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154)-수보리 어의운하 가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문]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 見如來不 不也世尊 不可以三十二相 得見如來 何以故 如來說三十二相 即是非相 是名三十二相
[해의]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三十二상으로, 부처님의 설흔 두 가지 특별한 상과 여든 가지 뛰어나게 생긴 모양(八十種好)으로 여래를 친견(親見)할 수 있느냐. 부처님을 뵐 수 있느냐.」「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가히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친견할 수 없는 것이옵니다. 어째 그러냐 하오면 여래께서 삼십이상이라 말씀하시는 것은 곧 이것이 상이 아니기 때문이옵니다. 그래서 이것을 <삼십이상>이라 하신 것이옵니다.」
부처님의 삼십이상도 비록 육도만행(六度萬行)을 하고 억만겁 동안 몸뚱이와 온갖 것을 남을 위해 보시한 공덕으로 얻어진 거룩한 상호(相好)이긴 하지만 그러나 그것도 역시 세계나 먼지처럼 상대적으로 있는 허망한 거짓 존재이며 따라서 상(相)이 아닙니다. 육체의 오장육부(五臟六腑)나 혈액(血液)과 신경(神經)등이 다 물질에 불과하고 그 물질은 곧 있는 것이 아니므로 삼십이상은 곧 상이 아니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래서「삼십이상이라고 한다.」고 하셨는데 이것은 아주 없는 것이 아니라 역시 다생겁(多生劫)으로 보살의 인행(因行)을 닦으면 그 정도에 따라서 상호도 거룩해지고 하나하나 갖추어지게 되며 그래서 없는 것도 있는 것도 아닌 도리를 밝힌 말씀입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대강좌(156)-문자반야는 곧 실상반야 (0) | 2016.05.26 |
---|---|
금강경대강좌(155)-수보리 약유선남자~ (0) | 2016.05.25 |
금강경대강좌(153)-수보리 어의운하 삼천~ (0) | 2016.05.23 |
금강경대강좌(152)-수보리 어의운하 여래~ (0) | 2016.05.22 |
금강경대강좌(151)-소이자하 수보리~ (0) | 2016.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