丈夫라고도 한다. 小乘에서는 七聖을 七丈夫(七士夫)라고 한다.

③ 數論學派의 二十五諦중의 하나. 神我라 번역한다.

칠성(七聖) : 見道 · 修道 · 無學道의 聖者를 7종으로 나눈 것. 七聖人 · 七聖者 · 七士夫 · 七丈夫라고도 한다. 隨信行 · 隨法行 · 信解 · 見至 · 身證 · 慧解脫 · 俱解脫이 이것이다.  → <불교학대사전>



출전 : 불교성전(西山 · 禪家龜鑑)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