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齋經)

재경(齋經)

근와(槿瓦) 2016. 1. 3. 00:17

재경(齋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說齋經. 中阿含經持齋經을 말함. 持齋의 공덕을 설한 것.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부처님께서 사위성의 동쪽에 있는 어느 재상 집에 계실 때였다. 그 재상 어머니의 이름은 유야였다. 그는 일찍 일어나 목욕한 뒤에 비단옷을 입고 여러 며느리를 데리고 부처님께 나아가 땅에 엎드려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한 쪽에 앉았다.

 

부처님이 유야에게 물으셨다.

"어찌 이렇게 이른 아침, 목욕하고 일찍 왔느냐?"

 

유야는 대답하였다.

"여러 며느리를 데리고 재계(齋戒)를 받으려 하나이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재(齋)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어떤 재를 받고 싶으냐?"

 

유야는 꿇어 앉아 사뢰었다.

"어떤 세 가지 재이온지 듣고 싶습니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첫째는 소먹이 재(牧牛齋)요, 둘째는 니그로란타 재요, 셋째는 부처님 법의 재이다.

소먹이 재란, 마치 소 먹이는 사람이 좋은 물과 풀을 구하여 그 소를 먹이고, 날이 저물어 돌아갈 때에 '어느 들에 풍족한 물과 풀이 있더라.'고 기억하여, 날이 밝기를 기다려 다시 그리로 소를 데리고 가려는 것과 같다.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이미 재계를 받고도 마음은 세간에 있어서 살림을 이롭게 하려 하거나, 또 맛난 음식으로 몸을 기름지게 하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소 먹이는 사람의 마음과 같아서 큰 복도 얻지 못할 것이요 또 큰 지혜도 아니다.

 

니그로란타 재란, 그 달 보름날 재할 때가 되면 땅에 엎드려 재계를 받을 때에는, 시방의 여러 신(神)에게 절하면서 말한다.

'나는 오늘 재계하면서 다시는 악을 행하지 않고, 집이 있다고 뽐내지 않겠습니다. 나와 내 친구라고 하여 친함에 차별이 없고, 처자와 노비는 내 소유가 아니요 나도 그들의 주인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의 학문의 문채(文)를 귀히 여기고 바탕(質)을 천히 여겨 바른 마음이 없으므로 그 이튿날에 가서는 모양과 이름에 변함이 없다. 그들과 같이 재를 드리는 이는 큰 복도 얻지 못하고 또 큰 지혜도 아니다.

 

불법의 재란, 도의 제자로서 매달 여섯 재일의 여덟 가지 계율을 받는다. 그 여덟 가지란 어떤 것인가.

첫째 계율은, 하루 낮 하루 밤이 다하도록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眞人)과 같이 하여 살생할 생각이 없고 중생들을 가엾이 여겨 미세한 곤충들도 해치지 않으며, 칼이나 몽둥이를 쓰지 않는다. 중생들의 안락과 이익을 생각하여 죽이지 않아서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둘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이 다하도록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탐내고 취할 뜻이 없어 보시하기를 생각하되 기꺼이 제 손으로 주고 깨끗이 주며, 공손히 주고 보답을 바라지 않는다. 인색하고 탐내는 생각을 물리치고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셋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음탕한 뜻이 없어 방일을 생각하지 않고 범행을 닦아 삿된 욕심으로 색(色)을 탐내지 않아서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넷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거짓말할 뜻이 없어 지성으로 생각하고 마음을 차분히 하여 천천히 말한다. 거짓과 속임이 없어 마음과 업이 서로 알맞아,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다섯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술을 마시지 않고 취하지 않아, 미혹하거나 어지럽지 않고 정신을 잃지 않는다. 방탕한 생각을 버려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여섯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구함이 없고 뜻을 편안히 한다. 꽃이나 향을 쓰지 않고 연지나 분을 쓰지 않으며, 노래나 춤 따위의 풍류를 즐기지 않고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일곱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구함이 없고 뜻을 편안히 하여, 좋은 침대에 눕지 않고 낮은 평상이나 풀 자리에서 선정에 들거나, 불법을 생각하면서 거닐어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익히는 것이다.

 

여덟째 계율이란, 하루 낮 하루 밤 동안 마음 가지기를 참사람과 같이 하여 법을 받들고 때를 맞추어 먹되 적게 먹어 몸을 조심하고 낮이 지난 뒤에는 다시 먹지 않아서 청정한 계율 그대로를 일심으로 익히는 것이다."

 

부처님은 유야에게 말씀하셨다.

"재를 받는 날에는 다섯 가지 생각을 익혀야 한다. 그 다섯 가지란 어떤 것인가?"

첫째는 부처를 생각하여야 한다. 즉 '부처는 여래요 지진(至眞)이며, 다 옳게 깨달은 이요, 지혜와 행을 갖춘 이며 깨달음의 언덕에 다다른 이요, 세상의 아버지며 위 없는 선비요, 경법을 의거하는 이며 하늘과 사람의 스승으로서 부처라고 이름한다.' 이렇게 부처를 생각하는 사람은 어리석음과 나쁜 뜻과 성내는 습관이 모두 없어지고 착한 마음이 저절로 생겨 부처의 업을 즐거워한다. 마치 마유(痲油)나 조두(澡豆)로써 머리를 감으면 더러운 때가 없어지는 것처럼 재(齋)하고 부처를 생각하는 사람도 깨끗하기가 그와 같아서, 사람들은 그를 보고 모두 좋아하고 믿음직스러워 한다.

 

둘째는 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즉, 부처가 말한 서른일곱 종류를 완전히 갖추어 헐지 않고 잘 명심하여 잊지 않는 것이니, 이 법은 세간의 등불임을 알아야 한다. 이 법을 생각하는 사람은 어리석음과 나쁜 생각과 성내는 습관이 모두 없어지고 착한 마음이 저절로 생겨 법의 업을 즐거워한다. 마치 마유나 조두로 목욕하면 더러운 때가 없어지는 것처럼, 재하고 법을 생각하는 사람도 깨끗하기 그와 같아서 사람들은 그를 보고 모두 좋아하고 믿음직스러워한다.

 

셋째는 수행자를 생각하여야 한다. 즉 '그들을 공경하고 친하며 의지하여 지혜의 가르침을 받자. 부처의 제자들 중에는 수다원으로 향하는 이도 있고 수다원을 증득한 이도 있다. 사다함으로 향하는 이도 있고 사다함을 증득한 이도 있으며, 아나함으로 향하는 이도 있고 아나함을 증득한 이도 있다. 아라한으로 향하는 이도 있고 아라한을 증득한 이도 있다. 이것을 네 쌍과 여덟 무리의 장부라 한다.

그들은 다 계율을 성취하고 선정을 성취하였으며, 지혜를 성취하고 해탈을 성취하였으며, 해탈지견을 성취하여 성스러운 덕과 행을 갖춘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천상과 천하의 거룩한 이로써 그 복밭에 합장하여야 한다.'

 

이렇게 수행자를 생각하는 사람은 어리석음과 나쁜 뜻과 성내는 습관이 모두 없어지고 기쁜 마음이 저절로 생겨 수행자의 업을 즐거워한다. 마치 순수한 재로 옷을 씻으면 더러운 때가 없어지는 것처럼, 재를 올리고 수행자를 생각하는 사람도 그 덕이 그와 같아서 사람들은 그를 보고 모두 좋아하고 믿음직스러워한다.

 

넷째는 계율을 생각하는 것이다. 즉 '몸으로 부처의 계율을 받고 일심으로 그것을 받들어 가지되, 이지러지게 하지도 않고 범하지도 않으며 흔들리지도 않고 잊지도 않는다. 잘 세우고 삼가 보호하여 지혜로운 사람의 칭찬을 받으며, 후회하는 일도 없고 희망도 두지 않고 평등하게 사람을 가르치리라.'한다.

이렇게 계율을 생각하는 사람은 어리석음과 나쁜 뜻과 성내는 습관이 모두 없어지고 기쁜 마음이 저절로 생겨 계율의 업을 즐거워한다. 마치 거울을 닦으면 때가 없어지고 환히 밝아지는 것처럼, 재를 받들고 계율을 생각하는 사람도 그 깨끗하기가 그와 같아서 사람들은 그를 보고 모두 좋아하고 믿음직스러워한다.

 

다섯째는 하늘을 생각하는 것이다. 즉, 첫째는 사왕천이요 둘째는 도리천이요 또 야마천·도솔천·불교락천·화응성천(化應聲天)이다. 스스로 생각하기를 '나는 믿음과 계율과 들음과 보시와 지혜를 가짐으로써 몸이 죽을 때에 정신은 하늘에 올라가서, 그 믿음과 계율과 들음과 보시와 지혜를 잃지 않으리라.'한다.

 

이처럼 하늘을 생각하는 사람은 어리석음과 나쁜 뜻과 성내는 습관이 모두 없어지고 기쁜 마음이 저절로 생겨 하늘의 업을 즐거워한다. 마치 보배구슬을 항상 갈면 맑고 밝아지는 것처럼 재를 받들고 하늘을 생각하는 사람도 그 깨끗하기가 그와 같다.

 

여덟 가지 계율을 받들어 가지고 다섯 가지 생각을 익히며, 불법의 재를 닦고 하늘과 함께 덕을 같이 하여 악을 없애고 선을 일으키면 죽은 뒤에는 천상에 나고 마침내는 열반을 얻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스스로 힘써 행하고 마음을 내어 복을 짓는다.

 

유야야, 이와같이 재의 복은 그 지혜와 명예가 넓고 멀다.

비유하면 이 천하에는 열여섯 개 큰 나라가 있다. 그 열여섯 큰 나라 안에 가득찬 보배는 이루 다 셀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하루 동안 불법의 재를 닦는 것보다 못하다. 이 복에 비하면 저 열여섯 나라는 콩알 하나 만하다.

 

저 천상은 넓고 멀어 이루 말할 수 없다. 지금 이 인간의 50년은 저 첫째 하늘의 하루 낮 하루 밤이다. 그러므로 저 첫째 하늘 사왕천의 수명 5백년은 이 인간의 9백만 년에 해당된다. 불법의 재를 닦는 사람은 이 하늘에 나게 된다.

 

이 인간의 백 년은 저 도리천의 하루 낮 하루 밤이다. 그러므로 도리천의 수명 천 년은 인간의 3천 6백만 년에 해당된다.

 

또 인간의 2백 년은 야마천의 하루 낮 하루 밤이다. 그러므로 야마천의 수명 2천 년은 인간의 1억 5천 2백만 년에 해당된다.

 

또 인간의 4백 년은 저 도솔천의 하루 낮 하루 밤이다. 그러므로 저 도솔천의 수명 4천 년은 인간의 6억 8백만 년에 해당된다.

 

또 인간의 8백 년은 저 불교락천의 하루 낮 하루밤이다. 그러므로 저 불교락천의 수명 8천 년은 인간의 23억 4천만 년에 해당된다.

 

또 인간의 1천 6백 년은 저 화응성천의 하루 낮 하루 밤이다. 그러므로 저 화응성천의 수명 1만 6천 년은 인간의 92억 1천 6백만 년에 해당된다.

 

만일 사람으로 믿음이 있고 계율이 있으며, 들은 바가 있고 보시가 있으며, 지혜가 있고 불법의 재를 받들면, 그는 목숨을 마친 뒤에는 그 정신이 모두 이 여섯 천상에 나서 안온하고 기분이 상쾌하다. 편하고 좋은 일이 많지마는 나는 조금 말하였을 뿐이다.

 

무릇 사람이 선을 행하면 그 혼은 천상에 올라가 한량 없는 복을 받을 것이다."

 

유야는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아뢰었다.

"놀랍고 놀랍습니다. 부처님, 재의 복덕은 매우 좋고 한량 없나이다. 저는 부처님의 계율을 받겠나이다. 그리고 지금부터는 달마다 여섯 재일을 지켜 죽을 때까지 힘을 다하여 복을 짓겠습니다."

부처님이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두 기뻐하면서 가르침을 받들었다.

 

 

출전 : 재경(齋經)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